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b467d3ae50ca2411a2ee0134ef271971a7d7f438 Mon Sep 17 00:00:00 2001 From: Shia Date: Mon, 25 Dec 2023 17:46:32 +0900 Subject: [PATCH 1/3] Copy {en/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305 ++++++++++++++++++ 1 file changed, 305 insertions(+) create mode 100644 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diff --git a/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1443d140e4 --- /dev/null +++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0,0 +1,305 @@ +--- +layout: news_post +title: "Ruby 3.3.0 Released" +author: "naruse" +translator: +date: 2023-12-25 00:00:00 +0000 +lang: en +--- + +{% assign release = site.data.releases | where: "version", "3.3.0" | first %}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release of Ruby {{ release.version }}. Ruby 3.3 adds a new parser named Prism, uses Lrama as a parser generator, adds a new pure-Ruby JIT compiler named RJIT, and many performance improvements especially YJIT. + +## Prism + +* Introduced [the Prism parser](https://github.com/ruby/prism) as a default gem + * Prism is a portable, error tolerant, and maintainable recursive descent parser for the Ruby language +* Prism is production ready and actively maintained, you can use it in place of Ripper + * There is [extensive documentation](https://ruby.github.io/prism/) on how to use Prism + * Prism is both a C library that will be used internally by CRuby and a Ruby gem that can be used by any tooling which needs to parse Ruby code + * Notable methods in the Prism API are: + * `Prism.parse(source)` which returns the AST as part of a parse result object + * `Prism.parse_comments(source)` which returns the comments + * `Prism.parse_success?(source)` which returns true if there are no errors +* You can make pull requests or issues directly on [the Prism repository](https://github.com/ruby/prism) if you are interested in contributing +* You can now use `ruby --parser=prism` or `RUBYOPT="--parser=prism"` to experiment with the Prism compiler. Please note that this flag is for debugging only. + +## Use Lrama instead of Bison + +* Replace Bison with [Lrama LALR parser generator](https://github.com/ruby/lrama) [[Feature #19637]](https://bugs.ruby-lang.org/issues/19637) + * If you have interest, please see [The future vision of Ruby Parser](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spikeolaf.html) + * Lrama internal parser is replaced with LR parser generated by Racc for maintainability + * Parameterizing Rules `(?, *, +)` are supported, it will be used in Ruby parse.y + +## YJIT + +* Major performance improvements over Ruby 3.2 + * Support for splat and rest arguments has been improved. + * Registers are allocated for stack operations of the virtual machine. + * More calls with optional arguments are compiled. Exception handlers are also compiled. + * Unsupported call types and megamorphic call sites no longer exit to the interpreter. + * Basic methods like Rails `#blank?` and + [specialized `#presen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09) are inlined. + * `Integer#*`, `Integer#!=`, `String#!=`, `String#getbyte`, + `Kernel#block_given?`, `Kernel#is_a?`, `Kernel#instance_of?`, and `Module#===` + are specially optimized. + * Compilation speed is now slightly faster than Ruby 3.2. + * Now more than 3x faster than the interpreter on Optcarrot! +*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usage over Ruby 3.2 + * Metadata for compiled code uses a lot less memory. + * `--yjit-call-threshold` is automatically raised from 30 to 120 + when the application has more than 40,000 ISEQs. + * `--yjit-cold-threshold` is added to skip compiling cold ISEQs. + * More compact code is generated on Arm64. +* Code GC is now disabled by default + * `--yjit-exec-mem-size` is treated as a hard limit where compilation of new code stops. + * No sudden drops in performance due to code GC. + Better copy-on-write behavior on servers reforking with + [Pitchfork](https://github.com/shopify/pitchfork). + * You can still enable code GC if desired with `--yjit-code-gc` +* Add `RubyVM::YJIT.enable` that can enable YJIT at run-time + * You can start YJIT without modifying command-line arguments or environment variables. + Rails 7.2 will [enable YJIT by defaul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47) + using this method. + * This can also be used to enable YJIT only once your application is + done booting. `--yjit-disable` can be used if you want to use other + YJIT options while disabling YJIT at boot. +* More YJIT stats are available by default + * `yjit_alloc_size` and several more metadata-related stats are now available by default. + * `ratio_in_yjit` stat produced by `--yjit-stats` is now available in release builds, + a special stats or dev build is no longer required to access most stats. +* Add more profiling capabilities + * `--yjit-perf` is added to facilitate profiling with Linux perf. + * `--yjit-trace-exits` now supports sampling with `--yjit-trace-exits-sample-rate=N` +* More thorough testing and multiple bug fixes + +## RJIT + +* Introduced a pure-Ruby JIT compiler RJIT and replaced MJIT. + * RJIT supports only x86-64 architecture on Unix platforms. + * Unlike MJIT, it doesn't require a C compiler at runtime. +* RJIT exists only for experimental purposes. + * You should keep using YJIT in production. +* If you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JIT for Ruby, please check out [k0kubun's presentation on Day 3 of RubyKaigi](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k0kubun.html#day3). + +## M:N thread scheduler + +* M:N thread scheduler was introduced. [[Feature #19842]](https://bugs.ruby-lang.org/issues/19842) + * M Ruby threads are managed by N native threads (OS threads) so the thread creation and management cost are reduced. + * It can break C-extension compatibility so that M:N thread scheduler is disabled on the main Ractor by default. + * `RUBY_MN_THREADS=1` environment variable enables M:N threads on the main Ractor. + * M:N threads are always enabled on non-main Ractors. + * `RUBY_MAX_CPU=n` environment variable sets maximum number of `N` (maximum number of native threads). The default value is 8. + * Since only one Ruby thread per Ractor can run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native threads will be used, which is the smaller of the number specified in `RUBY_MAX_CPU` and the number of running Ractors. So that single Ractor applications (most of applications) will only use 1 native thread. + * To support blocking operations, more than `N` native threads can be used. + +## Performance improvements + +* `defined?(@ivar)` is optimized with Object Shapes. +* Name resolution such as `Socket.getaddrinfo` can now be interrupted (in environments where pthreads are available). [[Feature #19965]](https://bugs.ruby-lang.org/issues/19965) +* Several performance improvements to the Garbage Collector + * Young objects referenced by old objects are no longer immediately + promoted to the old generation.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frequency of + major GC collections. [[Feature #19678]](https://bugs.ruby-lang.org/issues/19678) + * A new `REMEMBERED_WB_UNPROTECTED_OBJECTS_LIMIT_RATIO` tuning variable was + introduced to control the number of unprotected objects cause a major GC + collection to trigger. The default is set to `0.01` (1%). This significantly + reduces the frequency of major GC collection. [[Feature #19571]](https://bugs.ruby-lang.org/issues/19571) + * Write Barriers were implemented for many core types that were missing them, + notably `Time`, `Enumerator`, `MatchData`, `Method`, `File::Stat`, `BigDecimal` + and several others. This significantly reduces minor GC collection time and major + GC collection frequency. + * Most core classes are now using Variable Width Allocation, notably `Hash`, `Time`, + `Thread::Backtrace`, `Thread::Backtrace::Location`, `File::Stat`, `Method`. + This makes these classes faster to allocate and free, use less memory and reduce + heap fragmentation. + * Support for weak references has been added to the garbage collector. [[Feature #19783]](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3) + + +## Other notable changes since 3.2 + +### IRB + +IRB has received several enhance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 Advanced `irb:rdbg` integration that provides an equivalent debugging experience to `pry-byebug` ([doc](https://github.com/ruby/irb#debugging-with-irb)). +- Pager support for `ls`, `show_source` and `show_cmds` commands. +- More accurate and helpfu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s` and `show_source` commands. +- Experimental autocompletion using type analysis ([doc](https://github.com/ruby/irb#type-based-completion)). +- It is now possible to change the font color and font style in the completion dialog by a newly introduced class Reline::Face ([doc](https://github.com/ruby/ruby/blob/master/doc/reline/face.md)) + +In addition, IRB has also undergone extensive refactoring and received dozens of bug fixes to facilitate easier future enhancements. + +## Compatibility issues + +Note: Excluding feature bug fixes. + +* `it` calls without arguments in a block with no ordinary parameters are + deprecated. `it` will be a reference to the first block parameter in Ruby 3.4. + [[Feature #18980]](https://bugs.ruby-lang.org/issues/18980) + +### Removed environment variables + +The following deprecated methods are removed. + +* Environment variable `RUBY_GC_HEAP_INIT_SLOTS` has been deprecated and is a no-op. Please use environment variables `RUBY_GC_HEAP_{0,1,2,3,4}_INIT_SLOTS` instead. [[Feature #19785]](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5) + +## Stdlib compatibility issues + +### `ext/readline` is retired + +* We have `reline` that is pure Ruby implementation compatible with `ext/readline` API. We rely on `reline` in the future. If you need to use `ext/readline`, you can install `ext/readline` via rubygems.org with `gem install readline-ext`. +* We no longer need to install libraries like `libreadline` or `libedit`. + +## Standard library updates + +RubyGems and Bundler warn if users do `require` the following gems without adding them to Gemfile or gemspec. This is because they will become the bundled gems in the future version of Ruby. + +This warning is suppressed if you use bootsnap gem. We recoomend to run your application with `DISABLE_BOOTSNAP=1` environmental variable at least once. This is limitation of this version. + +Targeted libraries are: + * abbrev + * base64 + * bigdecimal + * csv + * drb + * getoptlong + * mutex_m + * nkf + * observer + * racc + * resolv-replace + * rinda + * syslog + +The following default gem is added. + +* prism 0.19.0 + +The following default gems are updated. + +* RubyGems 3.5.3 +* abbrev 0.1.2 +* base64 0.2.0 +* benchmark 0.3.0 +* bigdecimal 3.1.5 +* bundler 2.5.3 +* cgi 0.4.1 +* csv 3.2.8 +* date 3.3.4 +* delegate 0.3.1 +* drb 2.2.0 +* english 0.8.0 +* erb 4.0.3 +* error_highlight 0.6.0 +* etc 1.4.3 +* fcntl 1.1.0 +* fiddle 1.1.2 +* fileutils 1.7.2 +* find 0.2.0 +* getoptlong 0.2.1 +* io-console 0.7.1 +* io-nonblock 0.3.0 +* io-wait 0.3.1 +* ipaddr 1.2.6 +* irb 1.11.0 +* json 2.7.1 +* logger 1.6.0 +* mutex_m 0.2.0 +* net-http 0.4.0 +* net-protocol 0.2.2 +* nkf 0.1.3 +* observer 0.1.2 +* open-uri 0.4.1 +* open3 0.2.1 +* openssl 3.2.0 +* optparse 0.4.0 +* ostruct 0.6.0 +* pathname 0.3.0 +* pp 0.5.0 +* prettyprint 0.2.0 +* pstore 0.1.3 +* psych 5.1.2 +* rdoc 6.6.2 +* readline 0.0.4 +* reline 0.4.1 +* resolv 0.3.0 +* rinda 0.2.0 +* securerandom 0.3.1 +* set 1.1.0 +* shellwords 0.2.0 +* singleton 0.2.0 +* stringio 3.1.0 +* strscan 3.0.7 +* syntax_suggest 2.0.0 +* syslog 0.1.2 +* tempfile 0.2.1 +* time 0.3.0 +* timeout 0.4.1 +* tmpdir 0.2.0 +* tsort 0.2.0 +* un 0.3.0 +* uri 0.13.0 +* weakref 0.1.3 +* win32ole 1.8.10 +* yaml 0.3.0 +* zlib 3.1.0 + +The following bundled gem is promoted from default gems. + +* racc 1.7.3 + +The following bundled gems are updated. + +* minitest 5.20.0 +* rake 13.1.0 +* test-unit 3.6.1 +* rexml 3.2.6 +* rss 0.3.0 +* net-ftp 0.3.3 +* net-imap 0.4.9 +* net-smtp 0.4.0 +* rbs 3.4.0 +* typeprof 0.21.9 +* debug 1.9.1 + +See GitHub releases like [Logger](https://github.com/ruby/logger/releases) or +changelog for details of the default gems or bundled gems. + +See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 release.tag }}/NEWS.md) +or [commit log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 +for more details. + +With those changes, [{{ release.stats.files_changed }} files changed, {{ release.stats.insertions }} insertions(+), {{ release.stats.deletions }} deletion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file_bucket) +since Ruby 3.2.0! + +Merry Christmas, Happy Holidays, and enjoy programming with Ruby 3.3! + +## Download + +* <{{ release.url.gz }}> + + SIZE: {{ release.size.gz }} + SHA1: {{ release.sha1.gz }} + SHA256: {{ release.sha256.gz }} + SHA512: {{ release.sha512.gz }} + +* <{{ release.url.xz }}> + + SIZE: {{ release.size.xz }} + SHA1: {{ release.sha1.xz }} + SHA256: {{ release.sha256.xz }} + SHA512: {{ release.sha512.xz }} + +* <{{ release.url.zip }}> + + SIZE: {{ release.size.zip }} + SHA1: {{ release.sha1.zip }} + SHA256: {{ release.sha256.zip }} + SHA512: {{ release.sha512.zip }} + +## What is Ruby + +Ruby was first developed by Matz (Yukihiro Matsumoto) in 1993, +and is now developed as Open Source. It runs on multiple platforms +and is used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for web development. From d81ce3f6875d33949c63a7eedede1d37e9870ebd Mon Sep 17 00:00:00 2001 From: Shia Date: Mon, 25 Dec 2023 19:45:43 +0900 Subject: [PATCH 2/3] Translate "3.3.0 released" --- .../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279 +++++++++--------- 1 file changed, 139 insertions(+), 140 deletions(-) diff --git a/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index 1443d140e4..1249558afa 100644 --- a/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1,163 +1,162 @@ --- layout: news_post -title: "Ruby 3.3.0 Released" +title: "Ruby 3.3.0 릴리스" author: "naruse" -translator: +translator: "shia" date: 2023-12-25 00:00:00 +0000 -lang: en +lang: ko --- {% assign release = site.data.releases | where: "version", "3.3.0" | first %}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release of Ruby {{ release.version }}. Ruby 3.3 adds a new parser named Prism, uses Lrama as a parser generator, adds a new pure-Ruby JIT compiler named RJIT, and many performance improvements especially YJIT.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은 Prism이라는 이름의 새 파서를 추가하고, 파서 생성기로 Lrama를 사용하며, RJIT으로 명명된 새로운 순수 Ruby JIT 컴파일러를 추가하고, 특히 YJIT에서 많은 성능 향상이 있습니다. ## Prism -* Introduced [the Prism parser](https://github.com/ruby/prism) as a default gem - * Prism is a portable, error tolerant, and maintainable recursive descent parser for the Ruby language -* Prism is production ready and actively maintained, you can use it in place of Ripper - * There is [extensive documentation](https://ruby.github.io/prism/) on how to use Prism - * Prism is both a C library that will be used internally by CRuby and a Ruby gem that can be used by any tooling which needs to parse Ruby code - * Notable methods in the Prism API are: - * `Prism.parse(source)` which returns the AST as part of a parse result object - * `Prism.parse_comments(source)` which returns the comments - * `Prism.parse_success?(source)` which returns true if there are no errors -* You can make pull requests or issues directly on [the Prism repository](https://github.com/ruby/prism) if you are interested in contributing -* You can now use `ruby --parser=prism` or `RUBYOPT="--parser=prism"` to experiment with the Prism compiler. Please note that this flag is for debugging only. - -## Use Lrama instead of Bison - -* Replace Bison with [Lrama LALR parser generator](https://github.com/ruby/lrama) [[Feature #19637]](https://bugs.ruby-lang.org/issues/19637) - * If you have interest, please see [The future vision of Ruby Parser](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spikeolaf.html) - * Lrama internal parser is replaced with LR parser generated by Racc for maintainability - * Parameterizing Rules `(?, *, +)` are supported, it will be used in Ruby parse.y +* [Prism 파서](https://github.com/ruby/prism)를 기본 gem에 추가했습니다. + * Prism은 Ruby 언어를 위한 이식 가능하고, 에러 내성이 있으며 유지 보수 가능한 재귀 하향 파서입니다. +* Prism은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활발하게 유지보수되고 있으므로 Ripper 대신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Prism 사용 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문서](https://ruby.github.io/prism/)가 있습니다. + * Prism은 CRuby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C 라이브러리이자 Ruby 코드를 구문 분석해야 하는 모든 도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Ruby gem입니다. + * Prism API에서 주목할 만한 메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Prism.parse(source)`는 ParseResult의 일부로 AST를 반환합니다. + * `Prism.parse_comments(source)`는 주석을 반환합니다. + * `Prism.parse_success?(source)` 는 에러가 없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 +* 기여에 관심이 있다면 [Prism 저장소](https://github.com/ruby/prism)에서 직접 풀 리퀘스트나 이슈를 만들 수 있습니다. +* `ruby --parser=prism`이나 `RUBYOPT="--parser=prism"`을 사용하여 Prism 컴파일러를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 플래그는 디버깅 용도임을 잊지 마세요. + +## Bison을 Lrama로 대체 + +* Bison 대신 [Lrama LALR 파서 생성기](https://github.com/yui-knk/lrama)를 사용하도록 변경했습니다. [Feature #19637](https://bugs.ruby-lang.org/issues/19637) + * 관심이 있다면 [Ruby 파서의 미래 비전](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spikeolaf.html)을 참고하세요. + * 유지보수성을 위해 Lrama 내부 구문 분석기가 Racc에서 생성한 LR 구문 분석기로 대체되었습니다. + * 매개변수화 규칙 `(?, *, +)`를 지원하며, Ruby의 parse.y에서 사용될 예정입니다. ## YJIT -* Major performance improvements over Ruby 3.2 - * Support for splat and rest arguments has been improved. - * Registers are allocated for stack operations of the virtual machine. - * More calls with optional arguments are compiled. Exception handlers are also compiled. - * Unsupported call types and megamorphic call sites no longer exit to the interpreter. - * Basic methods like Rails `#blank?` and - [specialized `#presen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09) are inlined. - * `Integer#*`, `Integer#!=`, `String#!=`, `String#getbyte`, - `Kernel#block_given?`, `Kernel#is_a?`, `Kernel#instance_of?`, and `Module#===` - are specially optimized. - * Compilation speed is now slightly faster than Ruby 3.2. - * Now more than 3x faster than the interpreter on Optcarrot! -*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usage over Ruby 3.2 - * Metadata for compiled code uses a lot less memory. - * `--yjit-call-threshold` is automatically raised from 30 to 120 - when the application has more than 40,000 ISEQs. - * `--yjit-cold-threshold` is added to skip compiling cold ISEQs. - * More compact code is generated on Arm64. -* Code GC is now disabled by default - * `--yjit-exec-mem-size` is treated as a hard limit where compilation of new code stops. - * No sudden drops in performance due to code GC. - Better copy-on-write behavior on servers reforking with - [Pitchfork](https://github.com/shopify/pitchfork). - * You can still enable code GC if desired with `--yjit-code-gc` -* Add `RubyVM::YJIT.enable` that can enable YJIT at run-time - * You can start YJIT without modifying command-line arguments or environment variables. - Rails 7.2 will [enable YJIT by defaul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47) - using this method. - * This can also be used to enable YJIT only once your application is - done booting. `--yjit-disable` can be used if you want to use other - YJIT options while disabling YJIT at boot. -* More YJIT stats are available by default - * `yjit_alloc_size` and several more metadata-related stats are now available by default. - * `ratio_in_yjit` stat produced by `--yjit-stats` is now available in release builds, - a special stats or dev build is no longer required to access most stats. -* Add more profiling capabilities - * `--yjit-perf` is added to facilitate profiling with Linux perf. - * `--yjit-trace-exits` now supports sampling with `--yjit-trace-exits-sample-rate=N` -* More thorough testing and multiple bug fixes +* 3.2 버전 대비 주요 성능 개선 사항 + * 스플랫과 나머지 인자 지원이 개선되었습니다. + * 가상 머신의 스택 연산을 위해 레지스터가 할당됩니다. + * 선택적 인수가 포함된 더 많은 호출이 컴파일됩니다. 예외 처리기도 컴파일됩니다. + * 지원되지 않는 호출 타입인 경우,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가 가지는 객체 형상의 조합이 매우 복잡한 경우에도 + 컴파일되기 전의 바이트 코드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 * Rails의 `#blank?`와 [특수화한 `#presen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09)는 + 인라인으로 최적화됩니다. + * `Integer#!=`, `String#!=`, `Kernel#block_given?`, `Kernel#is_a?`, + `Kernel#instance_of?`, `Module#===`은 특별히 최적화되었습니다. + * 3.2보다 컴파일 속도가 약간 개선되었습니다. + * 이제 optcarrot에서 인터프리터보다 3배 이상 빠릅니다! +* 3.2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 컴파일된 코드의 메타데이터가 훨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 * `--yjit-call-threshold`는 애플리케이션의 ISEQ이 40,000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 자동으로 30에서 120으로 증가합니다. + * 적게 사용되는 ISEQ의 컴파일을 생략하는 `--yjit-cold-threshold`가 추가됩니다. + * ARM64에서 더 작은 코드를 생성합니다. +* 코드 GC는 이제 비활성화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 * `--yjit-exec-mem-size`를 새 코드 컴파일을 멈추는 최대 상한으로 취급합니다. + * 코드 GC로 인한 급격한 성능 하락이 사라집니다. + [Pitchfork](https://github.com/shopify/pitchfork)로 리포크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 더 나은 쓰기 시 복사 동작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 필요하다면 `--yjit-code-gc`로 코드 GC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실행 시간에 YJIT을 활성화할 수 있는 `RubyVM::YJIT.enable`이 추가됩니다. + * 실행 명령의 인수나 환경 변수의 변경 없이 YJIT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Rails 7.2는 이 메서드를 사용해 + [기본으로 YJIT을 활성화](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47)합니다. + * 애플리케이션 부팅이 완료된 후에 YJIT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부팅 시 YJIT를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다른 YJIT 옵션을 사용하려는 경우 + `--yjit-disab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으로 더 많은 YJIT 통계 정보를 제공합니다. + * `yjit_alloc_size`와 메타 정보에 관련된 몇몇 통계가 기본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 `--yjit-stats`로부터 생성된 `ratio_in_yjit` 통계는 릴리스 빌드에서도 이용 가능하며, + 대부분의 통계에 접근하는 데 특수한 통계나 개발 빌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 프로파일일 수단의 추가 + * Linux perf로 프로파일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yjit-perf`가 추가됩니다. + * `--yjit-trace-exits`는 `--yjit-trace-exits-sample-rate=N`을 통한 샘플링을 지원합니다. +* 보다 철저한 테스트와 여러 버그 수정 ## RJIT -* Introduced a pure-Ruby JIT compiler RJIT and replaced MJIT. - * RJIT supports only x86-64 architecture on Unix platforms. - * Unlike MJIT, it doesn't require a C compiler at runtime. -* RJIT exists only for experimental purposes. - * You should keep using YJIT in production. -* If you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JIT for Ruby, please check out [k0kubun's presentation on Day 3 of RubyKaigi](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k0kubun.html#day3). +* 순수 Ruby JIT 컴파일러 RJIT을 도입하고 MJIT을 대체했습니다. + * RJIT은 Unix 플랫폼에서 x86-64 아키텍처만 지원합니다. + * MJIT과 달리 런타임에 C 컴파일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RJIT은 실험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 *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YJIT을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 Ruby용 JIT 개발에 관심이 있다면 [RubyKaigi 2023 3일 차에 있었던 k0kubun의 발표](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k0kubun.html#day3)를 확인하세요. ## M:N thread scheduler -* M:N thread scheduler was introduced. [[Feature #19842]](https://bugs.ruby-lang.org/issues/19842) - * M Ruby threads are managed by N native threads (OS threads) so the thread creation and management cost are reduced. - * It can break C-extension compatibility so that M:N thread scheduler is disabled on the main Ractor by default. - * `RUBY_MN_THREADS=1` environment variable enables M:N threads on the main Ractor. - * M:N threads are always enabled on non-main Ractors. - * `RUBY_MAX_CPU=n` environment variable sets maximum number of `N` (maximum number of native threads). The default value is 8. - * Since only one Ruby thread per Ractor can run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native threads will be used, which is the smaller of the number specified in `RUBY_MAX_CPU` and the number of running Ractors. So that single Ractor applications (most of applications) will only use 1 native thread. - * To support blocking operations, more than `N` native threads can be used. - -## Performance improvements - -* `defined?(@ivar)` is optimized with Object Shapes. -* Name resolution such as `Socket.getaddrinfo` can now be interrupted (in environments where pthreads are available). [[Feature #19965]](https://bugs.ruby-lang.org/issues/19965) -* Several performance improvements to the Garbage Collector - * Young objects referenced by old objects are no longer immediately - promoted to the old generation.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frequency of - major GC collections. [[Feature #19678]](https://bugs.ruby-lang.org/issues/19678) - * A new `REMEMBERED_WB_UNPROTECTED_OBJECTS_LIMIT_RATIO` tuning variable was - introduced to control the number of unprotected objects cause a major GC - collection to trigger. The default is set to `0.01` (1%). This significantly - reduces the frequency of major GC collection. [[Feature #19571]](https://bugs.ruby-lang.org/issues/19571) - * Write Barriers were implemented for many core types that were missing them, - notably `Time`, `Enumerator`, `MatchData`, `Method`, `File::Stat`, `BigDecimal` - and several others. This significantly reduces minor GC collection time and major - GC collection frequency. - * Most core classes are now using Variable Width Allocation, notably `Hash`, `Time`, - `Thread::Backtrace`, `Thread::Backtrace::Location`, `File::Stat`, `Method`. - This makes these classes faster to allocate and free, use less memory and reduce - heap fragmentation. - * Support for weak references has been added to the garbage collector. [[Feature #19783]](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3) - - -## Other notable changes since 3.2 +* M:N 스레드 스케쥴러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842]](https://bugs.ruby-lang.org/issues/19842) + * M개의 Ruby 스레드를 N개의 네이티브 스레드(OS 스레드)로 관리하므로 스레드의 생성, 관리 비용이 절감됩니다. + * C 확장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 Ractor에서의 기본 설정은 비활성입니다. + * `RUBY_MN_THREADS=1` 환경 변수를 사용해 주 Ractor에서 M:N 스레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 M:N 스레드는 주 Ractor가 아닌 Ractor에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 `RUBY_MAX_CPU=n` 환경 변수는 `N`(네이티브 스레드의 최대 개수)의 최댓값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8입니다. + * 하나의 Ractor에서는 하나의 Ruby 스레드만 실행 가능하므로 실제로 사용되는 네이티브 스레드의 개수는 `RUBY_MAX_CPU`에서 지정한 숫자나 실행 중인 Ractor의 개수보다 작습니다. 그러므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단일 Ractor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하나의 네이티브 스레드를 사용합니다. + * 블로킹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N`개 이상의 네이티브 스레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 성능 향상 + +* `defined?(@ivar)`가 객체 형상에 맞게 최적화됩니다. +* `Socket.getaddrinfo`와 같은 이름 해결을 (POSIX 스레드가 사용 가능한 환경에서) 중단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9965](https://bugs.ruby-lang.org/issues/19965) +* 가비지 컬렉터의 몇몇 성능 향상 + * 오래된 객체가 참조하는 어린 객체는 이제 즉시 오래된 객체로 마킹되지 않습니다. + 이 동작은 메이저 GC의 빈도를 상당히 낮춰줍니다. + [[Feature #19678]](https://bugs.ruby-lang.org/issues/19678) + * 메이저 GC를 야기하는 보호받지 않은 객체의 숫자를 제어하는 + 새로운 변수 `REMEMBERED_WB_UNPROTECTED_OBJECTS_LIMIT_RATIO`가 추가되었습니다. + 기본값은 `0.01` (1%)입니다. 이는 메이저 GC의 빈도를 상당히 낮춰줍니다. + [[Feature #19571]](https://bugs.ruby-lang.org/issues/19571) + * `Time`, `Enumerator`, `MatchData`, `Method`, `File::Stat`, `BigDecimal` 등의 + 주요 타입에 부족했던 쓰기 보호가 구현되었습니다. + 이는 마이너 GC에 걸리는 시간과 메이저 GC 빈도를 상당히 줄여줍니다. + * `Hash`, `Time`, `Thread::Backtrace`, `Thread::Backtrace::Location`, + `File::Stat`, `Method` 등의 대부분의 주요 클래스는 이제 가변 폭 할당을 사용합니다. + 이는 해당 클래스의 할당 및 할당 해제 속도를 빠르게 만들며, 메모리 사용량과 + 힙 파편화를 줄여줍니다. + * 가비지 컬렉터에 약한 참조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783](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3) + + +## 그 이외의 3.2 이후로 주목할 만한 변경 ### IRB -IRB has received several enhance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IRB에 여러 개선 사항이 추가됩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 Advanced `irb:rdbg` integration that provides an equivalent debugging experience to `pry-byebug` ([doc](https://github.com/ruby/irb#debugging-with-irb)). -- Pager support for `ls`, `show_source` and `show_cmds` commands. -- More accurate and helpfu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s` and `show_source` commands. -- Experimental autocompletion using type analysis ([doc](https://github.com/ruby/irb#type-based-completion)). -- It is now possible to change the font color and font style in the completion dialog by a newly introduced class Reline::Face ([doc](https://github.com/ruby/ruby/blob/master/doc/reline/face.md)) +- 고급 `irb:rdbg` 통합 기능은 `pry-byebug`와 동등한 디버깅 경험을 제공합니다. ([문서](https://github.com/ruby/irb#debugging-with-irb)). +- `ls`와 `show_source`, `show_cmds`와 같은 명령어에서 페이징을 지원합니다. +- `ls`, `show_source` 명령에서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타입 분석을 사용하는 실험적인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문서](https://github.com/ruby/irb#type-based-completion)). +- Reline::Face 클래스의 도입으로 자동완성 다이얼로그의 글씨 색과 스타일이 변경 가능합니다. ([문서](https://github.com/ruby/ruby/blob/master/doc/reline/face.md)) -In addition, IRB has also undergone extensive refactoring and received dozens of bug fixes to facilitate easier future enhancements. +또한, IRB는 광범위한 리팩토링을 거쳤으며, 향후 개선이 용이하도록 많은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 Compatibility issues +## 호환성 문제 -Note: Excluding feature bug fixes. +주의: 기능 버그 수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it` calls without arguments in a block with no ordinary parameters are - deprecated. `it` will be a reference to the first block parameter in Ruby 3.4. - [[Feature #18980]](https://bugs.ruby-lang.org/issues/18980) +* 블록에서 매개변수 없이 `it`을 호출하는 기능은 삭제 예정입니다. + Ruby 3.4부터 `it`은 첫 번째 블록 인수를 가리킵니다. + [Feature #18980](https://bugs.ruby-lang.org/issues/18980) -### Removed environment variables +### 삭제된 환경 변수 -The following deprecated methods are removed. +폐기 예정이었던 환경 변수가 삭제됩니다. -* Environment variable `RUBY_GC_HEAP_INIT_SLOTS` has been deprecated and is a no-op. Please use environment variables `RUBY_GC_HEAP_{0,1,2,3,4}_INIT_SLOTS` instead. [[Feature #19785]](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5) +* 환경 변수 `RUBY_GC_HEAP_INIT_SLOTS`는 폐기 예정이었으며 아무 효과도 없습니다. 대신 환경 변수 `RUBY_GC_HEAP_{0,1,2,3,4}_INIT_SLOTS`를 사용해 주세요. [Feature #19785](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5) -## Stdlib compatibility issues +## Stdlib 호환성 문제 -### `ext/readline` is retired +### `ext/readline` 폐기 -* We have `reline` that is pure Ruby implementation compatible with `ext/readline` API. We rely on `reline` in the future. If you need to use `ext/readline`, you can install `ext/readline` via rubygems.org with `gem install readline-ext`. -* We no longer need to install libraries like `libreadline` or `libedit`. +* 우리는 `ext/readline` API와 호환되는 순수 Ruby 구현인 `reline`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reline`에 의존할 것입니다. `ext/readline`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gem install readline-ext`를 사용하여 rubygems.org를 통해 `ext/readline`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이제 더 이상 `libreadline` 또는 `libedit`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 Standard library updates +## 표준 라이브러리 갱신 -RubyGems and Bundler warn if users do `require` the following gems without adding them to Gemfile or gemspec. This is because they will become the bundled gems in the future version of Ruby. +사용자가 미래의 Ruby 버전에서 내장될 예정의 gem을 직접 불러올 때 RubyGems와 Bundler가 경고 문구를 출력합니다. -This warning is suppressed if you use bootsnap gem. We recoomend to run your application with `DISABLE_BOOTSNAP=1` environmental variable at least once. This is limitation of this version. +bootsnap gem을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경고를 생략합니다. 적어도 한번 `DISABLE_BOOTSNAP=1` 환경 변수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길 권장합니다. 이는 이번 버전에만 해당되는 제약입니다. -Targeted libraries are: +다음 라이브러리가 대상입니다. * abbrev * base64 * bigdecimal @@ -172,11 +171,11 @@ Targeted libraries are: * rinda * syslog -The following default gem is added. +다음 기본 gem이 추가되었습니다. * prism 0.19.0 -The following default gems are updated. +다음 기본 gem이 갱신되었습니다. * RubyGems 3.5.3 * abbrev 0.1.2 @@ -245,11 +244,11 @@ The following default gems are updated. * yaml 0.3.0 * zlib 3.1.0 -The following bundled gem is promoted from default gems. +다음 기본 gem이 내장됩니다. * racc 1.7.3 -The following bundled gems are updated. +다음 내장 gem이 갱신됩니다. * minitest 5.20.0 * rake 13.1.0 @@ -263,19 +262,19 @@ The following bundled gems are updated. * typeprof 0.21.9 * debug 1.9.1 -See GitHub releases like [Logger](https://github.com/ruby/logger/releases) or -changelog for details of the default gems or bundled gems. +기본 gem 또는 내장 gem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ogger](https://github.com/ruby/logger/releases)와 같은 +GitHub 릴리스 또는 변경 로그에서 확인하세요. -See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 release.tag }}/NEWS.md) -or [commit log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 -for more details. +더 자세한 내용은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 release.tag }}/NEWS.md)나 +[커밋 로그](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를 +확인해 주세요. -With those changes, [{{ release.stats.files_changed }} files changed, {{ release.stats.insertions }} insertions(+), {{ release.stats.deletions }} deletions(-)](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file_bucket) -since Ruby 3.2.0! +이러한 변경사항에 따라, Ruby 3.2.0 이후로 [파일 {{ release.stats.files_changed }}개 수정, {{ release.stats.insertions }}줄 추가(+), {{ release.stats.deletions }}줄 삭제(-)](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2_0...{{ release.tag }}#file_bucket)가 +이루어졌습니다! -Merry Christmas, Happy Holidays, and enjoy programming with Ruby 3.3! +메리 크리스마스, 해피 홀리데이, 그리고 Ruby 3.3과 함께 프로그래밍을 즐겨보세요! -## Download +## 다운로드 * <{{ release.url.gz }}> @@ -298,8 +297,8 @@ Merry Christmas, Happy Holidays, and enjoy programming with Ruby 3.3! SHA256: {{ release.sha256.zip }} SHA512: {{ release.sha512.zip }} -## What is Ruby +## Ruby는 -Ruby was first developed by Matz (Yukihiro Matsumoto) in 1993, -and is now developed as Open Source. It runs on multiple platforms -and is used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for web development. +Ruby는 1993년에 Matz(마츠모토 유키히로) 씨가 처음 개발했고, +현재는 오픈 소스로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하며, +특히 웹 개발에서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From b43f910f6931872eed43b8fd6c63cb87481acf7e Mon Sep 17 00:00:00 2001 From: Shia Date: Mon, 25 Dec 2023 22:36:53 +0900 Subject: [PATCH 3/3] Apply suggestions from code review Co-authored-by: Chayoung You --- .../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46 +++++++++---------- 1 file changed, 23 insertions(+), 23 deletions(-) diff --git a/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index 1249558afa..759f321fee 100644 --- a/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b/ko/news/_posts/2023-12-25-ruby-3-3-0-released.md @@ -18,34 +18,34 @@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 * Prism 사용 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문서](https://ruby.github.io/prism/)가 있습니다. * Prism은 CRuby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C 라이브러리이자 Ruby 코드를 구문 분석해야 하는 모든 도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Ruby gem입니다. * Prism API에서 주목할 만한 메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Prism.parse(source)`는 ParseResult의 일부로 AST를 반환합니다. + * `Prism.parse(source)`는 구분 분석 결과 객체의 일부로 AST를 반환합니다. * `Prism.parse_comments(source)`는 주석을 반환합니다. - * `Prism.parse_success?(source)` 는 에러가 없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 + * `Prism.parse_success?(source)`는 에러가 없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 * 기여에 관심이 있다면 [Prism 저장소](https://github.com/ruby/prism)에서 직접 풀 리퀘스트나 이슈를 만들 수 있습니다. * `ruby --parser=prism`이나 `RUBYOPT="--parser=prism"`을 사용하여 Prism 컴파일러를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 플래그는 디버깅 용도임을 잊지 마세요. ## Bison을 Lrama로 대체 -* Bison 대신 [Lrama LALR 파서 생성기](https://github.com/yui-knk/lrama)를 사용하도록 변경했습니다. [Feature #19637](https://bugs.ruby-lang.org/issues/19637) +* Bison 대신 [Lrama LALR 파서 생성기](https://github.com/ruby/lrama)를 사용하도록 변경했습니다. [[Feature #19637]](https://bugs.ruby-lang.org/issues/19637) * 관심이 있다면 [Ruby 파서의 미래 비전](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spikeolaf.html)을 참고하세요. * 유지보수성을 위해 Lrama 내부 구문 분석기가 Racc에서 생성한 LR 구문 분석기로 대체되었습니다. * 매개변수화 규칙 `(?, *, +)`를 지원하며, Ruby의 parse.y에서 사용될 예정입니다. ## YJIT -* 3.2 버전 대비 주요 성능 개선 사항 +* Ruby 3.2 버전 대비 주요 성능 개선 사항 * 스플랫과 나머지 인자 지원이 개선되었습니다. * 가상 머신의 스택 연산을 위해 레지스터가 할당됩니다. * 선택적 인수가 포함된 더 많은 호출이 컴파일됩니다. 예외 처리기도 컴파일됩니다. * 지원되지 않는 호출 타입인 경우,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가 가지는 객체 형상의 조합이 매우 복잡한 경우에도 컴파일되기 전의 바이트 코드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 * Rails의 `#blank?`와 [특수화한 `#presen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09)는 + * Rails의 `#blank?`와 [특수화한 `#present?`](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09) 같은 단순한 메서드는 인라인으로 최적화됩니다. - * `Integer#!=`, `String#!=`, `Kernel#block_given?`, `Kernel#is_a?`, - `Kernel#instance_of?`, `Module#===`은 특별히 최적화되었습니다. - * 3.2보다 컴파일 속도가 약간 개선되었습니다. + * `Integer#*`, `Integer#!=`, `String#!=`, `String#getbyte`, + `Kernel#block_given?`, `Kernel#is_a?`, `Kernel#instance_of?`, `Module#===`은 특별히 최적화되었습니다. + * Ruby 3.2보다 컴파일 속도가 약간 개선되었습니다. * 이제 optcarrot에서 인터프리터보다 3배 이상 빠릅니다! -* 3.2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Ruby 3.2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컴파일된 코드의 메타데이터가 훨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 `--yjit-call-threshold`는 애플리케이션의 ISEQ이 40,000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30에서 120으로 증가합니다. @@ -60,7 +60,7 @@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 * 실행 시간에 YJIT을 활성화할 수 있는 `RubyVM::YJIT.enable`이 추가됩니다. * 실행 명령의 인수나 환경 변수의 변경 없이 YJIT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Rails 7.2는 이 메서드를 사용해 - [기본으로 YJIT을 활성화](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47)합니다. + [기본으로 YJIT을 활성화](https://github.com/rails/rails/pull/49947)할 예정입니다. * 애플리케이션 부팅이 완료된 후에 YJIT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팅 시 YJIT를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다른 YJIT 옵션을 사용하려는 경우 `--yjit-disab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68,7 +68,7 @@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 * `yjit_alloc_size`와 메타 정보에 관련된 몇몇 통계가 기본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yjit-stats`로부터 생성된 `ratio_in_yjit` 통계는 릴리스 빌드에서도 이용 가능하며, 대부분의 통계에 접근하는 데 특수한 통계나 개발 빌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 프로파일일 수단의 추가 +* 프로파일링 기능 추가 * Linux perf로 프로파일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yjit-perf`가 추가됩니다. * `--yjit-trace-exits`는 `--yjit-trace-exits-sample-rate=N`을 통한 샘플링을 지원합니다. * 보다 철저한 테스트와 여러 버그 수정 @@ -80,30 +80,30 @@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 * MJIT과 달리 런타임에 C 컴파일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RJIT은 실험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YJIT을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 Ruby용 JIT 개발에 관심이 있다면 [RubyKaigi 2023 3일 차에 있었던 k0kubun의 발표](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k0kubun.html#day3)를 확인하세요. +* Ruby용 JIT 개발에 관심이 있다면 [RubyKaigi 2023 3일차에 있었던 k0kubun의 발표](https://rubykaigi.org/2023/presentations/k0kubun.html#day3)를 확인하세요. -## M:N thread scheduler +## M:N 스레드 스케줄러 -* M:N 스레드 스케쥴러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842]](https://bugs.ruby-lang.org/issues/19842) +* M:N 스레드 스케줄러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842]](https://bugs.ruby-lang.org/issues/19842) * M개의 Ruby 스레드를 N개의 네이티브 스레드(OS 스레드)로 관리하므로 스레드의 생성, 관리 비용이 절감됩니다. * C 확장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 Ractor에서의 기본 설정은 비활성입니다. * `RUBY_MN_THREADS=1` 환경 변수를 사용해 주 Ractor에서 M:N 스레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 M:N 스레드는 주 Ractor가 아닌 Ractor에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 M:N 스레드는 주 Ractor가 아닌 Ractor에서 항상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RUBY_MAX_CPU=n` 환경 변수는 `N`(네이티브 스레드의 최대 개수)의 최댓값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8입니다. - * 하나의 Ractor에서는 하나의 Ruby 스레드만 실행 가능하므로 실제로 사용되는 네이티브 스레드의 개수는 `RUBY_MAX_CPU`에서 지정한 숫자나 실행 중인 Ractor의 개수보다 작습니다. 그러므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단일 Ractor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하나의 네이티브 스레드를 사용합니다. + * 하나의 Ractor에서는 하나의 Ruby 스레드만 실행 가능하므로 실제로 사용되는 네이티브 스레드의 개수는 `RUBY_MAX_CPU`에서 지정한 숫자나 실행 중인 Ractor의 개수보다 작습니다. 그러므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단일 Ractor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단 하나의 네이티브 스레드를 사용합니다. * 블로킹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N`개 이상의 네이티브 스레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성능 향상 * `defined?(@ivar)`가 객체 형상에 맞게 최적화됩니다. -* `Socket.getaddrinfo`와 같은 이름 해결을 (POSIX 스레드가 사용 가능한 환경에서) 중단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9965](https://bugs.ruby-lang.org/issues/19965) +* `Socket.getaddrinfo`와 같은 이름 해결을 (POSIX 스레드가 사용 가능한 환경에서) 중단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9965]](https://bugs.ruby-lang.org/issues/19965) * 가비지 컬렉터의 몇몇 성능 향상 * 오래된 객체가 참조하는 어린 객체는 이제 즉시 오래된 객체로 마킹되지 않습니다. 이 동작은 메이저 GC의 빈도를 상당히 낮춰줍니다. [[Feature #19678]](https://bugs.ruby-lang.org/issues/19678) * 메이저 GC를 야기하는 보호받지 않은 객체의 숫자를 제어하는 새로운 변수 `REMEMBERED_WB_UNPROTECTED_OBJECTS_LIMIT_RATIO`가 추가되었습니다. - 기본값은 `0.01` (1%)입니다. 이는 메이저 GC의 빈도를 상당히 낮춰줍니다. + 기본값은 `0.01`(1%)입니다. 이는 메이저 GC의 빈도를 상당히 낮춰줍니다. [[Feature #19571]](https://bugs.ruby-lang.org/issues/19571) * `Time`, `Enumerator`, `MatchData`, `Method`, `File::Stat`, `BigDecimal` 등의 주요 타입에 부족했던 쓰기 보호가 구현되었습니다. @@ -112,7 +112,7 @@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3 `File::Stat`, `Method` 등의 대부분의 주요 클래스는 이제 가변 폭 할당을 사용합니다. 이는 해당 클래스의 할당 및 할당 해제 속도를 빠르게 만들며, 메모리 사용량과 힙 파편화를 줄여줍니다. - * 가비지 컬렉터에 약한 참조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783](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3) + * 가비지 컬렉터에 약한 참조가 추가됩니다. [[Feature #19783]](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3) ## 그 이외의 3.2 이후로 주목할 만한 변경 @@ -135,13 +135,13 @@ IRB에 여러 개선 사항이 추가됩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 * 블록에서 매개변수 없이 `it`을 호출하는 기능은 삭제 예정입니다. Ruby 3.4부터 `it`은 첫 번째 블록 인수를 가리킵니다. - [Feature #18980](https://bugs.ruby-lang.org/issues/18980) + [[Feature #18980]](https://bugs.ruby-lang.org/issues/18980) ### 삭제된 환경 변수 폐기 예정이었던 환경 변수가 삭제됩니다. -* 환경 변수 `RUBY_GC_HEAP_INIT_SLOTS`는 폐기 예정이었으며 아무 효과도 없습니다. 대신 환경 변수 `RUBY_GC_HEAP_{0,1,2,3,4}_INIT_SLOTS`를 사용해 주세요. [Feature #19785](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5) +* 환경 변수 `RUBY_GC_HEAP_INIT_SLOTS`는 폐기 예정이었으며 아무 효과도 없습니다. 대신 환경 변수 `RUBY_GC_HEAP_{0,1,2,3,4}_INIT_SLOTS`를 사용해 주세요. [[Feature #19785]](https://bugs.ruby-lang.org/issues/19785) ## Stdlib 호환성 문제 @@ -152,9 +152,9 @@ IRB에 여러 개선 사항이 추가됩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 ## 표준 라이브러리 갱신 -사용자가 미래의 Ruby 버전에서 내장될 예정의 gem을 직접 불러올 때 RubyGems와 Bundler가 경고 문구를 출력합니다. +사용자가 미래의 Ruby 버전에서 내장될 예정의 gem을 Gemfile이나 gemspec에 추가하지 않고 직접 `require` 할 때 RubyGems와 Bundler가 경고 문구를 출력합니다. -bootsnap gem을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경고를 생략합니다. 적어도 한번 `DISABLE_BOOTSNAP=1` 환경 변수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길 권장합니다. 이는 이번 버전에만 해당되는 제약입니다. +bootsnap gem을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경고를 생략합니다. 적어도 한 번은 `DISABLE_BOOTSNAP=1` 환경 변수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길 권장합니다. 이는 이번 버전에만 해당되는 제약입니다. 다음 라이브러리가 대상입니다. * abbr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