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혈
보이기
객혈 | |
---|---|
다른 이름 | Hemoptysis, Haemoptysis, coughing up of blood |
발음 | |
진료과 | 호흡기내과 |
객혈(喀血, Hemoptysis) 또는 각혈(咯血, 衉血)은 가래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기도나 기관지에서 출혈이 일어나거나 헐었을 때 일어나며, 폐암에 걸렸을때도 일어난다. 이는 폐로 피가 들어가거나, 피가 기관지와 기도를 막거나 넘어가기도 한다. 즉, 주요 위험은 혈액 소실보다는 숨 막힘에서 비롯된다.[1]
치료
[편집]치료는 객혈의 기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차가운 식염수, 또는 에피네프린이나 바소프레신 같은 국소 혈관수축제를 이용하여 지혈을 시도할 수 있다. 트라넥삼산은 객혈의 병원 내 사망률을 개선한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2] 출혈이 발생한 폐를 허탈시키기 위해 선택적 기관지삽관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기관지내 탐폰 삽입술을 시행하기도 한다.[3] 레이저광응고술은 기관지내시경 중 출혈을 멈추기 위해 이용된다. 출혈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기관지동맥의 혈관조영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색전술을 통해 출혈을 멈출 수 있다.[4] 기관지동맥 색전술(BAE)은 현재 일차 치료법으로 여겨진다.[5][6][7][8][9] 수술을 통한 치료는 보통 최후의 방법이며, 폐엽을 절제하는 폐엽절제술이나 폐 전체를 절제하는 폐전절제술이 선택 가능한 방법이다. 한편 기침을 억제하는 약물은 출혈로 인한 질식 위험을 높일 수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Sabatine, [edited by] Marc S. (2014). 《Pocket medicine》 Fif.판. [S.l.]: Aspen Publishers, Inc. ISBN 1451193785.
- ↑ Kinoshita T, Ohbe H, Matsui H, Fushimi K, Ogura H, Yasunaga H (November 2019). “Effect of tranexamic acid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haemoptysis: a nationwide study”. 《Critical Care》 23 (1): 347. doi:10.1186/s13054-019-2620-5. PMC 6836388. PMID 31694697.
- ↑ Valipour A, Kreuzer A, Koller H, Koessler W, Burghuber OC (June 2005). “Bronchoscopy-guided topical hemostatic tamponade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life-threatening hemoptysis”. 《Chest》 127 (6): 2113–8. doi:10.1378/chest.127.6.2113. PMID 15947328.
- ↑ Hanson C, Karlsson CA, Kämpe M, Lamberg K, Lindberg E, Boman LM, Stålenheim G (August 2004). Guidelines for treatment of acute lung diseases. (보고서). Uppsala Academic Hospital.
- ↑ Woo S, Yoon CJ, Chung JW, Kang SG, Jae HJ, Kim HC, 외. (November 2013).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to control hemoptysis: comparison of N-butyl-2-cyanoacrylate and polyvinyl alcohol particles”. 《Radiology》 269 (2): 594–602. doi:10.1148/radiol.13130046. PMID 23801773. S2CID 21597160.
- ↑ Ishikawa H, Hara M, Ryuge M, Takafuji J, Youmoto M, Akira M, 외. (February 2017). “Efficacy and safety of super selective bronchial artery coil embolisation for haemoptysis: a single-centre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Open》 7 (2): e014805. doi:10.1136/bmjopen-2016-014805. PMC 5318547. PMID 28213604.
- ↑ Ryuge M, Hara M, Hiroe T, Omachi N, Minomo S, Kitaguchi K, 외. (February 2019). “Mechanisms of recurrent haemoptysis after super-selective bronchial artery coil embolisation: a single-centre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uropean Radiology》 29 (2): 707–715. doi:10.1007/s00330-018-5637-2. PMC 6302874. PMID 30054792.
- ↑ Panda A, Bhalla AS, Goyal A (2017년 7월 7일).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hemoptysis: a systematic review”.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3 (4): 307–317. doi:10.5152/dir.2017.16454. PMC 5508955. PMID 28703105.
- ↑ Olsen KM, Manouchehr-Pour S, Donnelly EF, Henry TS, Berry MF, Boiselle PM, 외. (May 2020). “ACR Appropriateness Criteria® Hemopt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17 (5S): S148–S159. doi:10.1016/j.jacr.2020.01.043. PMID 32370959. S2CID 218520816.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