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Lee, Minhee
First Author.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atial Design
Kim, Jooyun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Industrial Design Dept., Hongik University
Kim, Wongil
Team manager, Design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Keywords Art museum, Change in the times, Exhibition space, Art exhibition, Spatial changes
Received Jan. 25. 2021 Reviewed Mar. 06. 2021 Accepted Apr. 20. 2021
ISSN 1976-4405 www.kisd.or.kr
10.35216/kisd.2021.16.3.61
이민희
제1저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 전공, 박사수료
김주연
교신저자. 교수,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김원길
공동저자, 팀장,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
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
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
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
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
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
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
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
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역사·고고·인류·민속·예술·동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수집·관리·
박물관 물·식물·광물·과학·기술·산업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건립 시점부터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조사·
연구·전시·
오늘날 운영에 이르기까지 공간에 나타난 변화를 물리 서화·조각·공예·건축·사진 등 교육하는 시설
미술관
미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4관 체제
원로회고전,
전시 미술대전, 정례화 전시, 전시 특성화,
해외전시
특징 수상작 전시 2관체제 시작 전시횟수
개최
증가
책(人制柵)을 설치했지만 작품을 그대로 노출 전시하 <그림 4> 1971년~2017년 국립현대미술간 연도별 소장품 수 증가
고, 왼쪽 자료의 일본화와 공예품은 유리장 안에 진열 추이7)
하여 전시연출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6) 이것은 전
시물의 연출 차이를 통해 일본의 예술 작품들을 더욱
신성시하고자 했으며 일본의 권위를 내세우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었다. 미술관으로의 기능보다는 의도적
인 연출을 통해 의미만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특성으로, 운영적 변화는 기능적 특성으로, 사회 요구 공간을 이해하고 운영하기 위한 전략적 요소로 활용될
에 따른 변화는 관람 서비스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그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각 분관만 하더라도 자연,
4. 사례분석
4.1. 분석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1986년 국립현대미술관 과
천관을 시작으로 2018년 청주관 4관 체제를 구축하기
까지의 각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전시공간을 분
석해보고자 한다. 각 분관은 80년대, 90년대, 2000년
대, 2010년대 등 순차적으로 개관하여 시대성에 따른
미술관 공간의 활용과 변화를 분석해 볼 수 있다. 미
술관의 공간의 분석은 사무공간을 제외한 미술관 전시
공간과 전시 외 공간 (교육, 관람서비스 공간)으로 한
정하였다. 분류 요인 척도 내용
분류 요인 척도 내용
‘도심 속 미술관’으로 삼청동 ‘문화
의 거리(Culture Street)’에 위치해 있
분류 요인 척도 내용 장소성 ●
으며, (구)기무사 건물로 역사적 유래를
‘고궁 속 미술관’으로 덕수궁 내에 위 지님
장소성 ● 물리적
치하여 장소특정성이 뚜렷함 관광객이 많은 지리적 특성을 지니며 접
특성 접근성 ●
근성이 좋아 주변보행자의 유입이 큼
물리적 서울 도심에 있어 관람객의 접근성이 뛰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다양한 가변적 구
접근성 ●
특성 어나며,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률이 높음 복합성 ● 성이 가능하며, 주변시설과의 연계가 뛰
어남
미술관은 전시실의 변형이 한계가 있으 멀티프로젝트홀, 영화관, 강의실, 세미
복합성 ○
나 최근 야외공간의 활용이 증가됨 참여성 ● 나, 아트팹랩 등 다양한 시설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시청각실, 회의실의 활용으로 전시 연계
참여성 ◎
프로그램이 실행됨 미술자료와 정보제공을 위한 디지털정
기능적
기능적 근·현대미술전시 공간으로 특화하여 보실(디지털 도서관, 디지털 아카이브)
공공성 ◎ 특성 공공성 ●
특성 운영하며, 학술적 문화행사를 개최함 이 구축되어있어, 일반관람객, 연구자들
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함
기획전 위주의 전시실 활용만이 이루어
지속성 ○
지며 전시가 개최될때만 개관함 소장품전, 기획전, 정례전 등이 주기적
지속성 ◎
으로 반복되어 운영됨
관람 편리성 아트존, 물품보관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
○ 아트존, 카페테리아, 푸드코트, 티하우
서비스 나 작은 규모로 운영됨
관람 편리성 ● 스, 멤버쉽라운지 등 전시 이외 서비스
적 전시관람 목적의 관람객이 많아 서비스 서비스 공간의 마련으로 편리성을 높임
특성 이용성 ○
영역의 이용이 활발하지 않은편 적 관람객의 시설이용률이 높으며,
종합분석 특성 이용성 ● 관객 참여공간을 마련하여 만족도 향상
에 기여함
고궁 안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은 장소성과 접근성 종합분석
이 높게 나타난다. 정형적 공간 내에서만 전시가 가능하며, 공간
다양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은 복합
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성은 낮은 척도를 보
문화공간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공간적 측면의 모든 요소가
인다. 참여성과 공공성은 보통의 수준으로 일반적 전시콘텐츠 및
높은 척도를 보였으며, 양질의 문화콘텐츠의 제공으로 참여성과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근대 건축물인 만큼 관람서비스를
공공성 또한 높게 나타난다. 관람만족도에 해당하는 관람 서비스
위한 특성은 다소 낮게 나타나는 편으로 서비스 공간에 대한 구
영역의 요소들도 높게 나타나지만 지속성에 관한 문제가 다른 영
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역에 비해 다소 미약하여 추후 중장기적 운영 전략이 필요하다.
분류 요인 척도 내용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미술관의 기능
‘수장고 속 미술관’으로 옛 담배 공장 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간의 활용도 증
장소성 ● 이었던 공간을 재건축하여 작품수장과 가와 확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보존을 위한 수장형 미술관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분석은 전시실을 제외한 부
‘공예비엔날레’ 등 문화기관과 인접
물리적 접근성 ◎ 하여 방문객유치에 효과적이며 지리적 대시설(세미나룸, 강의실, 영화관, 멀티프로젝트홀 등)
특성 접근성이 좋음 과 관람 휴게시설이 구축될수록 편리성과 이용성이 높
전시 개념이 도입된 ‘개방 수장고(open 아지며, 참여성, 공공성과도 동일한 지표로 나타나는
storage)와 ’보이는 수장고(visible
복합성 ○
storage)’의 특화된 공간운영으로 전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시를 위한 공간
실 간 공간 변형이 불가함 만이 미술관의 전부였던 과거에서 점차 관람객을 위한
시청각실, 회의실, 라키비움 등 전시·교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술관의
참여성 ◎ 육기능 공간의 개방으로 관객 참여도를
작품 관람 공간뿐만 아니라 편의시설, 휴게시설 등 다
높임
기능적 목적 공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수도권 외 첫 지방 분관으로 지역
특성 공공성 ●
문화 활성화를 위한 연계교육 실행
신생 공간으로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전
지속성 ○
략이 필요함 5. 결론
관람 전시공간 대비 관람객 휴게 시설 면적이
편리성 ○
서비스 적은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은 단일 기관에서 점차 확장
적 편의시설로는 아트존, 물품보관이 소규모
특성 이용성 ◎
형태로 운영됨 하여 현재 4관 제체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의 문화
종합분석 균형 발전을 목적으로 앞으로 분관을 더욱 확장할 중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는 공장 건물을 리노베이션 하여 지역의 장기적 계획을 앞두고 있다. 박물관과 분리되어 미술
장소성을 담고 있다. 공예비엔날레와 인접하여 관람객의 접근성이
관(美術館)이라 명명하기 시작했던 1938년을 시작으
높으나, 미술관이 작품 수장과 보존을 위한 ‘미술품 수장보존센
터’로 특화되어 공간의 변형 로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까지 장소적,
기능적으로 변화하였으며, 80년대에 들어서서는 미술
Endnotes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왕가미술관
5) 「美術 朝鮮도 躍進」, 매일신보, 1938.5.31.
6) 李王家美術館要覽, 李王職(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