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태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사용자 18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가장강='''제19호 태풍 [[태풍 고니 (2020년)|고니]]'''<br>최저기압 905[[hPa]]<br>10분 최대풍속 120kt
}}
태풍 이름 뒤에 (제명)이 붙은 이름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극심하거나, 또는 허리케인 및 사이클론의 이름과 중복되거나, 타 자연재해를 연상시킨다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최종 심사를 거쳐 태풍 이름 140개에서 제거가 된 것으로 '''더 이상 사용할 일이 없는 태풍 이름입니다.'''라는 뜻이다.
 
== 통계 ==
줄 121 ⟶ 122:
PlotData=
barset:Typhoon width:10 align:left fontsize:S shift:(4,-4) anchor:till
from:12/05/2020 till:17/05/2020 color:C3 text:"Vongfong"[[태풍 봉퐁(2020년)|Bonkpong]]
from:12/06/2020 till:14/06/2020 color:TS text:"Nuri"
from:01/08/2020 till:02/08/2020 color:TS text:"Sinlaku"
줄 216 ⟶ 217:
|종류=열대
|해역=북서태평양
|위성화상=Vongfong 2020Vongfong_2020-05-14 0500Z14_0200Z.jpgpng
|이동경로=Vongfong 2020 track.png
|발생일=5월 12일
줄 230 ⟶ 231:
2020년 '''제1호 태풍 봉퐁(VONGFONG)'''은 5월 12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세부 동쪽 약 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5월 14일]] 15시에 [[필리핀]] [[세부]] 북동쪽 약 260km 부근 육상([[사마르섬]])에서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44m/s의 세력 '매우 강'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5월 14일]] 15시에 최성기의 세력을 그대로 가진 상태로 [[필리핀]] [[사마르섬]]에 상륙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필리핀]]을 관통하며 육상 마찰로 약화되었고, [[남중국해]]와 [[루손 해협]]에 진출한 이후로는 북~북북서진하며 높은 연직시어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5월 17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601km 부근 해상([[루손 해협]])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5월 17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570km 부근 해상([[루손 해협]])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봉퐁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말벌]]을 의미한다. 이 태풍이 필리핀에 막대한 피해를 끼쳐 제명되었다.
 
{{본문|봉퐁(2020년)}}
{{-}}
 
=== 제2호 태풍 누리 ===
{{태풍 정보 (소)
줄 260 ⟶ 261:
|소멸일=8월 2일
|최저기압=985<ref>2020년 10월 20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0년 제3호 태풍 실라코(SINLAKU)의 사후해석에서 최성기 중심기압이 985hPa, 최대풍속 21m/s로 수정되었다.</ref>
|10분최대풍속=4050
|10분최대풍속(KMA)=21
|1분최대풍속=3555
|최대크기(직경)=18601670
|최대강풍반경(KMA)=330
|태풍 사망자=4명 사망<br>피해총액 1,290만 달러
줄 272 ⟶ 273:
=== 제4호 태풍 하구핏 ===
{{본문|태풍 하구핏 (2020년)}}
{{참고|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292 ⟶ 294:
 
=== 제5호 태풍 장미 ===
{{참고|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351 ⟶ 354:
=== 제8호 태풍 바비 ===
{{본문|태풍 바비 (2020년)}}
{{참고|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366 ⟶ 370:
|태풍 사망자=1명 사망<ref>{{웹 인용|url=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133028%202020%EB%85%84%208%EC%9B%94%2025%EC%9D%BC.%202020%EB%85%84%2010%EC%9B%94%209%EC%9D%BC%EC%97%90%20%ED%99%95%EC%9D%B8%ED%95%A8.|제목=태풍 바비 잇단 피해..물놀이 10대 사망-하늘·바닷길 끊겨|성=|이름=|날짜=2020년 8월 25일|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10-09}}</ref><br>피해총액 100만 달러
}}
2020년 '''제8호 태풍 바비(BAVI)'''는 8월 22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대만]] [[타이베이시|타이베이]] 남남동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에 따른 지향류로 인해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에서 동~동북동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였고, 지향류의 영향에서 벗어나며 [[동중국해]]에 진출한 뒤 8월 25일부터 북북서~북진하면서 늦은 폭염으로 높아진 수온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발달해서, [[8월 26일]] 9시에 [[대한민국]] [[서귀포]] 서남서쪽 약 210 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50 hPa<ref name="일본 기상청">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ref>, 최대풍속 44 m/s의 세력 '매우 강'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동중국해]]와 [[황해]]에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다가 북위 35도를 지나면서 서서히 약화되어가며 이동 속도가 빨라졌고, 동경 124도를 따라가면서 계속 북진하다가 서서히 북북동진을 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7일]] 5시 30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옹진군]]에 중심기압 965 hPa, 최대풍속 37 m/s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7일]] 6시에서 7시 사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옹진군]]에 중심기압 965 hPa, 최대풍속 33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북한]] [[황해남도]] [[옹진군]] 상륙 뒤 빠른 속도로 북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8월 27일]] 15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선양시]] 동쪽 약 18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2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0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바비로 인해 [[8월 26일]] 20시 29분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에서 순간최대풍속 47.4 m/s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태풍 바비는 [[태풍 링링 (2019년)]]을 뛰어넘는 북한에 역대 가장 강한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바비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바비산맥]]에서 따온 이름이다.
{{-}}
 
=== 제9호 태풍 마이삭 ===
{{본문|태풍 마이삭 (2020년)}}
{{참고|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392 ⟶ 397:
=== 제10호 태풍 하이선 ===
{{본문|태풍 하이선 (2020년)}}
{{참고|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해역=북서태평양
|위성화상=Haishen 2020Haishen_2020-09-04 0315Z04_0730Z.jpg
|이동경로=Haishen 2020 track.png
|발생일=9월 1일
줄 488 ⟶ 494:
{{-}}
 
=== 제15호 태풍 린파(제명) ===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504 ⟶ 510:
|태풍 사망자='''137명 사망'''<br>피해총액 9억 5,000만 달러
}}
{{본문|태풍 린파 (2020년)}}
 
2020년 '''제15호 태풍 린파(LINFA)'''는 10월 11일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북서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동남동쪽 약 3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남중국해]]에서 서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10월 11일]] 9시에 [[베트남]] [[다낭]] 남쪽 약 22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21m/s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최성기 세력을 유지한 상태로 [[10월 11일]] 12시에서 13시 사이에 [[베트남]] [[꽝응아이 성]] [[꽝응아이]]에 상륙하였고, [[베트남]]에 상륙한 뒤에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1일]] 21시에 [[베트남]] [[다낭]] 남남서쪽 약 1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2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남서쪽 약 174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2018년의 태풍 손띤과 등급과 사망자 수가 비슷하다. 린파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연꽃]]을 의미한다. 이 태풍이 100명 넘는 인명피해를 내 제명되었는데, 2018년의 [[태풍 망쿳 (2018년)|제22호 태풍 망쿳]] 이후 2년만이다.
{{-}}
줄 544 ⟶ 550:
|태풍 사망자=피해총액 1,520만 달러
}}
2020년 '''제17호 태풍 사우델(SAUDEL)'''은 10월 20일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북서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4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진하며 [[필리핀]] [[루손섬]]을 관통한 뒤 [[남중국해]]에 진출한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빠르게약간빠르게 발달해서 [[10월 23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동쪽 약 8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m/s의 세력 '강'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최성기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중국]] [[하이난섬]]에 근접하며 통과하였고 [[통킹만]]에 진출하면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과 상층 발산 환경의 악화로 인해 약화되어서, [[10월 26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북북서쪽 약 24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사우델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 추장의 호위병을 의미한다.
{{-}}
 
줄 562 ⟶ 568:
|최대크기(직경)=950
|최대강풍반경(KMA)=340
|태풍 사망자='''71명 사망'''<br>피해총액 6억 6,000만 달러
}}
2020년 '''제18호 태풍 몰라베(MOLAVE)'''는 10월 25일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진하며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33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필리핀]]을 관통한 뒤 [[남중국해]]에 진출한 이후 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0월 27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동남동쪽 약 6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4m/s의 세력 '매우 강'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최성기 이후 서북서진하며 [[베트남]]에 접근하였고, [[10월 28일]] 12시에서 13시 사이에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베트남]] [[꽝응아이 성]]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9일]] 3시에9시에 [[베트남]] [[다낭]] 서남서쪽남서쪽310km362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9일]] 9시에3시에 [[베트남]] [[다낭]] 남서쪽서남서쪽362km3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몰라베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가구]] 제작용 [[나무]]를 의미한다. 태풍이 베트남에 막대한 피해를 끼쳐 제명되었다.
{{-}}
 
줄 582 ⟶ 588:
|최대크기(직경)=700
|최대강풍반경(KMA)=280
|태풍 사망자=32명 사망<br>'''피해총액 10억 2,000만 달러'''
}}
2020년 '''제19호 태풍 고니(GONI)'''는 10월 29일 3시에 중심기압 100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1,0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ref>[[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ref> 발생 이후 서~서남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1월 1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4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5hPa<ref name="일본 기상청">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ref>, 최대풍속 62m/s<ref name="일본 기상청">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ref>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11월 1일]] 6시에 [[필리핀]] [[루손섬]] [[카탄두아네스주]] Bato 지역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급약화된 상태로 [[남중국해]]에 진출하였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 서~서남서진하며 약하게 발달하였다가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과 상층 발산 환경의 악화로 인해 [[베트남]] 상륙 직전에 다시 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5일]] 21시에 [[베트남]] [[다낭]] 남동쪽 약 38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6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남동쪽 약 377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 기준으로 태풍 고니는 2020년 처음이자 마지막의 카테고리 5등급 태풍이 되었다. 고니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고니]]를 의미한다. 태풍이 필리핀에 막대한 피해를 끼쳐 제명되었다.
줄 604 ⟶ 610:
|태풍 사망자=피해총액 10만 1,000 달러
}}
2020년 '''제20호 태풍 앗사니(ATSANI)'''는 10월 29일 21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남동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거의 정체하면서 굉장히 더디게 발달해서 [[11월 4일]] 21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1,0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5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최성기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루손 해협]]을 통과하면서 [[대만]]에 근접해서 급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7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시|타이베이]]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7일]] 21시에 [[대만]] [[타이베이시|타이베이]] 남서쪽 약 495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앗사니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번개]]를 의미한다.
 
{{-}}
줄 627 ⟶ 633:
{{-}}
 
=== 제22호 태풍 밤꼬(제명) ===
{{본문|태풍 밤꼬 (2020년)}}
{{태풍 정보 (소)
줄 644 ⟶ 650:
|태풍 사망자='''102명 사망'''<br>'''피해총액 10억 6,000만 달러'''
}}
2020년 '''제22호 태풍 밤꼬(VAMCO)'''는 11월 9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0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서진하며 빠르게 발달해서 11월 2일 3시에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섬]]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다소 약화된 상태로 [[남중국해]]에 진출한 이후 서진하면서 낮은 연직시어로 인해 급발달해서 [[11월 14일]] 9시에6시에 [[베트남]] [[다낭]] 동쪽 약 33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4m/s의 세력 '강'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최성기 이후 서북서진하며 대륙으로부터 유입되는 건조한 공기로 인해 서서히 약화되면서 [[베트남]]에 접근하였고, [[11월 15일]] 18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2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베트남]]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15일]] 21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3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16일]] 0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403km 부근 육상([[라오스]])에서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밤꼬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강]]을 의미한다. 태풍이 필리핀, 베트남에 막대한 피해를 끼쳐 제명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