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무관심보다 낫다"…미워하는 감정을 활용하는 방법

허세민 2025. 4. 4. 18: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틀을 깨는 사람들
샐리 퍼시 지음 / 정윤미 옮김
미래의창 / 304쪽 1만8000원
"못생긴 신발" 인정한 크록스
비난을 마케팅에 활용해 '대박'
스포티파이·에어비앤비·틱톡 등
혁신기업 13곳 성공 비결 분석
크록스는 ‘못생긴 신발’이라고 비판받았지만 오히려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 인기를 끌었다. 크록스 액세서리인 ‘지비츠’로 알록달록 꾸민 신발을 모델들이 신고 있다. /크록스 제공


‘크록스(Crocs)’는 역사상 가장 사랑받으면서도 동시에 미움받은 신발 브랜드로 평가된다. 지금은 의사들의 필수 아이템이자 아이들의 애착 신발이 됐지만 한때 ‘I hate crocs dot com’(나는 크록스가 싫어요 닷컴) 같은 블로그가 생길 정도로 안티팬이 많았다. 2010년에는 미국 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최악의 발명품 50개에 포함되며 혹평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크록스는 ‘뭉툭한 앞코에 숭숭 난 구멍이 있는 못생긴 신발’을 있는 그대로 인정했다. 역으로 ‘추한 것도 아름다울 수 있다’는 슬로건을 앞세워 소비자들에게 다가갔다. 미워하는 감정을 적절히 활용해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한 것이다. 지난해 크록스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41억달러(약 5조9500억원)의 매출을 거두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신간 <틀을 깨는 사람들>은 크록스를 포함해 스포티파이, 에어비앤비, 틱톡 등 파괴적 혁신을 달성한 13개 글로벌 기업의 성공 전략을 분석한 책이다. 미국 경영 전문 저널리스트 샐리 퍼시가 이들 기업의 창업 배경에서부터 성장 과정, 성공 요인 등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그는 “혁신에 대한 남다른 열정과 마케팅, 영업, 제품 개발에서 기존의 틀에 박힌 사고를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이들 기업을 게임 체인저로 만들었다고 강조한다.

책은 각 분야 대표 주자로 자리 잡은 기업의 과거를 조명한다. 독립영화 배급사로 시작해 전 세계 수많은 팬을 거느린 미국 영화 제작사 A24 역시 크록스처럼 흑역사를 가진 기업이다. 비평가들은 A24 영화를 두고 “너무 엉망이어서 보는 사람이 지친다”고 혹평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 회사는 굴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길을 개척했다. 영화 ‘미드소마’에선 한여름 스웨덴 축제를 배경으로 밝은 낮에도 느낄 수 있는 공포감을 선사했고,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다중우주(멀티버스) 세계관이라는 창의적 연출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잡았다. 이 같은 성공의 배경에는 영화 제작자에게 창의성을 마음껏 펼칠 자유를 허용한 A24의 원칙이 자리한다. 전통적인 옥외 광고판 대신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인 소셜미디어로 입소문을 낸 것도 주효했다. 저자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았다면 A24는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독특하고, 기발하고, 때로는 이상해 보이는 방식으로 기존과 다른 영화를 제작해 취향의 경계를 확장했다”고 평가한다.

저자는 혁신 기업이 공통적으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비전을 지녔다고 분석한다. 대표적으로 미국 대체육 기업 비욘드미트는 낙농장에서 자란 창업자 에단 브라운이 소고기를 대체할 식물성 고기 가공업체를 꿈꾸며 시작됐다. 비건을 지향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비욘드미트가 추구하는 가치에 공감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현재 비욘드미트는 미국을 넘어 80여 개국에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대체육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회사는 자신들의 이념과 모순될 수 있는 브랜드와 협업하는 데도 주저하지 않았다. 맥도날드, KFC 등 얼핏 보면 비욘드미트가 추구하는 이념과 상반되는 패스트푸드 브랜드와 손잡고 대체육에 관심이 없던 소비자들에게 기업을 알렸다.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기업 옥토퍼스에너지도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은 설립자 그렉 잭슨의 굳은 신념에서 출발했다.

기업이 성장하려면 소비자 취향을 정확히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스포티파이와 틱톡은 강력한 알고리즘을 토대로 가입자를 빠르게 늘려갔다. 우선 스포티파이는 광고를 낀 무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로 사용자 기반을 넓힌 뒤 고도의 알고리즘을 통해 청취자 습관을 분석하고 맞춤형 음악을 추천했다. 내 취향에 딱 맞는 노래를 추천받은 무료 사용자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속속 가입했다. 중국계 숏폼(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은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맞춤형 ‘포 유(For you)’ 피드로 미국 정부도 두려움에 떨게 할 영향력을 얻었다.

책에는 익히 알려진 글로벌 기업뿐 아니라 영국 스포츠웨어업체 짐샤크, 독일 밀키트 회사 헬로우프레시 등 비교적 덜 알려졌지만 빠르게 큰 기업들의 이야기가 골고루 담겼다. 세상에 없던 방식으로 성장한 기업의 비결과 향후 전망도 균형 있게 살펴볼 수 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