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A Study on the Spatial Change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Period

Lee, Minhee
First Author.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atial Design
Kim, Jooyun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Industrial Design Dept., Hongik University
Kim, Wongil
Team manager, Design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Keywords Art museum, Change in the times, Exhibition space, Art exhibition, Spatial changes
Received Jan. 25. 2021 Reviewed Mar. 06. 2021 Accepted Apr. 20. 2021
ISSN 1976-4405 www.kisd.or.kr
10.35216/kisd.2021.16.3.61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61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희
제1저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 전공, 박사수료
김주연
교신저자. 교수,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김원길
공동저자, 팀장,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
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
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
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
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
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
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
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
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Keywords 미술관, 시대변화, 전시공간, 미술전시, 공간변화


Received Jan. 25. 2021 Reviewed Mar. 06. 2021 Accepted Apr. 20. 2021
ISSN 1976-4405 www.kisd.or.kr
10.35216/kisd.2021.16.3.6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62


1. 서론 변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부터 현재로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시기를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미술관 공간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 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
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국립 미술관 로 진행한다. 둘째,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환경적, 운
은 국민의 문화생활 향유권이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 영적, 사회 요구적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셋째,
되도록 할 의무를 지닌다. 미술관은 문화·예술의 발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을 위하 물리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 분석의
여 서화, 조각, 공예, 건축, 사진 등 미술에 관한 자료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를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 교육하는 시설 이를 통해 미술관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의 양상을 분
을 말한다.1)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개관을 해방 이 석하여 공간 운영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후 시점부터 본다면, 국내 유일한 국립 미술관인 국립
현대미술관은 개관 50주년을 넘었다.
2. 국립 미술관의 설립과 시대적 변화
그동안 수많은 미술사 연구, 학술 연구를 통해 전시
에 대한 분석, 기능분석, 운영 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
2.1. 미술관 용어의 고찰
루어졌지만 미술관 공간에 대한 학예연구는 상대적으
우리나라에서 ‘미술관’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시
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 미술
대적 특수한 상황에 의해 고착된 용어이다. 본래 뮤지
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미술관의 공간은
엄(Museum)은 그리스어 뮤제이옹(Mouseion)에 어
미술관의 기능과 별개로 구분될 수 없는 유기적(有機
원을 둔다. 고고학 자료, 미술품, 학술자료를 수집·보
的)인 관계이며, 공간의 변화는 시대 변화를 읽을 수
관하는 시설을 뜻하며 실질적으로 유물을 다루는 박물
있는 척도로도 활용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는 물리
관과 미술작품을 다루는 미술관을 모두 포괄하는 명칭
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 두 기관의 분류를 명확히
미술관 변화를 함께 분석할 수 있는 전신으로서 현재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건들과 밀
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가 된다.
접한 관련을 갖는다. 미술관(美術館)이라는 용어는 국
본 논문에서는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
권 강탈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art museum이 한자어
과 해석이 아닌 환경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
로 그대로 번역되어 사용된 것이 현재도 유지되고 있
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일제 식민지 지배라는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역사적 특수성에 의하여 생겨난 용어이며 미술관(Art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museum)과 박물관(Museum)은 그다지 다른 성격의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
개념이 아니다(Lee, 1998). 이렇게 토착화되어 사용
시의 변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
된 미술관의 용어는 우리나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하고자 한다.
법에 의해 각 기능의 역할을 명확히 하게 된다. 박물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분
관 및 미술관에 대한 정의와 용어의 뜻은 다음의 <표
석하고, 변화의 특성을 분류하여 각 요인을 도출하고
1>과 같다. 미술관의 자료란, 미술관이 수집·관리·
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
보존·조사·연구·전시하는 예술에 관한 자료로서 학
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문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를 말한다.2)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
<표 1> 박물관 미술관의 용어적 구분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구분 연구분야 역할

역사·고고·인류·민속·예술·동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수집·관리·
박물관 물·식물·광물·과학·기술·산업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건립 시점부터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조사·
연구·전시·
오늘날 운영에 이르기까지 공간에 나타난 변화를 물리 서화·조각·공예·건축·사진 등 교육하는 시설
미술관
미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63


2.2.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 되었다5)(Mok, 2009).
2.2.1. 이왕가 미술관 (일제강점기~해방 이후) 일본으로부터 해방 이후 이왕가 미술관은 미술관의
우리나라 미술관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의 역사성을 기능과 조직을 구축하여 1946년 3월《덕수궁 미술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1909년 《이왕가(李王家)박물 관》으로 개관하게 된다. 1949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
관》3)개관을 시작으로 박물관 제도가 도입되어 1938 립됨에 따라 국립박물관 직제가 제정되며 미술문화에
년에 《이왕가 미술관》으로 분리되었으나 해방 후 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후 미술관의 제도
능이 유명무실해졌다(Lee, 1996). 일제강점기부터 해 적 장치가 마련됨에 따라 오늘날의 미술관 조직의 모
방 이후까지 미술관의 변화는 <표 2>와 같다. 습을 갖추기 시작한다.

<표 2> 국립미술관의 시대적 변화


2.2.2. 국립현대미술관의 설립
1968년 중앙행정기관인 문화공보부(文化公報部)가
년도 1909년 1938년 1946년
조직됨에 따라 국가 문화정책을 위하여 1969년도 경
이왕가 박물관
명칭 이왕가 미술관 덕수궁 미술관
(李王家博物館) 복궁에 국립현대미술관이 개관하였다. 이후 1973년
위치 창경궁 내 명정전 덕수궁 내 석조전 덕수궁 내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경기도 과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천으로 신축 이전한다. 당시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
외 조각 공원을 구축하는 등 미술작품의 수집, 보존,
석조전 신관에 전시, 조사, 연구를 통한 미술교육의 정립과 국립 미술
이왕가 미술관은
이왕직박물관
대한제국기
수장품과 통합
덕수궁미술관으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개관하였다.
특징 황실에서 최초로 총독부박물관은
설립한 박물관
(이후 1969년에
국립박물관으로
1986년 과천관 개관을 시작으로 국제전, 기획전 등
국립 박물관에
소장품이 통합됨)
개관함 미술관의 정례화된 전시들이 구축됨에 따라 미술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한국 고미술품, 국립박물관 제정,
일본 근대미술품 미술문화에 2.3.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 특성
소장, 진열
역할 특성별 분리, 진열 새로운 국면,
대중의 교육, 관람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는 시대적 변화
⇒일본문화의 미술관의 제도적
선전 장치마련 와 축을 같이 한다. 초기 국립 미술관의 공간은 당시
의 시대적 상황과 정치적 의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미술관이 박물관의 기능과 분리하기 시작한 1938
초기 미술관의 공간 형태를 볼 수 있는 <이왕가 미술
년에는 덕수궁 석조전이 완공되면서 창경궁에 있던
관>의 석조전은 하나의 중앙홀과 9개의 전시실로 나
《이왕가 박물관》을 덕수궁으로 이전한다. 이때 미술
누어졌으며, 각 전시공간은 16평에서 52평 정도로 그
관과 박물관을 분류하였으며, 소장품의 특성에 따라
리 크지 않았다.(Mok, 2009) 전시의 형태를 보면,<그
분류하여 전시하기 시작하였다. 이 분류에 따라 덕수
림 3>의 오른쪽의 자료와 같이 서양화와 조각은 인제
궁 구관에는 일본 근대 미술품을 전시하고, 신관에는
<표 3> 국립현대미술관의 변화
조선의 미술품을 전시하였다(Cha, 2004).
년도 1969년 1970~80년 1980~90년대 2000년대~
작품 수집,
미술관
보존, 전시
고유기능,
전시 소장품 수집 및
기 경영,
⇒‘국전’의 ⇒컬렉션의 조사·연구,
능 국제미술
개최 기능 국제교류
국가 대표
⇒미술활동의
미술관 역할
<그림 1> 중화문 위에서 <그림 2> 덕수궁미술관의 보급과 교육
바라본 덕수궁 미술관과 현관(1938년 이후) 전문직 관장,
직 전문학예직 전문인력
석조전(1938년 이후) 행정직 관장중심
제 도입 강화
기능
문화가 없는 조선에 미술을 진작한다는 목적으로 과천(1986),
덕수궁에 설치되었으나 실제로는 일본 근대 미술품을 경복궁 덕수궁 덕수궁(1998)
위 과천(1986),
소전시관 석조전 ,
전시함으로써 당대 일본 문화를 보여주는 것이었다.4) 치 덕수궁(1998)
(1969) (1973~) 서울(2013),
청주(2018)
석조전은 당시 일본에도 없었던 현대미술관으로 인식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64


가함에 비례하여 연도별 전시 횟수도 점차 늘어난 것
이왕가미술관 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는 미술관이 전시공
디자인, 건축,
소 의 동양화, 한국화, 회화, 간에 대한 물리적 영역의 확보를 필요로 했음을 예측
뉴미디어
장 전시기능에 서양화, 조각, 판화, 공예,
작품 수집
품 한정 공예, 서예 사진 등 하게 해준다.
확대
(소장품0점)

4관 체제
원로회고전,
전시 미술대전, 정례화 전시, 전시 특성화,
해외전시
특징 수상작 전시 2관체제 시작 전시횟수
개최
증가

책(人制柵)을 설치했지만 작품을 그대로 노출 전시하 <그림 4> 1971년~2017년 국립현대미술간 연도별 소장품 수 증가
고, 왼쪽 자료의 일본화와 공예품은 유리장 안에 진열 추이7)
하여 전시연출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6) 이것은 전
시물의 연출 차이를 통해 일본의 예술 작품들을 더욱
신성시하고자 했으며 일본의 권위를 내세우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었다. 미술관으로의 기능보다는 의도적
인 연출을 통해 의미만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림 5> 국립현대미술간 연도별 전시 횟수8)

전시 횟수의 증가는 본격적으로 분관 체제를 운영


하기 시작한 2013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상승했다. 또
한 <그림 6>과 같이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 그래프도
<그림 3> 석조전을 개조한 미술관 공간 / 이왕가 미술관 같은 기점에 동일한 증가세를 보인다. 전시와 교육프
로그램의 증가는 미술관이 다양한 콘텐츠의 전시를 통
이후 미술관의 공간은 경복궁을 거쳐 석조전으로
해 경험하고 체험하는 사회 참여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옮기면서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와 원로작가 집단 및
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개인전 그리고 몇몇 소규모의 전시를 개최하는 단순한
전시공간으로 운영되었다(Jung, 2003). 미술간 공간의
변화는 소장품의 증가, 관람객의 증가와 같은 운영적
측면에서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미술관의 전문화는 공간의 규모와 기능을 확장시켰
다. 1986년 과천관을 시작으로 1998년 덕수궁관 분
관 체제를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2013년 서울관,
<그림 6> 국립현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변화9)
2018년 청주관까지 4관 체재로 운영하여 국립 미술관
으로서의 성장을 이루어 냈다. 이를 통해 미술관은 수
장의 기능에서 미술 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집, 보존,
교육, 국제 교류 등 미술관의 역할을 충족시키는 대규
모 문화기관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미술관의 변화에
의한 공간 분석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증가, 연
도별 전시 횟수, 교육 프로그램 실행횟수, 관람객 규모
의 변화를 통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림 7> 국립현대미술관 관람객 규모 변화10)
기능적 변화의 분석은 미술관의 소장품 증가 추이
관람객의 규모의 변화는 3관 체제가 시작되던 서울
와 연도별 전시 횟수의 증가 통계를 통해 볼 수 있다.
관의 개관과 함께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4>, <그림 5>를 참고하면 기관의 소장품이 증
<그림 7>을 참고하였을 때, 연도별 관람객의 변화는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65


1관 체제에서 3관 체제의 변화를 보았을 때 7배가량 은 ‘고궁 속 미술관’, 청주관은 ‘수장고 속 미술
증가하였다. 관람객의 증가는 서비스 공간 구축의 필 관’을 슬로건으로 운영하고 있다.
요로 분석될 수 있으며, 사회 요구적 변화에 따른 공 3.1.2. 접근성
간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변화 특성은 접근성은 특정 지역으로의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
미술관 공간 변화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을 뜻한다. 거리, 통행시간에 의해 결정되며, 접근성이
높을수록 유동인구·교통량이 많아진다. 위치는 장소
의 조건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이긴 하지만, 필수조건
3.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 유형
도 충분조건도 아니다.(Relph, 2005, p.78) 미술관의
경우 관람객이 내방(來訪) 했을 때의 이동의 편리성에
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국립현대
대한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미술관의 공간 변화 유형을 환경적·운영적·사회 요
구적 변화에 따라 분류하였다. 환경적 변화는 물리적 접근성의 분석은 관람객 모객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특성으로, 운영적 변화는 기능적 특성으로, 사회 요구 공간을 이해하고 운영하기 위한 전략적 요소로 활용될

에 따른 변화는 관람 서비스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그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각 분관만 하더라도 자연,

림 8>과 같이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심, 고궁 등 지리적 위치에 따라 접근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접근성에 대한 해석은 심리적 접근과 환경
적 접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측면에서의 접근으로 한정 지어 분류하였다.
3.1.3. 복합성
복합성이란 미술관 공간을 계획과 목적에 따라 혹은
전시 콘텐츠에 따라 가변적(可變的)으로 결합하여 이용
하는 것을 뜻한다. 사회학자 카트린 발레는 최근
20-30년 동안에 미술관에 일어난 변화를 ‘미술관의
<그림 8> 전시공간 변화의 특성 분류 현대화’라고 이름 붙이고 있는데, 이 현대화의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는 ‘미술관의 종합문화공간화’이
다.(Cho, 2007, p.202) 주변 갤러리 혹은 공용공간과
3.1. 물리적 특성
의 결합이 될 수도 있고, 내부와 외부공간의 결합이 될
3.1.1. 장소성
수도 있으며, 복합성이 높은 전시공간은 다양한 형태의
장소는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활동과 긴밀한 관계를
미술 콘텐츠 생성과 새로운 공간 경험을 선사한다.
갖는다. 장소성이란 장소에 부여된 특별한 성질로 의
‘예술품을 보기 위한 공간의 배열’이라고 언급한
미가 부여된 공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필립 존슨(Philip Johnson)의 주장에서도 알 수 있듯
따라 생성된 미술관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장소
이 공간구조의 문제는 뮤지엄 건축뿐만 아니라 예술을
성은 문화적 랜드마크(landmark)로 발전될 수 있다.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전시 방식의 설정, 관람 동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은 역사에 따라 기관의 이전
선의 형성, 대공간과 중정의 구성, 관람객의 경험 등과
을 시행해왔으며, 이후 기관의 역할이 전문화·세분화
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본 요소이다(Lee, 2010).
되고 확장됨에 따라 여러 지역에 분관을 건립하는 등
복합성은 미술관의 전시공간이 역사적, 사회·문화적,
미술관의 지역적 장소성이 뚜렷하게 구분되도록 하였다.
콘텐츠의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할 수 있는가를 내포
장소성에 대해 언급한 에드워드 랠프(Edward
한다. 또한 주변 환경과의 결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
Relph)는 일반적으로 공간이 장소에 맥락을 주는 것
고, 다양하게 결합될수록 높게 나타난다.
처럼 보이지만, 공간은 그 의미를 특정한 장소들로부
터 얻는다고 하였다.(Relph, 2005, p.39) 장소성은 <표 4> 전시공간 변화의 물리적 특성

각 미술관의 특성화를 위한 요소로도 적용 될 수 있 구분 내용


지리적·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간적
다. 이러한 장소 특성화를 활용하여 과천관은 ‘자연 장소성
요소.
속 미술관’, 서울관은 ‘도심 속 미술관’, 덕수궁관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66


지속성(Sustainability)은 환경의 변화와 상관없이
관람객이 미술관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
접근성 전시 및 다원예술 등 콘텐츠를 적용할 수 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미술관의 기능적
는 적합한 환경으로의 공간적 요소 측면에서의 지속성은 전시나 전시 연계 교육, 연계 문
주변 환경, 공간과의 결합이 가능한 멀티 공 화 행사 등 미술관 안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복합성
간으로의 다변화(多邊化) 요소
들이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작동되는 것을 말한다.
기관의 역할이 세분화·전문화됨에 따라 다학적(多
3.2. 기능적 특성
學的)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미술관은 이러한 학예
3.2.1. 참여성
연구기반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시
참여성은 관람객이 미술관에서 전시·교육·문화
스템을 구축한다. 전시는 더욱더 세분화되어 소장품전,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관계하는 것을 말한
기획전의 분류만 나뉘던 과거와 달리 소장품전은 상설
다. 미술관은 교육·문화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사회
전, 소장품 특별전, 기증 작품전으로 세분화되고, 기획
적 요구를 수행한다. ‘박물관의 현대화’에 대해 언
전은 한국 근대미술, 중진 작가전, 신진 작가전, 국제
급한 카트린 발레는 문화 프로그램을 확충하기 위해
미술전, 기업후원전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지속성은
카페테리아, 서점, 주차장, 휴식처, 아트숍, 정원, 조각
어느 한 부분의 결핍 없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도록 하
공원 등 시민 편의시설을 새롭게 만들거나 기존의 건
기 위해 갖추어져 할 기능적 요소이며, 기관의 활성화
물을 보수해서 시설들을 만들고, 콘서트, 무용 공연,
문제와도 결합될 수 있다.
영화 상영, 시민강좌 등 다양한 장르 프로그램을 개최
<표 5> 전시공간 변화의 기능적 특성
한다고 했다.
구분 내용
미술관은 관람객의 교육,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을
관람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
제공한다. 과거 ‘전시’만이 미술관의 역할이었던 전 로 강의실, 세미나실, 멀티프로젝트 홀 등
참여성
다중시설의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되는
시실 중심의 미술관은 복합 문화공간을 추구하는 동시
요소
대 미술관으로 변화하였다. 강당, 회의실, 멀티프로젝
전시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된 교육 프로그램
트홀, 세미나실과 같은 공간에 대한 활용이 세분화되 공공성
의 요소
면서 각 목적성에 적합하도록 구성이 되었으며, 교육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스템으로 작동하여 지
지속성
속적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요소
및 체험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맞는 프로그램들도
증가하여 관객 참여도를 높이고 있다.
3.2.2. 공공성 3.3. 관람 서비스적 특성
공공성은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 3.3.1. 편리성
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을 말한다.11) 미술관은 편리성은 관람객에게 제공되는 전시환경, 편의시설,
평생 학습기관으로서 공공을 위한 가치를 실현하고 있 부대시설에 등 사용자 중심의 요소를 말한다. 복합문
으나 변화하는 사회적 의제와 흐름을 반영하면 미술관 화시설로 발전한 미술관은 전시 공간뿐만 아니라 지원
의 공공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Hwang, 2018) 시설(서비스 공간)에 대한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미술관의 공공성은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대중의 문화 전시 연계 문화상품이나 미술관 MI(Museum
수준의 향상,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국 Identity)관련 상품을 전시·판매하는 아트숍(Art
민 모두에게 양질의 문화 활동을 동등하게 부여하는 Shop)이나 질적 관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코트룸, 물
역할을 한다. 품 보관함 서비스 영역 등 이용자 중심의 시설의 유무
사회학적 관점에서 공공성은 “최적의 의사소통상 가 편리성의 척도를 나타낸다. 이용 서비스뿐만 아니
태”로 보고 이를 통해 집단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라 전시공간과 서비스 공간의 연결성, 서비스 공간의
해석된다(Choi, 2005). 소수를 위한 폐쇄적 공간에서 위치, 서비스의 종류를 통해 분석될 수 있다.
대중을 위한 개방 공간으로 전시공간의 패러다임이 변 3.3.2. 이용성
화하면서 다수를 위한 개방공간으로의 공간 활용, 콘 이용성은 관람 서비스 시설 이용에 대한 활용 빈도
텐츠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와 관련이 된다. 관람 서비스 영역의 적절한 배치, 관
3.2.3. 지속성 람객의 접근성이 해당된다. 사용자 중심의 공간 구성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67


은 경험의 질적 만족도를 높여주며, 휴게 공간은 지속 <표 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공간분석

적인 관람으로 이어지게 한다. 또한 공공공간(公共空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개관년도 1986년
間)의 활용은 대중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미술관의 모
건축면적: 16,661㎥
든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다. 면적
이미지 전시실: 13,941㎥

<표 6> 전시공간 변화의 관람서비스적 특성 건축가 김태수

구분 내용 전시실 상설·기획전시실 9 층수 지하1층, 지상3층


관람객
수장고 9 647,805명
아트존, 카페테리아와 같은 관람객 휴게 시 현황
편리성
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중심 구성 요소 미술관 공간 분석
관람 및 휴게공간에 대한 용이함과 활용빈도
이용성
를 나타내는 요소

4. 사례분석

4.1. 분석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1986년 국립현대미술관 과
천관을 시작으로 2018년 청주관 4관 체제를 구축하기
까지의 각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전시공간을 분
석해보고자 한다. 각 분관은 80년대, 90년대, 2000년
대, 2010년대 등 순차적으로 개관하여 시대성에 따른
미술관 공간의 활용과 변화를 분석해 볼 수 있다. 미
술관의 공간의 분석은 사무공간을 제외한 미술관 전시
공간과 전시 외 공간 (교육, 관람서비스 공간)으로 한
정하였다. 분류 요인 척도 내용

<표 7> 사례분석 대상 ‘자연 속 미술관’으로 동물원과 테마


장소성 ● 파크, 캠핑장이 인접하여 가족단위 관람
번호 기관명 위치 설립년도 객이 많음

1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경기도 과천시 1986 물리적 도심과는 떨어져 있으며,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 ○
특성 접근이 가능하지만 편리성은 떨어짐
2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시 중구 1998 야외조각공원과 9개의 전시실, 활용가능
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시 종로구 2013 복합성 ● 한 실내 공용공간이 많아 다양한 전시구
성 및 공간변형이 가능함
4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충청북도 청주 2018
강당과 회의실이 위치하여 미술강좌, 문
참여성 ●
화예술행사가 다양하게 이루어짐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미술관 공간 변화에 대한 기능적 다양한 계층의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하
공공성 ●
요인을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진행하고자 한 특성 여 공공성을 높임
정례화(定例化)된 전시 프로그램이 지속
다. 각 미술관에 대한 정보는 공식적 통계자료를 토대 지속성 ◎
적으로 이루어짐
로 작성되었다.12) 각 공간 변화의 특성을 시대적, 운 관람 전문가를 위한 미술 연구센터와 아트존,
영적, 사회 요구적 측면으로 환경적 특성, 기능적 특 서비스 편리성 ● 카페테리아 등 관람객 휴게 서비스 부대
적 시설이 구축되어 있음
성, 관람 서비스적 특성으로 항목화하여 요인을 분석 특성 이용성 ◎ 지역주민의 시설 이용률이 높다
하였다. 각 적용 요소를 분석하는 척도는 강함(●), 보 종합분석
통(◎), 약함(○), 없음(×)으로 표시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은 자연친화적 위치에 따라 장소성이 강하
게 나타난다. 넓은 부지의 확보로 다양한 내·외부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여 복합성이 높은 척도를 보인다. 관람객 참여를 위한 다양
4.2. 사례분석 한 문화행사의 개최로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으나 접근성이 다소 떨
4.2.1.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어져 외부 관람객 모객을 위한 공간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68


4.2.2.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4.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표 9>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공간분석 <표 1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공간분석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개관년도 1988년 개관연도 2013
건축면적: 11,196㎥
건축면적: 1,182㎥ 면적
면적 이미지 전시실: 10,070㎥
이미지 전시실: 1,152㎥
건축가 민현준
건축가 나카무라 요시헤이
전시실(1~8),
전시실 층수 지하3층, 지상3층
전시실 기획전시실 4 층수 지상 3층 서울박스 등
관람객 관람객
수장고 1 452,024명 수장고 3 1,420,161명
현황 현황
미술관 공간 분석 미술관 공간 분석

분류 요인 척도 내용
‘도심 속 미술관’으로 삼청동 ‘문화
의 거리(Culture Street)’에 위치해 있
분류 요인 척도 내용 장소성 ●
으며, (구)기무사 건물로 역사적 유래를
‘고궁 속 미술관’으로 덕수궁 내에 위 지님
장소성 ● 물리적
치하여 장소특정성이 뚜렷함 관광객이 많은 지리적 특성을 지니며 접
특성 접근성 ●
근성이 좋아 주변보행자의 유입이 큼
물리적 서울 도심에 있어 관람객의 접근성이 뛰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다양한 가변적 구
접근성 ●
특성 어나며,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률이 높음 복합성 ● 성이 가능하며, 주변시설과의 연계가 뛰
어남
미술관은 전시실의 변형이 한계가 있으 멀티프로젝트홀, 영화관, 강의실, 세미
복합성 ○
나 최근 야외공간의 활용이 증가됨 참여성 ● 나, 아트팹랩 등 다양한 시설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시청각실, 회의실의 활용으로 전시 연계
참여성 ◎
프로그램이 실행됨 미술자료와 정보제공을 위한 디지털정
기능적
기능적 근·현대미술전시 공간으로 특화하여 보실(디지털 도서관, 디지털 아카이브)
공공성 ◎ 특성 공공성 ●
특성 운영하며, 학술적 문화행사를 개최함 이 구축되어있어, 일반관람객, 연구자들
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함
기획전 위주의 전시실 활용만이 이루어
지속성 ○
지며 전시가 개최될때만 개관함 소장품전, 기획전, 정례전 등이 주기적
지속성 ◎
으로 반복되어 운영됨
관람 편리성 아트존, 물품보관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
○ 아트존, 카페테리아, 푸드코트, 티하우
서비스 나 작은 규모로 운영됨
관람 편리성 ● 스, 멤버쉽라운지 등 전시 이외 서비스
적 전시관람 목적의 관람객이 많아 서비스 서비스 공간의 마련으로 편리성을 높임
특성 이용성 ○
영역의 이용이 활발하지 않은편 적 관람객의 시설이용률이 높으며,
종합분석 특성 이용성 ● 관객 참여공간을 마련하여 만족도 향상
에 기여함
고궁 안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은 장소성과 접근성 종합분석
이 높게 나타난다. 정형적 공간 내에서만 전시가 가능하며, 공간
다양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은 복합
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성은 낮은 척도를 보
문화공간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공간적 측면의 모든 요소가
인다. 참여성과 공공성은 보통의 수준으로 일반적 전시콘텐츠 및
높은 척도를 보였으며, 양질의 문화콘텐츠의 제공으로 참여성과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근대 건축물인 만큼 관람서비스를
공공성 또한 높게 나타난다. 관람만족도에 해당하는 관람 서비스
위한 특성은 다소 낮게 나타나는 편으로 서비스 공간에 대한 구
영역의 요소들도 높게 나타나지만 지속성에 관한 문제가 다른 영
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역에 비해 다소 미약하여 추후 중장기적 운영 전략이 필요하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69


4.2.4.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4.4. 소결
<표 11>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공간분석 <표 12> 미술관의 공간변화 특성 종합분석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사례분석


특성 요인
개관연도 2018 A1 A2 A3 A4
장소성 ● ● ● ●
건축면적: 5,397㎥
면적 물리적 특성 접근성 ○ ● ● ◎
이미지 전시실: 3,868㎥ 복합성 ● ○ ● ○
옛 연초제조창 참여성 ● ◎ ● ◎
건축가
재활용 기능적 특성 공공성 ● ◎ ● ●
전시실 기획전시실 1 층수 지상 5층 지속성 ◎ ○ ◎ ○
관람 서비스적 편리성 ● ○ ● ○
개방 및 보이는 관람객
수장고 222,881명
수장고 7, 수장고 3 현황 특성 이용성 ◎ ○ ● ◎
미술관 공간 분석

본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간 변화 중 물리적 특성의 요인인 장소성은 각
분석대상 모두 높은 척도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A1
에 해당하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을 제외한 세 기관이
보통 이상의 척도로 접근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
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소성의 형성이 미술관 공
간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능적 측면의 공간 변화의 특성은 미술관의 규모
가 커질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분류 요인 척도 내용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미술관의 기능
‘수장고 속 미술관’으로 옛 담배 공장 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간의 활용도 증
장소성 ● 이었던 공간을 재건축하여 작품수장과 가와 확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보존을 위한 수장형 미술관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분석은 전시실을 제외한 부
‘공예비엔날레’ 등 문화기관과 인접
물리적 접근성 ◎ 하여 방문객유치에 효과적이며 지리적 대시설(세미나룸, 강의실, 영화관, 멀티프로젝트홀 등)
특성 접근성이 좋음 과 관람 휴게시설이 구축될수록 편리성과 이용성이 높
전시 개념이 도입된 ‘개방 수장고(open 아지며, 참여성, 공공성과도 동일한 지표로 나타나는
storage)와 ’보이는 수장고(visible
복합성 ○
storage)’의 특화된 공간운영으로 전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시를 위한 공간
실 간 공간 변형이 불가함 만이 미술관의 전부였던 과거에서 점차 관람객을 위한
시청각실, 회의실, 라키비움 등 전시·교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술관의
참여성 ◎ 육기능 공간의 개방으로 관객 참여도를
작품 관람 공간뿐만 아니라 편의시설, 휴게시설 등 다
높임
기능적 목적 공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수도권 외 첫 지방 분관으로 지역
특성 공공성 ●
문화 활성화를 위한 연계교육 실행
신생 공간으로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전
지속성 ○
략이 필요함 5. 결론
관람 전시공간 대비 관람객 휴게 시설 면적이
편리성 ○
서비스 적은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은 단일 기관에서 점차 확장
적 편의시설로는 아트존, 물품보관이 소규모
특성 이용성 ◎
형태로 운영됨 하여 현재 4관 제체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의 문화
종합분석 균형 발전을 목적으로 앞으로 분관을 더욱 확장할 중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는 공장 건물을 리노베이션 하여 지역의 장기적 계획을 앞두고 있다. 박물관과 분리되어 미술
장소성을 담고 있다. 공예비엔날레와 인접하여 관람객의 접근성이
관(美術館)이라 명명하기 시작했던 1938년을 시작으
높으나, 미술관이 작품 수장과 보존을 위한 ‘미술품 수장보존센
터’로 특화되어 공간의 변형 로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까지 장소적,
기능적으로 변화하였으며, 80년대에 들어서서는 미술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70


연구 분야의 전문성이 강화되어 전시 방식의 변화, 공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별 변화를 분석하여
간 활용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공간의 변화는 점 앞으로 미술관 공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 요소
차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분관 체제로 돌입하게 되었 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물리적, 기능적, 관람 서
고, 전략적이고 특화된 공간 운영을 필요로 하였다. 본 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연구자는 미술관의 효율적인 공간운영 계획 수립을 위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
한 기초자료로 그동안 변화하였던 과정을 살펴보고 변 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각 국립현대미술관에 특화된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해 국립 미술관의 변화의 모습을 환경적, 기 References
능적으로 살펴보고, 변화의 특성을 분류하여 분석하였 Cha, Hye-Lim, (2004). Study on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Korea'sNational Art Museum(Centering on its
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Organization),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첫째, 미술관의 공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물리
Cho, Seon-ryeong, (2007). A study on the public interest
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물리 of the Art museum under the changing cultural
적 특성은 환경적 측면의 분석으로 장소성, 접근성, 복 situations.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 22,
199-232.
합성으로 요인을 도출하였고, 기능적 특성은 미술관의
Choi, Hyokyoung & Kim, InSul, (2014). A Study on
운영적 변화를 토대로 참여성, 공공성, 지속성으로 요 Gwache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인을 도출하였다. 관람 서비스적 특성은 사회 요구의 its Sense of Placeness built in Personal Blog
변화에 따라 나타난 특성으로 편리성, 이용성의 요인 Discourse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REVIEW
16(3), 183-209
으로 도출하였다.
Choi, Kiwon, (2005). A Study on the design factors of the
둘째, 시대별 흐름에 따라 분관이 생성되어 4관 체 community facilities concentrated for the public, Seoul
제인 현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간 변화의 모습이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각 분관마다 Chung, Jun-mo, (2003). Study on ModernᆞContemporary
History of Museum in Korea : Focusing on General
사례 분석 대상 모두 장소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기
Awarenes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관의 규모에 따라 전시실 외 부대시설이 구축되어 다 and Its Institutional Deficiency. Journal of Korean
양한 교육·문화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11, 139-171.
이루었다. 이러한 미술관의 형태는 ‘복합 문화공간’ Hwang, Ji-young, (2018). Direction of Museum Education
for Reinforcing the Publicness of the Museum of
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National
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기적인 Museum of Korea, Museum education, 2, 91-112.
공간의 활용을 나타내는 복합성이 높을수록 참여성과 Kang, Hanyi, Kwon, Kyoung Min & Shin, Hyung
공공성이 높았으며, 관람 서비스에 해당하는 편리성도 Deok.,(2015). Effects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Number of Visitors in Art Museums. The Review of
높은 지표로 분석되었다. 반면, 미술관의 접근성은 기
Eurasian Studies, 12(2), 123-134.
능적 특성과 관람 서비스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Lee, In-beom, (1996).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것으로 해석된다. Art Museum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셋째, 이러한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현대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4, 272-297.
Lee, Seoung-hoon, (2002).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미술관은 물리적, 기능적 변화를 거쳐 장소성이 강한
the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in Museum
미술관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미술관은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징적인 장소성을 갖추고 있으 Culture Architecture. 8, 110-111.
며, 공간의 활용도(복합성)에 따라 관람객의 참여 유 Mok, Soohyun, (2009). The Exhibition Space in
Kyungseong during the 1930s. Journal of Korean
도나 미술관의 공공성을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앞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20, 91-116.
으로 공간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Mok, Soohyun, (2000). The Genesis of the Museum of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공간 브랜딩 전략을 도입 Korea during the Japanese Imperium, Seoul National
하여 적용하여 특화된 미술관 운영계획을 구축하기 위 University, master’s thesis.
국립현대미술관, 2009 미술관 연보(2020).
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6 No.3 71


랠프, 에드워드, (김, 덕현, 김, 현주, 심, 승희 역), (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 / Edward, Relph,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이, 성훈, (2010,5). 새로운 뮤지엄의 공간구조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립. 미술세계.
이, 인범, (1998). 미술관 제도 연구, 서울: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자크, 살루아, (하, 태환), (2001). 박물관과 미술관의 새로운
경영. 서울: 궁리. /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1996),Musees : gerer autrement : un regard
international. France: Ministere de la culture.

Endnotes

1)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법률 제17007호), 국가법령정


보센터

2)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약칭:박물관 미술관법)[시행 20


21.1.1.] [법률 제17007호, 2020.2.18. 타법개정] 제 2조
(정의)에 해당함

3) 우리나라 최초로 건립된 박물관으로 1909년 11월 1일 개


관하였다. 유원지 시설 중 하나로 창경궁(昌慶宮)에 동물원,
식물원과 함께 설립되었다. 창경궁을 원유(苑囿) 공간으로
개조하면서 만든 시설 중 하나였으며, 초기에 황실 전용의
유희공간으로 계획되었으나 1909년 대중을 위한 개방이 이
루어졌다.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왕가미술관
5) 「美術 朝鮮도 躍進」, 매일신보, 1938.5.31.

6) 李王家美術館要覽, 李王職(1938).

7) 그림출처: 국립현대미술관 설립 50주년 계기 장기 발전전략


연구 보고서
8) 그림출처: 국립현대미술관 설립 50주년 계기 장기 발전전략
연구 보고서
9) 그림출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 연계교육
체계화연구, 2018, 국립현대미술관 연보 1999~2016,
재정리
10) 그림출처: 국립현대미술관 설립 50주년 계끼 장기
발전전략 연구보고서, 관람객 규모(1998년~2016년)

11) 네이버 어학사전, https://ko.dict.naver.com


12) 2019 미술관 연보 참고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통권 72호 7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