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리온자리 29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오리온자리 29
29 Ori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분점 J2000.0 (ICRS)
별자리 오리온자리
적경 05h 23m 56.82768s[1]
적위 -7° 48′ 29.0332″[1]
겉보기등급 (V) 4.13[2]
특성
스펙트럼 종류 G8IIIFe-0.5[3]
U−B 색지수 +0.70[4]
B−V 색지수 +0.96[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17.68[5] km/s
고유운동 (μ) RA: −14.82[1] mas/yr
Dec.: −45.02[1] mas/yr
연주 시차 (π)20.73±0.17 mas[1]
절대등급 (MV)0.73[6]
상세
질량2.33[2] M
반지름10.36[5] R
광도71[2] L
표면중력 (log g)2.44[2] cgs
유효온도4,852[2] K
금속함량 [Fe/H]−0.25[2] dex
투영 자전 속도 (v sin i)1.1[7] km/s
천체 명칭
e Ori, 29 Ori, BD−07°1064, GC 6646, HD 35369, HIP 25247, HR 1784, SAO 132067[8]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오리온자리 29는 태양으로부터 157 광년 거리에 위치한 항성이다.[9] 천구 적도오리온자리에 위치하여 우리에게 보여진다.[10] 바이엘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이 별은 오리온자리 오른쪽 부츠의 정점을 나타내는 두 별 중 하나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은 오리온자리 e이며, 오리온자리 29의 명칭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항성은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4.13으로 희미한 노란색 빛의 항성으로 관측된다. 그것은 -18km/s의 태양 중심 방사 속도로 지구에 가까워지고 있다.

이것은 G8IIIFe-0.5 분광형을 가진 거성 으로, 중심부 의 수소 공급을 소진하고 주계열성에서 멀어져 진화했다. 이 별의 분광형 G8III 뒤에 있는 접미사 표기법은 이 별의 스펙트럼에 철분이 약간 부족함을 나타낸다. 그것은 레드클럼프 거성으로,[11] 수평거성열 단계에 있으며 핵에서 헬륨 핵융합 과정을 통해 더 무거운 원소로 합성함으로써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2.33배이고 태양 반지름의 10.36배까지 팽창되었다. 표면 온도는 4,852 켈빈 정도의 유효온도로, 이 항성에서 확대된 광구로 인하여 태양 광도의 약 71배를 방출하고 있다.

각주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Vizier catalog entry
  2. Takeda, Yoichi; Sato, Bun'ei; Murata, Daisuke (2008). “Stellar Parameters and Elemental Abundances of Late-G Giant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60 (4): 781–802. arXiv:0805.2434. Bibcode:2008PASJ...60..781T. doi:10.1093/pasj/60.4.781. S2CID 16258166. 
  3. Hoffleit, D.; Warren, W. H. (1995). “VizieR Online Data Catalog: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Hoffleit+, 1991)”. 《VizieR On-line Data Catalog: V/50. Originally Published in: 1964BS....C......0H》 5050. Bibcode:1995yCat.5050....0H. 
  4.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5. Jofré, E.; Petrucci, R.; Saffe, C.; Saker, L.; Artur de la Villarmois, E.; Chavero, C.; Gómez, M.; Mauas, P. J. D. (2015). “Stellar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223 evolved stars with and without planets”. 《Astronomy & Astrophysics》 574: A50. arXiv:1410.6422. Bibcode:2015A&A...574A..50J. doi:10.1051/0004-6361/201424474. S2CID 53666931.  Vizier catalog entry
  6. Da Silva, Ronaldo; Milone, André de C.; Rocha-Pinto, Helio J. (2015). “Homogeneous abundance analysis of FGK dwarf, subgiant, and giant stars with and without giant planets”. 《Astronomy & Astrophysics》 580: A24. arXiv:1505.01726. Bibcode:2015A&A...580A..24D. doi:10.1051/0004-6361/201525770. S2CID 119216425.  Vizier catalog entry
  7. De Medeiros, J. R.; Alves, S.; Udry, S.; Andersen, J.; Nordström, B.; Mayor, M. (2014). “A catalog of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evolved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561: A126. arXiv:1312.3474. Bibcode:2014A&A...561A.126D. doi:10.1051/0004-6361/201220762. S2CID 54046583.  Vizier catalog entry
  8. “e Ori”.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년 6월 19일에 확인함. 
  9.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10. Wagman, Morton (2003).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Blacksburg, VA: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513쪽. ISBN 978-0-939923-78-6. 
  11. Alves, David R. (August 2000). “K-Band Calibration of the Red Clump Luminosity”. 《The Astrophysical Journal》 539 (2): 732–741. arXiv:astro-ph/0003329. Bibcode:2000ApJ...539..732A. doi:10.1086/30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