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34 +5,105 @@ lang: ko
5
5
---
6
6
7
7
Ruby와 관련한 보안이슈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8
+ {: .summary}
8
9
9
- ### 문제점 알리기
10
+ ### 보안 취약점 알리기
10
11
11
12
보안상 취약한 부분이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12
- [ security@ruby-lang.org ] ( mailto:security@ruby-lang.org ) 를 통해 알려주십시오. 이는
13
- 비공개 메일링 리스트로서 운영되고 있으며 보고된 문제에 대한 확인과 해결책이 이루어진 다음 일반에게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14
-
15
- 여러분께서 알려주신 문제점은 더욱 향상된 Ruby를 개발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혹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16
- 개인적인 블로그나 기타 게시판을 이용하기 보다는 비공개 메일링 리스트
17
- [ security@ruby-lang.org ] ( mailto:security@ruby-lang.org ) 를 통해 알려주시면
18
- 감사하겠습니다.
19
-
20
- 보고 방식에 관해서는 [ redmine wiki] [ 1 ]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3
+ security@ruby-lang.org ([ the PGP public key] ( /security.asc ) )로 메일을 보내주십시오. 이는
14
+ 비공개 메일링 리스트로 운영되고 있으며 보고된 문제에 대한 확인과 해결책이 이루어진 다음 일반에게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21
15
22
16
### 알려진 취약점
23
17
24
18
다음과 같은 보안 취약점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25
19
26
- * [ WEBrick XSS취약점] [ 2 ] 2010년 8월 16일 공개
27
- * [ WEBrick::이스케이프 시퀀스 취약점] [ 3 ] 2010년 1월 10일 공개
28
- * [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보안 취약성] [ 4 ] 2008년 6월 20일 공개
20
+ * [ 부동소수점 파싱할 때 힙 오버플로 발생
21
+ (CVE-2013 -4164)] ( /ko/news/2013/11/22/heap-overflow-in-floating-point-parsing-cve-2013-4164/ )
22
+ 2013년 11월 22일 공개
23
+ * [ Hostname check bypassing vulnerability in SSL client
24
+ (CVE-2013 -4073)] ( /en/news/2013/06/27/hostname-check-bypassing-vulnerability-in-openssl-client-cve-2013-4073/ )
25
+ 2013년 6월 27일 공개
26
+ * [ Object taint bypassing in DL and Fiddle in Ruby
27
+ (CVE-2013 -2065)] ( /en/news/2013/05/14/taint-bypass-dl-fiddle-cve-2013-2065/ )
28
+ 2013년 5월 14일 공개
29
+ * [ Entity expansion DoS vulnerability in REXML (XML bomb,
30
+ CVE-2013 -1821)] [ 1 ]
31
+ 2013년 2월 22일 공개
32
+ * [ Denial of Service and Unsafe Object Creation Vulnerability in JSON
33
+ (CVE-2013 -0269)] [ 2 ]
34
+ 2013년 2월 22일 공개
35
+ * [ XSS exploit of RDoc documentation generated by rdoc
36
+ (CVE-2013 -0256)] [ 3 ]
37
+ 2013년 2월 6일 공개
38
+ * [ Hash-flooding DoS vulnerability for ruby 1.9 (CVE-2012 -5371)] [ 4 ]
39
+ 2012년 10월 10일 공개
40
+ * [ Unintentional file creation caused by inserting a illegal NUL
41
+ character (CVE-2012 -4522)] [ 5 ]
42
+ 2012년 10월 12일 공개
43
+ * [ $SAFE escaping vulnerability about Exception#to\_ s / NameError#to\_ s
44
+ (CVE-2012 -4464, CVE-2012 -4466)] [ 6 ]
45
+ 2012년 10월 12일 공개
46
+ * [ Security Fix for RubyGems: SSL server verification failure for remote
47
+ repository] [ 7 ] 2012년 4월 20일 공개
48
+ * [ Security Fix for Ruby OpenSSL module: Allow 0/n splitting as a
49
+ prevention for the TLS BEAST attack] [ 8 ]
50
+ 2012년 2월 16일 공개
51
+ * [ Denial of service attack was found for Ruby\' s Hash algorithm
52
+ (CVE-2011 -4815)] [ 9 ]
53
+ 2011년 12월 28일 공개
54
+ * [ Exception methods can bypass $SAFE] [ 10 ]
55
+ 2011년 2월 18일 공개
56
+ * [ FileUtils is vulnerable to symlink race attacks] [ 11 ]
57
+ 2011년 2월 18일 공개
58
+ * [ WEBrick XSS취약점 (CVE-2010 -0541)] [ 12 ]
59
+ 2010년 8월 16일 공개
60
+ * [ Buffer over-run in ARGF.inplace\_ mode=] [ 13 ]
61
+ 2010년 7월 2일 공개
62
+ * [ WEBrick::이스케이프 시퀀스 취약점] [ 14 ]
63
+ 2010년 1월 10일 공개
64
+ * [ Heap overflow in String (CVE-2009 -4124)] [ 15 ]
65
+ 2009년 12월 7일 공개
66
+ * [ DoS vulnerability in
67
+ BigDecimal] ( /en/news/2009/06/09/dos-vulnerability-in-bigdecimal/ )
68
+ 2009년 6월 9일 공개
69
+ * [ DoS vulnerability in
70
+ REXML] ( /en/news/2008/08/23/dos-vulnerability-in-rexml/ )
71
+ 2008년 8월 23일 공개
72
+ * [ Multiple vulnerabilities in
73
+ Ruby] ( /en/news/2008/08/08/multiple-vulnerabilities-in-ruby/ )
74
+ 2008년 8월 8일 공개
75
+ * [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보안
76
+ 취약성] ( /ko/news/2008/06/23/arbitrary-code-execution-vulnerabilities )
77
+ 2008년 6월 20일 공개
78
+ * [ File access vulnerability of
79
+ WEBrick] ( /en/news/2008/03/03/webrick-file-access-vulnerability/ )
80
+ 2008년 5월 3일 공개
81
+ * [ Net::HTTPS
82
+ Vulnerability] ( /en/news/2007/10/04/net-https-vulnerability/ )
83
+ 2007년 10월 4일 공개
84
+ * [ Another DoS Vulnerability in CGI
85
+ Library] ( /en/news/2006/12/04/another-dos-vulnerability-in-cgi-library/ )
86
+ 2006년 11월 3일 공개
87
+ * [ Ruby vulnerability in the safe level
88
+ settings] ( /en/news/2005/10/03/ruby-vulnerability-in-the-safe-level-settings/ )
89
+ 2005년 10월 2일 공개
29
90
30
- 이외의 좀 더 자세한 사항은 [ 영문 홈페이지 ] [ 5 ]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91
+ 좀 더 자세한 사항은 [ 영문 페이지 ] ( /en/security/ )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1
92
32
93
94
+ [ 1 ] : /en/news/2013/02/22/rexml-dos-2013-02-22/
95
+ [ 2 ] : /en/news/2013/02/22/json-dos-cve-2013-0269/
96
+ [ 3 ] : /en/news/2013/02/06/rdoc-xss-cve-2013-0256/
97
+ [ 4 ] : /en/news/2012/11/09/ruby19-hashdos-cve-2012-5371/
98
+ [ 5 ] : /en/news/2012/10/12/poisoned-NUL-byte-vulnerability/
99
+ [ 6 ] : /en/news/2012/10/12/cve-2012-4464-cve-2012-4466/
100
+ [ 7 ] : /en/news/2012/04/20/ruby-1-9-3-p194-is-released/
101
+ [ 8 ] : /en/news/2012/02/16/security-fix-for-ruby-openssl-module-allow-0n-splitting-as-a-prevention-for-the-tls-beast-attack-/
102
+ [ 9 ] : /en/news/2011/12/28/denial-of-service-attack-was-found-for-rubys-hash-algorithm-cve-2011-4815/
103
+ [ 10 ] : /en/news/2011/02/18/exception-methods-can-bypass-safe/
104
+ [ 11 ] : /en/news/2011/02/18/fileutils-is-vulnerable-to-symlink-race-attacks/
105
+ [ 12 ] : /ko/news/2010/08/16/webrick-xss-cve-2010-0541/
106
+ [ 13 ] : /en/news/2010/07/02/ruby-1-9-1-p429-is-released/
107
+ [ 14 ] : /ko/news/2010/01/15/webrick-escape-sequence-injection/
108
+ [ 15 ] : /en/news/2009/12/07/heap-overflow-in-string/
33
109
34
- [ 1 ] : https://bugs.ruby-lang.org/projects/ruby/wiki
35
- [ 2 ] : /ko/news/2010/08/16/webrick-xss-cve-2010-0541/ " CVE-2010-0541 "
36
- [ 3 ] : /ko/news/2010/01/15/webrick-escape-sequence-injection/
37
- [ 4 ] : /ko/news/2008/06/23/arbitrary-code-execution-vulnerabilities/
38
- [ 5 ] : /en/security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