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p 1 1 1
Labp 1 1 1
Labp 1 1 1
LAB Probiotics
Vol. 1, No. 1, pp. 1~8(2013)
유산균의 건강기능성
강국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Abstract: Fermented foods have been widely consumed from the earliest period of human history, prior to scientific devel-
opments.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contributed to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typical lactic acid-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pickled seafood, makgeolli (korean rice wine), fermented milk, cheese, sauerkraut, etc. In the past, lactic acid-
fermented foods have been consumed due to their unique tastes and aromas. Nowadays, scientific studies have proved that
consuming lactic acid-fermented foods could provide a number of health benefits such as enhancement of intestinal track
health, immunomodulatory fun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etc.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metabolites
and cell wall componen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been associated with beneficial health effects. The effects of
LAB could be mediated by death cells as well as live cells, although the individual effects have been found to be species and
strain specific. Due to growing public concern for welfare, longevity and health, the utilization of LAB for edible vaccine
and enhancement of natural immunity and autophagic ability has become the evolving field of LAB research.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enhance the immunomodulatory function through the screening of LAB and optimi-
zation of culture conditions. Based on many scientific studies on LAB,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foods produced by
LAB into lactic acid-fermented food and LAB-functional food. Lactic acid-fermented food includes kimchi, yoghurt and
cheese, focusing on nutritional value of a product, whereas LAB-functional food is a product formulated with live or death
LAB. The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food are mediated by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both
ingredients and LAB.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LAB-functional food depend only on the action of LAB.
Keywords: lactic acid bacteria, yoghurt, kimchi, fermented milk, functional food
1
2 Curr. Top. LAB Probiotics, Vol. 1, No. 1 (2013)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효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Fincher et al., 1983; Mod et al., 1979; Shibuya and Iwa-
콩요구르트 saki, 1985). 특히 유산균의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GABA,
콩은 고단백식품소재로서 전 세계인의 다양한 식품으로 arabinosylan 복합물 등은 면역활성에 직접 간접으로 관여
활용되고 있다. 가축의 주요한 사료원료이기도 하다. 이미 하는 것들이다. 일본에서도 미강의 발효액에 무, 가지, 오
콩은 두부, 청국장, 된장, 간장 등의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 이, 마늘을 담그었다가 먹는 식습관이 있고 최근에는 미
으며 몇몇 콩요구르트 제품이 시판되었다. 이러한 제품은 강-대두 추출물에 Bacillus natto를 배양하여 간기능성개선
여러 종류의 유산균과 효모를 혼합 배양하여 만든 것으로 음료와 분말제품을 개발한 바 있다(編輯部, 2011). 앞으로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아미노산, 비타민류, folic 좀 더 과학적인 임상연구가 뒷받침된다면 기능성 식품으
acid, γ-amino butyric acid(GABA), 이소플라본, 식이섬유 등 로서 매우 중요한 진가를 발휘할 것으로 본다.
의 함량을 주성분으로 하여 병약한 사람의 건강회복에 홍
보의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제품이다(Kim et al., 2008). 유산균 기능성식품
콩의 풍부한 영양성분과 유산균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과 미량성분의 복합적인 건강 시너지 유산균의 건강에 대한 기능성 연구가 진전되면서 단순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식품의 영양차원을 능가하는 건강효능이 인정을 받으면서
새로운 식품군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식품성분 중에서 건
김치와 채소 요구르트 강기능성이 과학적으로 임상적으로 연구되어 기능성 식품
채소 발효식품의 대표적인 것이 김치이다. 그 종류도 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품목들이 여러 개 있으며 유산균도
400여 가지로서 다양하고 맛과 품질도 매우 특징이 있다. 그러한 범주에 속하게 된 것이다. 유산균 기능성 식품이 관
최근에 김치의 유산균에 대한 미생물학적 연구가 발표되면 심을 끄는 이유는 약품이 아니면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유
서 김치 특유의 유산균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는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능성 식품으
(Chang et al., 2010; Cho et al., 2006). 김치는 특별히 유 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식이성 섬유, 올리고당, 당알코
산균 종균을 첨가하지 않아도 전통적인 김치제조법에 따르 올류, peptides, 단백질, 배당체류, 알코올류, isoprenoids,
면 실패하지 않고 누구든지 만들 수 있다. 김치숙성에 관 비타민류, 콜린류, 무기질, 베타카로틴, 불포화지방산류 등
여하는 유산균들은 대개 낮은 온도에서 잘 생육하는 것이 이 있지만 살아있는 미생물로서는 유산균, 비피도박테리
다. 김치유산균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Lim et al., 2011)가 아, 효모 등을 들 수 있다.
발표되면서 김치의 건강식품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이 유산균이 건강기능성식품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소비자
높아지고 있으며 김치의 세계화 사업이 농림수산식품부의 들의 관심과 전문가들의 인정을 받게된 것은 장내세균의
장기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전, 2012). 정부예산으로 세계 연구가 바탕이 되었다(光岡, 1980; Ley et al., 2011). 유산
김치연구소가 만들어진 것도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시작 균은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서 산을 많이 생성하여 부패방
된 것이다. 김치에는 풍부한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이 들 지의 기본조건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산균식품에
어있고 열처리 살균하지 않고 생채소로 담그는 신선식품 는 건강에 유익한 대사생성물이 함유되어 있어서 건강증
으로서의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채소를 원료로 하여 만 진 및 질병개선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든 식물성 야채요구르트가 여러 종류 시판되고 있으며 이 밝혀지고 있다. 유산균의 종류가 분류학적으로 다양해지면
러한 발명품은 우리의 김치문화에서 유래한다고 볼 수 있 서 그 개별 균종의 기능성도 매우 독특하다는 것이 알려지
다. 우유를 원료로 하는 치즈와 요구르트가 있는 것과 같 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의 과학적 연구결과는 학술논문뿐
이 야채를 원료로 하는 김치 외에 채소 요구르트가 개발되 만 아니라 주기적인 학술심포지엄의 형식으로 발표되고
는 것은 자연스런 식문화의 흐름이다. (Kaminogawa, 1991; Korpela, 2011; Mitsuoka, 1979; Mitsu-
oka, 1980),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언론매체를 통하여 국민
미강-맥강 발효식품 (미강-맥강 분말 요구르트) 들에게 보도됨으로써 관련산업체에 새로운 제품의 개발촉
벼, 보리의 도정공정에서 약 10%의 부산물로 나오는 미 진 및 소비촉진을 위한 중요한 홍보의 근거가 되고 있다.
강, 맥강은 주로 가축의 사료와 퇴비로 활용하였던 것인데 유산균 기능성식품의 포장용기에 질병예방 및 치유개선
이것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과립형태의 건강식품이 판매 효능을 표기하는데 많은 제한이 있지만 학술심포지엄 및
되고 있다. 미강-맥강에 들어있는 각종 단백질과 아미노산, 세미나의 형식을 통하여 전문가들이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다당류, 비타민, 미네럴, 항산화물질로서 감마 올리자놀, 토 토론하는 것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러한 학술행사에
코페롤, 피토스테롤, 베타글루칸,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 서 유산균의 포괄적인 기능성이 소개되고 그것이 언론을
효소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이 발 통하여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간접효과는 유산균의 건강효
4 Curr. Top. LAB Probiotics, Vol. 1, No. 1 (2013)
망자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초과하였다고 발표되었다. 한 diovascular disease)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로 비만의
국도 평균수명이 80세로 길어지면서 만성질환자수가 급증 원인이 되는데 쥐 40마리를 가지고 동물실험한 결과에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건강상태를 고려할 때 약물에만 유산균의 투여로 콜레스테롤의 저하효과를 나타내었다(Lee
의존하는 기존의 치료법보다는 통합의학의 차원에서 독성 et al., 2010).
이 없거나 적은 생물의약(bio-medicine)의 혼합사용에 대한 위의 임상연구, 동물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유
관심이 환자들뿐만 아니라 의료진에 있어서도 높아지고 있 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으로서 장내의 pH 저하, 유기
다. 유산균은 독성이 없으면서도 생체에 미치는 여러 가지 산에 의한 항산화작용, 산화환원전위저하, 항균물질, 항암
면역부활작용 및 약리작용의 효과가 매우 긍정적이며 이러 물질, 염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 (아토피, 알레르기, 암,
한 것을 적극 활용하여 환자중심의 통합의료정책으로 나아 설사, 대장염 등)의 면역사이토카인 생성조절에 관여하는
가는 것은 현대의학의 정당한 흐름이다. 유산균의 질병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산균제조업체의 연
선효능에 대한 동물실험 및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의들 구비에 의하여 이루진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연구결과를
에 의한 임상연구는 매우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보 제품홍보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요구사항이다. 그
건행정 당국의 규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수용하지 못하고 러나 정부의 감독기관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제품홍보
있다. 이 문제는 국민건강을 위하여 학계와 관련업계, 그리 에 활용하지 못하게 규제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조
고 보건행정당국이 함께 풀어가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절해나갈 것인지 국민건강의 측면, 기업체와 학계의 입장
있다(Korpela, 2011; 맹진아, 2010; 백병학, 2004; 임신혁, 을 고려하여 관계자 모두가 협력하여 풀어야 할 과제이다.
2010).
유산균 작용 중에서 변비개선의 문제는 가장 일찍부터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연구된 분야이다(Mitsuoka 1979, 1980; 삼육대학교, 2008).
최근에 비만이 국민건강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 유산균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와 관련산업의 성장은 매우
면서 여기에 대한 장내세균의 연구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의 기능성에 대한 연
있다(삼육대학교, 2011). 설사증에 대한 89명의 임상시험 구가 질병예방 및 치료의 효과로 진화되면서 유산균 산업
연구 사례(Beausleil et al., 2007)에서도 유산균 섭취군 44 은 제약산업의 일부 영역을 대신하게 되었다. 화학약물의
명 중에서는 7명이 설사, 위약군 45명 중에서는 16명이 설 과잉투여에 대한 거부감이 환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식되
사하여 p=0.05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여드름 환 면서 의료전문가들조차 이러한 분위기에 동조하는 입장이
자 7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의 결과에서 염증성 농포 점차 확산되고 있다. 현대의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약의
가 유산균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Lee et al., 부작용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등장한 것이 생균제
2008; Kang et al., 2009). 식중독세균의 일종인 Listeria 즉 프로바이오틱스이다. 이것은 장내 미생물의 건강 조절
monocytogenes는 장상피세포에 부착하여 면역반응을 저해 작용에 대한 연구결과의 산물이다. 장내에 생존하는 미생
시키는데 여기에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은 식중독균의 장 부 물 균총의 밸런스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착을 억제시키고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을 증가시켰으 光岡(1979)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연구내
며 염증유발요인의 IL-8 생성을 저하시켰다(Sinead et al., 용에 대한 2006년까지의 총설은 김과 민(2007)에 의하여
2007).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게도 유산균의 투여로 장 보고되어 있다.
내가스 감소, 개선효과를 보았다(Brenner et al., 2009; Moay-
yedi et al., 2010; O'Mahony et al., 2005). 아토피 피부염의 유산균 기능의 향후 연구 쟁점
동물시험과 아토피 임신여성 159명의 임상시험에서 유산균
의 섭취로 아토피 예방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Caramia 생균이냐 사균이냐
et al., 2008; Kalliomki et al., 2001; Segawa et al., 2008). 지금까지는 유산균의 기능성을 평가할 때 생균 중심이었
유산균 L. sakei Probio65를 알레르기성 피부염 실험쥐 3 다. 왜냐하면 유산균발효유의 품질평가에서 생균수를 기준
군으로 구분하여 투여한 결과, 아토피 개선효과를 인정할 으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면역학이 발전하면서 생균 중심
수 있었다(Park et al., 2008), 이 균을 아토피성 피부염 아 의 연구에서 사균체의 기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Cystic
이들에게 투여한 결과,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 fibrosis cell Meth A를 접종한 쥐에 Enterococcus faecalis
다(Woo et al., 2010). EC-12의 사균체를 경구투여한 결과, 생존율이 증가하고 그
대장염의 임상시험에 사용한 장 질환 모델쥐의 경우, 프 효과는 투여용량 의존적인 관계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프
로바이오틱의 투여로 장점막의 보호, 숙주의 방어인자 발 로바이오틱스가 반드시 생균이어야 한다는 것을 비판하는
현자극 등의 효과를 인정하였다(Venturi et al., 1999; Kuh- 보고도 있다.
bacher et al., 2006; Geier et al., 2006). 심혈관계질환(Car- 우리 몸의 면역세포와 항체의 60%가 장에 집중되어 있
6 Curr. Top. LAB Probiotics, Vol. 1, No. 1 (2013)
기 때문에 장관면역계가 활성화되려면 분비형 항체 sIgA 는 오로지 백신뿐이다. 따라서 좀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
분비량이 증가하면 되고 그 결과, 침입해 들어오는 바이러 신의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제약회사, 대학, 정부기관의 연
스, 세균, 세균독소, 알레르겐 등이 sIgA에 결합되어 퇴치 구소에서 경쟁이 치열한 연구중점분야이다. 새로운 백신개
되므로 감염방어나 알레르기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 장 발의 기술로써 전통적인 근육주사에서 문제가 되는 주사기
관면역계가 활성화되면 장관뿐만 아니라 폐, 타액, 콧물, 눈 사용, 그 외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식용백신
물, 모유 등에도 sIgA 분비량이 증가하여 건강증진에 유익 (edible vaccine)이 관심을 끌고 있다. 점막표면에 항원을 전
하게 작용하며 활성산소의 감소도 매우 현저하다. 과잉활 달하거나 자극할 수 있는 수단으로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성산소를 제거하고 혈액의 과산화지질을 45% 감소시킨다. 따라서 달라지며 유산균(Poo et al., 2006; 성 등, 2004) 혹
유산균의 발효성분 중에는 유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 은 바나나(민, 2011)를 식용백신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
틸산(butyric acid) 등이 있는데 이들은 pH를 낮추어 항균 되고 있다.
성을 강화시키고 낙산은 종양세포의 자살촉진에도 작용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의 균체 성분으로서 무라밀 결 론
디펩티드(muramyl dipeptide, MDP), 펩티도글리칸(peptido-
glycan, PG) 등은 면역활성을 높이거나 뇌신경에 작용하여 한국에 유산균발효유가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970년이
수면을 도와주고 특히 MDP는 뇌신경세포 microglia(소교 다. 그 당시는 국내 우유의 생산량이 적었고 국민소득이 높
세포)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촉진시키 지 않아서 우유 고형분이 3% 미만의 액상음료타입의 요구
고 또한 분비된 사이토카인이 직접 간접으로 신경 내분비 르트였다. 그러나 경제발전과 더불어 우유생산량이 증가되
계를 자극하거나 시상하부, 대뇌 상피, 대뇌 변연계 등의 고 유산균발효유의 건강효능이 학술적 연구를 통하여 알
신경계에 작용하여 다운증후군, 파킨슨병, 치매 등에 긍정 려지면서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품질이 다양화되었다.
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며 그러한 체험사례 식품관련학회뿐만 아니라 보건의학분야에서도 유산균의 건
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을 보면 유산균의 대 강세미나가 자주 개최되고 그 내용이 언론을 타고 홍보되
사산물은 인체의 항상성(homeostasis)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면서 유산균발효식품은 국민 애호식품, 기호식품으로 등장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의 정보전달물질로서 작용하여 자 하였다. 우유발효식품은 이제 다양화되었고 요구르트의 제
기치유력을 높이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 같이 유산균의 품도 다양성 및 품질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이며 치즈의 소
기능이 생균으로서의 기능도 있지만 그 대사산물의 미량성 비량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분과 균체성분, 그리고 그러한 복합적인 성분들의 상호작 액상요구르트가 처음으로 도입된 지 40년만에 이제는 요
용에 의하여 면역반응과 건강효능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반 구르트의 전성시대를 이루고 있다. 우유를 발효시킨 우유
드시 생균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 유산균 요구르트, 쌀을 발효시킨 쌀요구르트, 콩을 발효시킨 콩요
의 면역력은 균종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지만 배양온도에 구르트, 미강-맥강을 발효시킨 맥강발효식품 등 다른 나라
따라서 변한다는 보고(김, 2011)가 있다. 면역조절작용이 우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소재로 만든 유산균발효식품이 널
수한 유산균을 선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배양조건을 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유산균발효식품의 개발
달리하면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 IL- 기술은 새로운 장치산업을 유도하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12의 생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좀 더 효과적인 면역조 수 있는 새로운 요구르트 한류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으
절활성의 향상을 위하여 유산균 배양조건을 검토할 필요가 로 기대된다. 특히 쌀, 콩, 미강-맥강의 중요한 식량소재를
있다. 건강식품화할 수 있다는 것은 세계의 자랑거리이다. 최근
에 한국의 국력신장으로 IT, 자동차, 선박, 스포츠, 영화, 그
유산균백신 리고 한류의 문화수출에 힘 입어 한국 요구르트의 한류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 질병 특히 계절 촉발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성 인플루엔자 및 신종인플루엔자의 위협을 효율적인 차단
할 수 있는 수단은 백신이다. 그러나 백신접종의 효과분석 요 약
결과를 보면 아직 불안요인이 많다. 특히, split vaccine(분
할백신)으로서는 항원변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과학이 생겨나기 전부터 자연발효식품은 인류의 애용식
백신의 여러가지 부작용(발열 등) 등을 고려할 때 계절성 품이었다. 그 중에서도 유산균발효식품은 김치, 젓갈, 막걸
인플루엔자의 예방 백신접종의 효과분석결과(정, 2010)는 리, 발효유, 치즈, 사우어크라우트 등 민족문화와 전통에 따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플루엔자의 유행 시에 예방약 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어왔다. 옛날에는 유산균 식품
이 없고 항인플루엔자약은 치료약이며 내성의 가능성 때문 의 맛이 좋아서 먹었던 생활습관식품이었지만 현대과학이
에 예방약으로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서 발전하면서 연구결과에 의하여 밝혀진 것을 보면 장의 부
Health Benefits of Lactic Acid Bacteria 7
패방지, 장운동 촉진, 면역기능 조절, 항산화작용, 질병개선 phagy-restraining cytokines (IL-4 and IL-13) in response to
및 치유효과 등 건강효능에 관한 것이 많다. 이러한 건강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 Int. Immunopharma-
col. 10, 694-706.
효능작용은 유산균의 대사산물 및 균체의 세포벽 성분이 Dodd HM and Gasson MJ (1994)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유산균의 건강효능 작용 teria. In: Genetics and Biotechnology of Lactic Acid Bacte-
은 살아있는 유산균을 먹거나 사멸한 유산균을 먹거나 차 ria. Gasson MJ and de Vos WM (eds), Blackie Academic &
이가 별로 없으며 오히려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건강 Professional, London, pp. 211-251.
Fincher GB, Stone BA, and Clarke AE (1983) Arabinogalactan
효능에 다양한 차별화가 인정되고 있다. 생활경제력이 향
proteins: Structure, biosynthesis and function. Annu. Rev.
상될수록 국민들의 복지, 장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Plant Physiol. 34, 47-70.
높아지면서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 맞추어 유산균의 새로운 Geier MS, Butler RN, Giffard PM, and Howarth GS (2007) Lac-
연구는 식용백신, 자연면역, autophagy의 활성화 쪽으로 진 tobacillus fermentum BR11, a potential new probiotic, alle-
viates symptoms of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화해 나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유산균의 면역조절작용을
(DSS) in rats. Int. J. Food Microbiol. 114, 267-274.
향상시키기 위하여 균주별 검색, 배양조건의 조절(온도) 등 Gupta SS, Mohammed MH, Ghosh TS, Kanungo S, Nair GB, and
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산균에 대한 많은 연구 Mande SS (2011) Metagenome of the gut of a malnutriched
가 진전되면서 유산균식품의 특성을 유산균 발효식품과 유 child. Gut Pathogens 3, 7-9.
Kalliomki M, Salminen S, Arvilommi H, Kero P, Koskinen P, and
산균 기능성식품으로 구분할 필요가 생겼다. 유산균 발효
Isolauri E (2001) Probiotics in primary prevention of atopic
식품은 김치, 요구르트, 치즈 등의 영양성분 중심의 식품 disease: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357,
이고 유산균기능성 식품은 유산균의 균체를 모아서 생균 1076-1079.
이나 사균의 형태로 제형화한 식품을 말한다. 두 종류의 Kaminogawa S (1991) 유산균 장내세균의 면역부활작용. 유산
제품에 있어서 유산균발효식품은 제품 원료특성의 기능성 균과 건강. 제7회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 Hotel Lotte,
Seoul, Korea, pp. 301-309.
과 유산균의 기능성이 혼합된 형태의 효능이 나타나는 것 Kang BS, Seo JG, Lee GS, Kim JH, Kim SY, Han YW, Kang H,
이고 유산균 기능성식품은 오로지 유산균체의 기여도에 따 Kim HO, Rhee JH, Chung MJ, and Park YM (2009) Antimi-
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crobial activity of enterocins from Enterococcus faecalis SL-
5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the causative agent in
acne vulgaris, and its therapeutic effect. J. Microbiol. 47,
참고문헌 101-109.
Kang MK, Na HC, Park JH, and Kang JS (2009) Soybeans fer-
Bae JW, Rhee SK, Park JR, Chung WH, Nam YD, Lee I, Kim H, mented with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protects Opleg-
and Park YH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nome- nathus fasciatus from irido virus and pathogenic bacterial
probing microarrays for monitoring lactic acid bacteria. Appl. infection. J. Life Sci. 19, 720-727.
Environ. Microbiol. 71, 8825-8835. Kim NH, Moon PD, Kim SJ, Choi IY, Na HJ, An HJ, Myung NY,
Beausoleil M, Fortier N, and Guenette S (2007) Effect of a ferme- Jeong HJ, Um JY, Hong SH, and Kim HM (2008) Lipid pro-
nted milk comb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CL 1285 and file lowering effect of SoyproTM fermented with lactic acid
Lactobacillus casei in the prevention of antibiotic associate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diarrhe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rats. Biofactors 33, 49-60.
Can. J. Gastroenterol. 32, 732-736. Kim Y, Oh S, Yun HS, Oh S, and Kim SH (2010) Cell-bound
Brenner DM, Moeller MJ, Chey WD, and Schoenfeld PS (2009) exopolysaccharide from probiotic bacteria induces autoph-
The utility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agic cell death of tumour cells. Lett. Appl. Micorbiol. 51,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m. J. Gastroenterol. 104, 123-130.
1033-1049. Korpela R (2011) LGG와 장건강-LGG의 섭취가 호흡기감염
Chang JH, Shim YY, Cha SK, and Chee KM (2010) Probiotic 과 장질환에 미치는 효과. LGG 유산균의 건강증진효과.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강연자료집. pp. 9-22.
Appl. Microbiol. 109, 220-230. Kuhbacher T, Ott SJ, Helwig U, Mimura T, Rizzello F, Kleessen
Cho JH, Lee DY, Yang CN, Jeon JI, Kim JH, and Han HU (2006) B, Gionchetti P, Blaut M, Campieri M, Folsch UR, Kamm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 MA, and Schreiber S (2006) Bacterial and fungal microbiota
bage product. FEMS Microbiol. Lett. 257, 262-267. in relation to probiotic therapy (VSL#3) in pouchitis. Gut 55,
Choi J, Kim KH, Song TS, Lee KS, Gang SB, and Yoon SS 833-841.
(2011)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ermen- Lee J, Kim Y, Yun HS, Kim JG, Oh S, and Kim SH (2010) Genetic
ta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AM15-41, The abst- and proteomic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erum cholesterol
ract book of 6th ACLAB, Sapporo, Japan. pp. 257. reduct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4. Appl. Environ.
Darab G, de Vrese M, Heller KJ, and Schrezenmeir J (2010) Lac- Microbiol. 76, 4829-4835.
tic acid bacteria enhance autophagic ability of mononuclear Lee YJ, Choi HJ, Kang TW, Kim HO, Chung MJ, and Park YM
phagocyte by increasing Th1 autophagy-promoting cytokine (2008) CBT-SL5, a Bacteriocin from Enterococcus faecalis,
(IFN-γ) and nitric oxide (NO) levels and reducing Th2 auto-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induced by Propi-
8 Curr. Top. LAB Probiotics, Vol. 1, No. 1 (2013)
onibacterium acnes i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J. gidi P, Matteuzzi D, and Campieri M (1999) Impact of fecal
Microbiol. Biotechnol. 18, 1308-1316. flora by a new probiotic preparation: Preliminary data on main-
Ley RE, Turnbaugh PJ, Klein S, Gordon JI (2006) Human gut tenance treatment of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Alimen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444, 1022-1023. Pharmacol. Ther. 13, 1103-1108.
Lim JH, Seo BJ, Kim JE, Chae CS, Im SH, Hahn YS, and Park Woo SI, Kim JY, Lee YJ, Kim NS, and Hahn YS (2010) Effect of
YH (2011) Characteristics of immunomodulation by a Lac- Lactobacillus sakei supplementation in children with atopic
tobacillus sakei proBio65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eczema-dermatitis syndrome. Ann. Allergy Asthma Immunol.
Microbiol. Biotechnol. 39, 313-316. 104, 343-348.
Mijan MA, Lee YK, and Kwak HS (2011) Classification, struc- 강국희 (1990) 유산균식품학. 성균관대 출판부, Suwon.
ture, and bioactive functions of oligosaccharides in milk. Ko- 강국희, 강빈구, 김성기, 백병학, 차욱진 (2011) 유산균 기능성
rean J. Food Sc. Ani. Resour. 31, 631-640. 의 건강증진효과와 임상효과연구의 타당성 검토, 한국과
Mitsuoka T (1979) 건강에 있어서 장내세균과 유산균의 역할. 학기술정보연구원 포럼보고서, Seoul.
유산균과 건강. 제1회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 Hotel 강대경 (2010) Probiotic bile salt hydrolase. Proceed. Int. Symp.
Lotte, Seoul, Korea, pp. 24-33. Korean Soc. Lactic Acid Bacteria, Korea University, Seoul,
Mitsuoka T (1980) 腸內細菌の 世界. 叢文社, Tokyo, pp. 13-41. Korea, pp. 237-247.
Moayyedi P, Ford AC, Talley NJ, Cremonini F, Foxx-Orenstein 김영회 (2011) 유산균의 면역부활능력은 배양온도에 따라 변
AE, Brandt LJ, and Quigley EM (2010) The efficacy of pro- 화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하이라이트 보고서, Seoul.
biot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 김태한, 민태익 (2006) Probiotics의 연구개발동향. 한국과학기
tematic review. Gut 59, 325-332. 술정보연구원 기술동향분석보고서, Seoul.
Mod RR, Conkerto EJ, Ory RL, and Normand FL (1979) Compo- 맹진아 (2010) The current trend of probiotic research and its
sition of water-soluble hemiselluloses in rice bran from four applications. Proceed. Int. Symp. Korean Soc. Lactic Acid
growing areas. Cereal Chem. 56, 356-358. Bacteria,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p. 147-170.
O'Mahony L, McCarthy J, Kelly P, Hurley G, Luo F, Chen K, 민태익 (2011) 바나나를 먹느냐 주사를 맞느냐: 식용백신으로
O'Sullivan GC, Kiely B, Collins JK, Shanahan F, and Quig- 의 여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모니터링분석, Seoul.
ley EM (2005)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in irritable 백병학 (2004) 건강표시와 보건기능식품. In: 食品工業, Yamata
bowel syndrome: Symptom responses and relationship to cy- K (ed), Tokyo, pp. 42-49.
tokine profiles. Gastroenterol. 128, 541-551. 백영진 (1997) 한국형 Bifidobacteria의 분리와 산업화. 유산균
Park CW, Youn MS, Jung YM, Kim HI, Jeong YH, Lee HK, Kim 과 건강. 제10회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 한국야쿠르트
HO, Lee IS, Lee SW, Kang KH, and Park YH (2008) New 대강당, Seoul, pp. 484-497.
functional probiotic Lactobacillus sakei Probio 65 alleviates 삼육대학교 (2008) 변비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신규 혼합유
atopic symptoms in the mouse. J. Med. Food 11, 405-412. 산균 조제. 대한민국특허 10-2008-0073186.
Poo HY, Pyo HM, Lee TY, Yoon SW, Lee JS, Kim CJ, Sung MH, 삼육대학교 (2011) 혼합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관
and Lee SH (2006) Oral administration of human papiloma- 련질환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
virus type 16 E7 displayed on Lactobacillus casei induces 물. 대한민국특허 10-10-2011-0046092.
E7-specific antitumor effects in C57/BL6 mice. Int. J. Cancer 성문희, 홍승표, 이종수, 이일환, 부하령, 김철중 (2004) 유산
119, 1702-1709. 균 디스플레이 플랫폼기술의 산업적 활용, 화학세계 0411,
Saito T (2010) New Japanese yogurts using functional probiotic 34-46.
lactic acid bacteria and future strategy to protect out gut. Pro- 임성미 (2010)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
ceed. Int. Symp. Korean Soc. Lactic Acid Bacteria, Korea 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Korean J. Microbiol. 46, 375-
University, Seoul, Korea, pp. 1-22. 382.
Segawa S, Hayashi A, Nakakita Y, Kaneda H, Watari J, and Yasui 임신혁 (2010) Probiotics as an immune modulator: Mechanism
H (2008) Oral administration of heat-Killed Lactobacillus of ac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Proceed. Int. Symp.
brevis SBC8803 ameliorates the development of dermatitis Korean Soc. Lactic Acid Bacteria, Korea University, Seoul,
and inhibits immunoglobulin E production in atopic dermati- Korea, pp. 119-146.
tis model NC/Nga mice. Biol. Pharm. Bull. 31, 884-889. 장우현 (1979) 정상장내 균총의 역할. 유산균과 건강. 제1회
Shibuya N and Iwasaki T (1985) Structural features of rice bran 국제학술심포지엄 논문집. Hotel Lotte, Seoul, Korea, pp.
hemicellulose. Phytochemistry 24, 285-289. 14-23.
Sinead CC, Gahan CGM, and Hill C (2007) Impact of selected Lac- 전한영 (2012) 우리 김치가 세계화 중심 역량 발휘해 주길. 식
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pecies on Listeria monocy- 품외식경제, Seoul.
togenes infection and the mucosal immune response. FEMS 정희진 (2010) 국내 계절인플루엔자 질병부담 및 계절인플루
Immunol. Med. Microbiol. 50, 380-388. 엔자 백신의 효과 평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고서. neca
Sur D, Manna B, Niyogi SK, Ramamurthy T, Palit A, Nomoto K, 2009-020.
Takahashi T, Shima T, Tsuji H, Kurakawa T, Takeda Y, Nair 光岡 (1980) 腸內菌 の世界. 叢文社, Tokyo.
GB, and Bhattacharya SK (2011) Role of probiotic in pre- 吉森 保 (2011) 포유류의 Autophagy. 生化學 83, 81-92.
venting acute diarrhea in children: A community based, ran- 日野 明寬 (2011) これからの機能性 食品の課題. 食品と開發,
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field trial in an ur- Tokyo, 46, 4-7.
ban slum. Epidemiol. Infect. 139, 919-926. 編輯部 (2011) 肝機能改善素材の最新動向. 食品と開發, Tokyo,
Venturi A, Gionchetti P, Rizzello F, Johansson R, Zucconi E, Bri- 46, 6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