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란툴라 성운
타란툴라 성운 (NGC 2070) | |
관측 정보 | |
---|---|
형태 | 전리수소영역 |
적경 | 05h 38m 38.4s |
적위 | -69° 05′ 39″ |
거리 | 16만 ± 1만 광년[1][2](49,000 ± 3,000 파섹) |
겉보기 등급 | +8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물리적 성질 | |
반지름 | 500 광년 |
특이사항 | SN 1987A가 폭발하였음 |
명칭 | NGC 2070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타란툴라 성운(Tarantula Nebula) 또는 황새치자리 30(30 Doradus), NGC 2070은 대마젤란 은하(LMC)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이다. 처음에는 항성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1751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이것이 성운임을 밝혀냈다.
타란툴라성운의 실시등급은 8등급이다. 성운까지의 거리가 49 킬로파섹[1](160,000 광년)임을 생각해 볼 때, 이 천체는 극도로 밝은 비항성 천체이다. 타란툴라성운의 광도는 너무 크기 때문에, 만약 타란툴라성운이 오리온 성운마냥 지구에 가까이 있었다면 그 빛은 그림자를 지울 수 있을 정도로 밤하늘에서 밝게 빛났을 것이다.[3] 타란툴라성운은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활동적인 폭발적 항성생성 영역이다. 또한 타란툴라성운은 직경 약 200 파섹으로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폭발적 항성생성 영역이기도 하다.[2] 성운은 LMC의 가장자리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곳의 램 압력으로 인해 성간매질이 압축되어 이런 구조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성운의 중심에는 거대한 산개성단인 R136(직경 약 35광년)이 자리잡고 있으며,[4] 이 성단이 성운이 보일 수 있게 하는 에너지 대부분을 생산한다. 성단의 추정 질량은 450,000 태양질량으로, 미래 언젠가 구상성단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5]
R136에 더하여 타란툴라성운 안에는 좀더 늙은 산개성단이 하나 더 있는데, 호지 301이라 한다. 이 성단의 나이는 2천만 ~ 2천 5백만 년이며, 이 성단의 무거운 별들은 이미 초신성 폭발을 일으켰다.[6]
망원경 발명 이후 가장 가까운 곳에서 폭발한 초신성인[7] SN1987A가 타란툴라성운의 가장자리에서 발견되었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Results for Tarantula Nebula》. 2007년 5월 8일에 확인함.
30 Doradus .. 49 kpc +- 3 kpc
- ↑ 가 나 Lebouteiller, V.; Bernard-Salas, J.; Brandl, B.; Whelan, D. G.; Wu, Yanling; Charmandaris, V.; Devost, D.; Houck, J. R. (2008년 6월).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The Astrophysical Journal 680 (1): 398–419. arXiv:0710.4549. Bibcode:2008ApJ...680..398L. doi:10.1086/587503.
- ↑ http://www.noao.edu/news/2011/pr1102.php
- ↑ Massey, P.; Hunter, D. (1998년 1월).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The Astrophysical Journal 493 (1): 180. Bibcode:1998ApJ...493..180M. doi:10.1086/305126.
- ↑ Bosch, Guillermo; Terlevich, Elena; Terlevich, Roberto (2009).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Astronomical Journal 137 (2): 3437–3441. arXiv:0811.4748. Bibcode:2009AJ....137.3437B. doi:10.1088/0004-6256/137/2/3437.
- ↑ Grebel, Eva K.; Chu, You-Hua (2000). “Hubble Space Telescope Photometry of Hodge 301: An "Old" Star Cluster in 30 Doradus”. Astronomical Journal 119 (2): 787–799. arXiv:astro-ph/9910426. Bibcode:2000AJ....119..787G. doi:10.1086/301218.
- ↑ “Tarantula Nebula's Cosmic Web a Thing of Beauty”. SPACE.com. 2011년 3월 21일. 2011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Encyclopedia of Space". Authors: Couper,Heather; Henbest, Nigel. Retrieved 2 Januar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