Skip to content

Commit c606e4e

Browse files
committed
fix square bracket
1 parent aea5e31 commit c606e4e

15 files changed

+23
-23
lines changed

glossary.po

+2-2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1,7 +41,7 @@ msgid ""
4141
"right delimiters (parentheses, square brackets, curly braces or triple "
4242
"quotes), or after specifying a decorator."
4343
msgstr ""
44-
"들여쓰기 된 코드 블록의 코드를 입력할 때, 쌍을 이루는 구분자 (괄호, 꺾쇠괄호, 중괄호) 안에 코드를 입력할 때, 데코레이터 "
44+
"들여쓰기 된 코드 블록의 코드를 입력할 때, 쌍을 이루는 구분자 (괄호, 대괄호, 중괄호) 안에 코드를 입력할 때, 데코레이터 "
4545
"지정 후의 대화형 셸의 기본 파이썬 프롬프트."
4646

4747
#: ../Doc/glossary.rst:20
@@ -2129,7 +2129,7 @@ msgid ""
21292129
"bracket (subscript) notation uses :class:`slice` objects internally."
21302130
msgstr ""
21312131
"보통 :term:`시퀀스 <sequence>` 의 일부를 포함하는 객체. 슬라이스는 서브 스크립트 표기법을 사용해서 만듭니다. "
2132-
"``variable_name[1:3:5]`` 처럼, ``[]`` 안에서 여러 개의 숫자를 콜론으로 분리합니다. 꺾쇠괄호 (서브 "
2132+
"``variable_name[1:3:5]`` 처럼, ``[]`` 안에서 여러 개의 숫자를 콜론으로 분리합니다. 대괄호 (서브 "
21332133
"스크립트) 표기법은 내부적으로 :class:`slice` 객체를 사용합니다."
21342134

21352135
#: ../Doc/glossary.rst:1017

howto/functional.po

+2-2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74,14 +574,14 @@ msgid ""
574574
"comprehensions are surrounded by square brackets (\"[]\"). Generator "
575575
"expressions have the form::"
576576
msgstr ""
577-
"제너레이터 표현식은 괄호(\"()\")로 묶여 있으며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꺾쇠괄호(\"[]\")로 묶여 있습니다. 제너레이터 "
577+
"제너레이터 표현식은 괄호(\"()\")로 묶여 있으며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대괄호(\"[]\")로 묶여 있습니다. 제너레이터 "
578578
"표현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579579

580580
#: ../Doc/howto/functional.rst:372
581581
msgid ""
582582
"Again, for a list comprehension only the outside brackets are different "
583583
"(square brackets instead of parentheses)."
584-
msgstr "다시 말하면,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위해서는 바깥쪽 괄호만 다릅니다(괄호 대신 꺾쇠괄호)."
584+
msgstr "다시 말하면,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위해서는 바깥쪽 괄호만 다릅니다(괄호 대신 대괄호)."
585585

586586
#: ../Doc/howto/functional.rst:375
587587
msgid ""

library/fnmatch.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8,7 +78,7 @@ msgstr "*seq*\\에 없는 모든 문자와 일치합니다"
7878
msgid ""
7979
"For a literal match, wrap the meta-characters in brackets. For example, "
8080
"``'[?]'`` matches the character ``'?'``."
81-
msgstr "리터럴 일치의 경우, 꺾쇠괄호 안에 메타 문자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는 ``'?'`` 문자와 일치합니다."
81+
msgstr "리터럴 일치의 경우, 대괄호 안에 메타 문자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는 ``'?'`` 문자와 일치합니다."
8282

8383
#: ../Doc/library/fnmatch.rst:43
8484
msgid ""

library/glob.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9,7 +49,7 @@ msgid ""
4949
"For a literal match, wrap the meta-characters in brackets. For example, "
5050
"``'[?]'`` matches the character ``'?'``."
5151
msgstr ""
52-
"리터럴 일치를 위해서는, 꺾쇠괄호 안에 메타 문자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는 ``'?'`` 문자와 일치합니다."
52+
"리터럴 일치를 위해서는, 대괄호 안에 메타 문자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는 ``'?'`` 문자와 일치합니다."
5353

5454
#: ../Doc/library/glob.rst:28
5555
msgid "The :mod:`pathlib` module offers high-level path objects."

library/pdb.po

+2-2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91,8 +291,8 @@ msgstr ""
291291
"디버거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이 아래 나열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명령은 한두 문자로 단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
292292
"``h(elp)`` 는 ``h`` 또는 ``help``\\로 help 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
293293
"``he``\\, ``hel``\\, ``H``\\, ``Help`` 또는 ``HELP``\\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자는 "
294-
"반드시 명령과 공백(스페이스나 탭)으로 분리되어야 합니다. 선택적 인자는 명령 문법에서 꺾쇠괄호(``[]``)로 묶여있습니다; "
295-
"꺾쇠괄호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명령 문법에서 대체 가능한 인자는 세로 바(``|``)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294+
"반드시 명령과 공백(스페이스나 탭)으로 분리되어야 합니다. 선택적 인자는 명령 문법에서 대괄호(``[]``)로 묶여있습니다; "
295+
"대괄호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명령 문법에서 대체 가능한 인자는 세로 바(``|``)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296296

297297
#: ../Doc/library/pdb.rst:216
298298
msgid ""

library/stdtypes.po

+2-2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774,13 +1774,13 @@ msgstr "리스트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17741774

17751775
#: ../Doc/library/stdtypes.rst:1148
17761776
msgid "Using a pair of square brackets to denote the empty list: ``[]``"
1777-
msgstr "꺾쇠괄호를 사용하여 빈 리스트를 표시하기: ``[]``"
1777+
msgstr "대괄호를 사용하여 빈 리스트를 표시하기: ``[]``"
17781778

17791779
#: ../Doc/library/stdtypes.rst:1149
17801780
msgid ""
17811781
"Using square brackets, separating items with commas: ``[a]``, ``[a, b, "
17821782
"c]``"
1783-
msgstr "꺾쇠괄호를 사용하여 쉼표로 항목 구분하기: ``[a]``, ``[a, b, c]``"
1783+
msgstr "대괄호를 사용하여 쉼표로 항목 구분하기: ``[a]``, ``[a, b, c]``"
17841784

17851785
#: ../Doc/library/stdtypes.rst:1150
17861786
msgid "Using a list comprehension: ``[x for x in iterable]``"

reference/datamodel.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10,7 +510,7 @@ msgid ""
510510
"placing a comma-separated list of expressions in square brackets. (Note "
511511
"that there are no special cases needed to form lists of length 0 or 1.)"
512512
msgstr ""
513-
"리스트의 항목은 임의의 파이썬 객체입니다. 리스트는 콤마로 분리된 표현식을 꺾쇠괄호 안에 넣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길이 0이나 "
513+
"리스트의 항목은 임의의 파이썬 객체입니다. 리스트는 콤마로 분리된 표현식을 대괄호 안에 넣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길이 0이나 "
514514
"1의 리스트를 만드는데 별도의 규칙이 필요 없습니다.)"
515515

516516
#: ../Doc/reference/datamodel.rst:356

reference/expressions.po

+3-3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8,7 +88,7 @@ msgid ""
8888
"braces are also categorized syntactically as atoms. The syntax for atoms"
8989
" is:"
9090
msgstr ""
91-
"아톰은 표현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가장 간단한 아톰은 식별자와 리터럴입니다. 괄호, 꺾쇠괄호, 중괄호로 둘러싸인 형태도 "
91+
"아톰은 표현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가장 간단한 아톰은 식별자와 리터럴입니다. 괄호, 대괄호, 중괄호로 둘러싸인 형태도 "
9292
"문법적으로 아톰으로 분류됩니다. 아톰의 문법은 이렇습니다:"
9393

9494
#: ../Doc/reference/expressions.rst:66
@@ -324,7 +324,7 @@ msgstr "리스트 디스플레이"
324324
msgid ""
325325
"A list display is a possibly empty series of expressions enclosed in "
326326
"square brackets:"
327-
msgstr "리스트 디스플레이는 꺾쇠괄호(square brackets)로 둘러싸인 표현식의 나열인데 비어있을 수 있습니다:"
327+
msgstr "리스트 디스플레이는 대괄호(square brackets)로 둘러싸인 표현식의 나열인데 비어있을 수 있습니다:"
328328

329329
#: ../Doc/reference/expressions.rst:251
330330
msgid ""
@@ -449,7 +449,7 @@ msgid ""
449449
"same as for comprehensions, except that it is enclosed in parentheses "
450450
"instead of brackets or curly braces."
451451
msgstr ""
452-
"제너레이터 표현식은 새 제너레이터 객체를 만듭니다. 문법은 꺾쇠괄호나 중괄호 대신 괄호로 둘러싸인다는 점만 제외하면 컴프리헨션과 "
452+
"제너레이터 표현식은 새 제너레이터 객체를 만듭니다. 문법은 대괄호나 중괄호 대신 괄호로 둘러싸인다는 점만 제외하면 컴프리헨션과 "
453453
"같습니다."
454454

455455
#: ../Doc/reference/expressions.rst:361

reference/introduction.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29,7 +229,7 @@ msgstr ""
229229
"개별 규칙은 이름 (위 규칙에 등장하는 ``name``)과 ``::=`` 로 시작합니다. 세로막대(``|``)는 "
230230
"대안들을 분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표기법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연산자입니다. 별표(``*``)는 앞에 "
231231
"나오는 항목이 생략되거나 한 번 이상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비슷하게, 더하기(``+``)는 한 번 "
232-
"이상 반복될 수 있지만 생략할 수는 없다는 뜻이고, 꺾쇠괄호(``[]``)로 둘러싸인 것은 최대 한 번 "
232+
"이상 반복될 수 있지만 생략할 수는 없다는 뜻이고, 대괄호(``[]``)로 둘러싸인 것은 최대 한 번 "
233233
"나올 수 있고, 생략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 와 ``+`` 연산자는 최대한 엄격하게 연결됩니다; "
234234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괄호는 덩어리로 묶는 데 사용됩니다. 문자열 리터럴은 따옴표로 둘러싸입니다. "
235235
"공백은 토큰을 분리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규칙은 보통 한 줄로 표현됩니다; 대안이 많은 규칙은 "

reference/lexical_analysis.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91,7 +191,7 @@ msgid ""
191191
"Expressions in parentheses, square brackets or curly braces can be split "
192192
"over more than one physical line without using backslashes. For example::"
193193
msgstr ""
194-
"괄호(``()``), 꺾쇠괄호(``[]``), 중괄호(``{}``)가 사용되는 표현은 역 슬래시 없이도 여러 개의 물리적인 줄로 "
194+
"괄호(``()``), 대괄호(``[]``), 중괄호(``{}``)가 사용되는 표현은 역 슬래시 없이도 여러 개의 물리적인 줄로 "
195195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6196

197197
#: ../Doc/reference/lexical_analysis.rst:149

reference/simple_stmts.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9,7 +109,7 @@ msgstr ""
109109
msgid ""
110110
"Assignment of an object to a target list, optionally enclosed in "
111111
"parentheses or square brackets, is recursively defined as follows."
112-
msgstr "객체를 타깃 목록, 괄호나 꺾쇠괄호로 둘러싸일 수 있는데 생략할 수 있습니다, 에 대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됩니다."
112+
msgstr "객체를 타깃 목록, 괄호나 대괄호로 둘러싸일 수 있는데 생략할 수 있습니다, 에 대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됩니다."
113113

114114
#: ../Doc/reference/simple_stmts.rst:124
115115
msgid ""

tutorial/classes.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64,7 +1164,7 @@ msgid ""
11641164
"definitions and tend to be more memory friendly than equivalent list "
11651165
"comprehensions."
11661166
msgstr ""
1167-
"간단한 제너레이터는 리스트 컴프리헨션과 비슷하지만, 꺾쇠괄호 대신 괄호를 사용하는 문법을 사용한 표현식으로 간결하게 코딩할 수 "
1167+
"간단한 제너레이터는 리스트 컴프리헨션과 비슷하지만, 대괄호 대신 괄호를 사용하는 문법을 사용한 표현식으로 간결하게 코딩할 수 "
11681168
"있습니다. 이 표현식들은 둘러싸는 함수가 제너레이터를 즉시 사용하는 상황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제너레이터 표현식은 완전한 "
11691169
"제너레이터 정의보다 간결하지만, 융통성은 떨어지고, 비슷한 리스트 컴프리헨션보다 메모리를 덜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11701170

tutorial/datastructures.po

+3-3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2,8 +72,8 @@ msgid ""
7272
"Library Reference.)"
7373
msgstr ""
7474
"리스트에서 주어진 위치에 있는 항목을 삭제하고, 그 항목을 돌려줍니다. 인덱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a.pop()`` 은 리스트의"
75-
"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돌려줍니다. (메서드 시그니처에서 *i* 를 둘러싼 꺾쇠괄호는 매개변수가 선택적임을 나타냅니다. 그 위치에"
76-
" 꺾쇠괄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표기법은 파이썬 라이브러리 레퍼런스에서 지주 등장합니다.)"
75+
"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돌려줍니다. (메서드 시그니처에서 *i* 를 둘러싼 대괄호는 매개변수가 선택적임을 나타냅니다. 그 위치에"
76+
" 대괄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표기법은 파이썬 라이브러리 레퍼런스에서 지주 등장합니다.)"
7777

7878
#: ../Doc/tutorial/datastructures.rst:60
7979
msgid "Remove all items from the list. Equivalent to ``del a[:]``."
@@ -219,7 +219,7 @@ msgid ""
219219
"combines the elements of two lists if they are not equal::"
220220
msgstr ""
221221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표현식과 그 뒤를 따르는 :keyword:`!for` 절과 없거나 여러 개의 :keyword:`!for` 나 "
222-
":keyword:`!if` 절들을 감싸는 꺾쇠괄호로 구성됩니다. 그 결과는 새 리스트인데, :keyword:`!for` 와 "
222+
":keyword:`!if` 절들을 감싸는 대괄호로 구성됩니다. 그 결과는 새 리스트인데, :keyword:`!for` 와 "
223223
":keyword:`!if` 절의 문맥에서 표현식의 값을 구해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이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두 리스트의 요소들을"
224224
" 서로 같지 않은 것끼리 결합합니다::"
225225

tutorial/inputoutput.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08,7 +208,7 @@ msgid ""
208208
" and using square brackets ``'[]'`` to access the keys ::"
209209
msgstr ""
210210
"나누고 싶지 않은 정말 긴 포맷 문자열이 있을 때, 포맷할 변수들을 위치 대신에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다면 좋을 것입니다. 간단히 "
211-
"딕셔너리를 넘기고 키를 액세스하는데 꺾쇠괄호 ``'[]'`` 를 사용하면 됩니다 ::"
211+
"딕셔너리를 넘기고 키를 액세스하는데 대괄호 ``'[]'`` 를 사용하면 됩니다 ::"
212212

213213
#: ../Doc/tutorial/inputoutput.rst:182
214214
msgid ""

tutorial/introduction.po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02,7 +402,7 @@ msgid ""
402402
"the same type. ::"
403403
msgstr ""
404404
"파이썬은 다른 값들을 덩어리로 묶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컴파운드 (compound)* 자료 형을 알고 있습니다. 가장 융통성이 "
405-
"있는 것은 *리스트* 인데, 꺾쇠괄호 사이에 쉼표로 구분된 값(항목)들의 목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리스트는 서로 다른 형의 "
405+
"있는 것은 *리스트* 인데, 대괄호 사이에 쉼표로 구분된 값(항목)들의 목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리스트는 서로 다른 형의 "
406406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항목들이 모두 같은 형인 경우가 많습니다. ::"
407407

408408
#: ../Doc/tutorial/introduction.rst:386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