넙다리정맥
보이기
넙다리정맥 | |
---|---|
정보 | |
기원 | 오금정맥, 깊은넙다리정맥, 큰두렁정맥 |
도착 구조 | 바깥엉덩정맥 |
동맥 | 넙다리동맥 |
식별자 | |
라틴어 | vena femoralis |
영어 | femoral vein |
MeSH | D005268 |
TA98 | A12.3.11.023 |
TA2 | 5055 |
FMA | 21185 |
인체의 넙다리정맥(femoral vein) 또는 대퇴정맥(大腿靜脈)은 넙다리혈관집 안에서 넙다리동맥과 함께 주행하는 정맥이다. 큰모음근에 뚫려 있는 구멍인 모음근구멍에서 시작하며, 오금정맥이 연속된 정맥이다. 그 후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에서 바깥엉덩정맥이 되며 끝난다. 넙다리정맥의 판막은 보통 첨판이 두 개이며 판막의 수는 사람들 간에, 또는 종종 오른다리와 왼다리 간에도 변이가 있다.[1]
구조
[편집]- 온넙다리정맥(총대퇴정맥, common femoral vein)은 깊은넙다리정맥이 합류하는 지점과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말한다.[2]
- 넙다리빗근밑정맥(봉공근하정맥, subsartorial vein[3][4]) 또는 얕은넙다리정맥(천대퇴정맥, superficial femoral vein[3])은 모음근구멍과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가리키며, 이 부분에서 넙다리정맥은 모음근굴 안을 주행한다. 그러나 'superficial femoral vein'이라는 용어는 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많은 의사들 사이에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5] 특히 넙다리정맥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인해 항응고제나 혈전용해술을 시행하기도 하는 깊은정맥이다. 그런데 'superficial'이라는 단어는 의사들이 넙다리정맥을 얕은정맥으로 착각할 수 있게 만들어 혈전증 환자에게 잘못된 치료를 하게 만들 수 있다.[6][7][8] 따라서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보다 먼쪽의 넙다리정맥은 'subsartorial vein'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한편 여러 큰 정맥들이 넙다리정맥으로 합류한다.
- 큰두렁정맥은 온넙다리정맥으로 합류한다.
- 깊은넙다리정맥이 합류하는 지점은 온넙다리정맥과 넙다리빗근밑정맥을 나누는 경계가 된다.
- 오금정맥이 연속되어 모음근구멍에서 넙다리정맥으로 이름이 바뀐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넙다리정맥은 큰 정맥이기 때문에 폐쇄될 경우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5] 가령 넙다리정맥에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은 폐색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위험성은 온넙다리정맥에 혈전이 위치할 경우 넙다리빗근밑정맥일 때보다 더 크다.[4]
중심정맥관 삽입 시 넙다리정맥을 종종 이용한다.[9][10] 이때 감염의 위험이 있다.[10][11]
정맥 주사를 통해 오락용 약물을 주사할 때 넙다리정맥이 대상이 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다.[12]
추가 이미지
[편집]-
왼쪽 넙다리삼각, 넙다리정맥 위쪽 부분을 그렸다.
-
오른쪽 엉덩관절 주변의 구조
-
넓적다리 중간의 단면
-
넙다리혈관집을 열어 안의 칸 세 개가 보이게 한 그림
-
넙다리정맥
-
넙다리정맥
-
넙다리정맥
-
넙다리정맥
-
넙다리정맥
-
넙다리정맥
각주
[편집]- ↑ Jonas Keiler; Marko Schulze; Host Claassen; Andreas Wree (2018). “Femoral vein diameter, valve and tributary topography in humans - a post mortem analysis”. 《Clinical Anatomy》 31 (7): 1065–1076. doi:10.1002/ca.23224. PMID 30240062.
- ↑ Page 590 in: Reva Arnez Curry, Betty Bates Tempkin (2014). 《Sonography - E-Book: Introduction to 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 9780323292177.
- ↑ 가 나 Gitto, Lorenzo; Bonaccorso, Luigi; Serinelli, Serenella (2019). “Death due to severe blood loss following an accidental lesion to the femoral vessels”. 《Medico-Legal Journal》 87 (4): 196–201. doi:10.1177/0025817219875425. ISSN 0025-8172. PMID 31686595.
- ↑ 가 나 다 Mikael Häggström (2019). “Subsartorial Vessels as Replacement Name for Superficial Femoral Vessels”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y, Radiology and Surgery》: AV01–AV02.
- ↑ 가 나 Bundens WP, Bergan JJ, Halasz NA, Murray J, Drehobl M (October 1995).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A potentially lethal misnomer”. 《JAMA》 274 (16): 1296–8. doi:10.1001/jama.1995.03530160048032. PMID 7563535.
- ↑ Hammond I (Nov 2003).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Radiology》 229 (2): 604; discussion 604–6. doi:10.1148/radiol.2292030418. PMID 14595157.
- ↑ Kitchens CS (2011). “How I treat superficial venous thrombosis.”. 《Blood》 117 (1): 39–44. doi:10.1182/blood-2010-05-286690. PMID 20980677.
- ↑ Thiagarajah R, Venkatanarasimha N, Freeman S (2011). “Use of the term "superficial femoral vein" in ultrasound.”. 《J Clin Ultrasound》 39 (1): 32–34. doi:10.1002/jcu.20747. PMID 20957733.
- ↑ Beno, Suzanne; Nadel, Frances (2007년 1월 1일), Zaoutis, Lisa B.; Chiang, Vincent W., 편집., “Chapter 204 - Central Venous Access”, 《Comprehensive Pediatric Hospital Medicine》 (영어) (Philadelphia: Mosby), 1255–1257쪽, doi:10.1016/b978-032303004-5.50208-8, ISBN 978-0-323-03004-5,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Oram, John; Bodenham, Andrew (2009년 1월 1일), Treleaven, Jennifer; Barrett, A John, 편집., “CHAPTER 25 - Vascular acces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linical Practice》 (영어)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257–266쪽, doi:10.1016/b978-0-443-10147-2.50029-1, ISBN 978-0-443-10147-2,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Kern, Winfried V. (2017년 1월 1일), Cohen, Jonathan; Powderly, William G.; Opal, Steven M., 편집., “48 - Infections Associated with Intravascular Lines and Grafts”, 《Infectious Diseases (Fourth Edition)》 (영어) (Elsevier), 427–438.e3쪽, doi:10.1016/b978-0-7020-6285-8.00048-4, ISBN 978-0-7020-6285-8,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Maliphant J, Scott J (April 2005). “Use of the femoral vein ('groin injecting') by a sample of needle exchange clients in Bristol, UK”. 《Harm Reduct J》 2 (1): 6. doi:10.1186/1477-7517-2-6. PMC 1090606. PMID 15833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