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무궁화호 객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궁화호 객차대한민국열차 등급인 무궁화호에 편성된 객차다. 무궁화호객차는 한국의 철도의 차량 중에서 가장 수가 많다. 1열 4석의 좌석이 배열된 무궁화호 객차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무궁화호라는 등급은 1977년 8월 15일 신설된 우등 등급이 그 시초로, 우등은 1984년에 열차등급 개편으로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이에 따라 우등 등급에 편성되던 객차 또한 무궁화호 객차로 변경되었다.

무궁화호 객차1977년에 최초로 제작되었으며 2003년까지 생산되었다. 특실 전용 객차, PC방 객차, 장애인 객차, 바둑 객차, 유아 객차(놀이방 객차), 구형 카페객차, 스낵카, 놀이방&스낵카, 예식장 객차, 식당차 등등이 각각 따로 존재하였다. 또한 무궁화호 객차의 연식에 따라 제조사도 4개사가 있으며 무궁화호 객차의 제조사엔 각각 탕엥산, 대우산, 한진산, 디자인리미트산이 존재한다. 2017년 현재 표준적인 무궁화호 객차엔 1열 4석으로 배열되어 총 72석인 리클라이닝(등받이가 기울어진) 좌석, 좌석 위 선반 및 독서등, 화장실, 세면대가 설비되어 있으며, 공조기를 통해 냉·난방 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무궁화호 객차의 연식별 종류로는 1980년대 초반까지 제작된 객차무궁화호 탕엥 객차, 원래 직각 새마을호였지만 훗날에 무궁화호로 격하된 직각 무궁화호 객차, 직각 새마을호와 똑같이 도입 당시엔 새마을호였지만 새로운 객차새마을호 장대형 객차새마을호 PP동차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일부열차가 직각 새마을호와 똑같이 무궁화호로 격하된 구특전 무궁화호 객차, 1985년에서 1989년에 생산되어 대수선을 거친 무궁화호 대수선 객차, 1989년에서 1993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2X3배열 좌석개조객차, 1994년에서 1996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일반실 클래식 디자인형 객차, 1996년에서 1997년까지 생산된 무궁화호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생산된 나뭇결 후기형 객차,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생산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무궁화호 새디자인 초기형 객차무궁화호의 현재 최후반연식인 2003년에 제작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무궁화호 새디자인 후기형 객차까지 한국철도의 열차 등급들 중 가장 많은 열차 종류를 가지고 있다.

종류

[편집]

여기서 대분류는 공식적 분류와 거의 같고, 소분류는 공식적인 것이 아니라 통칭에 따른다.

직각형 객차

[편집]

직각형 객차1977년부터 1981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다. 차체 단면은 수직면이다.

일반형 객차

[편집]

일반형 객차1985년부터 1989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다. 차체의 길이가 21,430mm이다. 차체 단면은 곡선형으로, 직각형 객차보다는 둥그나 장대형 객차보다는 덜 둥글다.

  • 대수선 객차: 1985년, 1987년, 1989년에 생산된 객차로, 직각형 객차에 적용되었던 대차에 비하여 승차감이 개선된 NT-21 대차를 적용하였다. 1985년, 1987년 생산분의 좌석은 도입 당시엔 1열 5인승의 2x3 배열로 총 88석이었으나, 이후에 도입된 객차가 2x2 좌석을 채용하자, 기존의 2x3 배열 좌석을 탈거한 뒤 폭이 좁은 2x2 배열의 좌석을 설치하였다. 1989년 생산분은 본래 일반실이 아니라 특실로 반입되었기 때문에 창문이 8개이고 1량당 총 좌석수가 78석이었으나, 위와 같은 좌석 재설치 작업을 거치면서 일반실로 격하되었다. 일부 차량에 한하여 220V 콘센트를 설비하였다. 대수선 객차란 이름은 좌석의 개조를 ‘대수선(大修繕)’이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하였다.

장대형 객차

[편집]

장대형 객차1991년부터 1999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다. 차체의 길이가 23,500mm로, 일반형 객차보다 약간 길어졌다. 출입문 수는 4개이다.

  • 폭탄 객차: 1991년1993년에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다. 1991년 생산분은 천장이 둥글고 돌출형 직접 조명을 채용한 데에 비하여,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천장이 직각 모양이고 비돌출형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좌석은 도입 당시부터 2x2 배열이었으나, 그 형태는 좌석 재설치 이후의 대수선 객차와 같기 때문에, 좌석의 폭이 좁고 그만큼 통로의 폭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일부 차량(11552호)은 좌석을 교체하였다. 220V 콘센트는 설비되지 않았다. 폭탄 객차라는 이름은 좁은 좌석과 낮은 승차감이 ‘폭탄에 승차한 것과 같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 클래식 객차: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차내에는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체의 외부(스커트)를 이전에 생산되었던 객차보다 둥글게 하였으며, 좌석 간의 간격을 넓혀서 도입하여 현재 일반적인 무궁화호 객차의 좌석 간격과 같아졌다. 220V 콘센트는 설치되지 않았다. 벽면에는 무늬 없이 베이지색 색채를 적용하였다. 클래식 객차라는 이름은 ‘벽면 디자인이 통일호와 같아 고전적[Classic]이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12010, 12027, 12061, 12070, 12076, 12088호는 1995년 8월 25일에 사고나서 조기 결차되었다. 12078~12081호는 12010, 12027, 12061, 12070호 차번이 바뀌어서 12078~12081호는 결번되었다. 2006년에 12173호가 결차되었다.
  •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차내에는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220V 콘센트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차내 벽면에는 나뭇결 무늬의 스티커를 부착하여 도입 당시로서는 신선한 디자인을 적용하였으나, 2010년대의 차량 개조 작업 시에 이 무늬는 사라졌다. 일부 차량은 2013년 이후부터 통로막 개조를 진행하였다. 나뭇결 객차라는 이름은 벽면의 무늬 디자인에서 유래하였다. 2006년에 12349호가 결차되었다.
  • 나뭇결 후기형 객차: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성능과 승차감이 비교적 좋은 KT-23 대차를 사용하였다. 무궁화호 객차 최초로 간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내 일부 좌석에 220V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2010년대의 차량 개조 작업 시에 차내 벽면에 부착된 나뭇결 무늬 스티커는 사라졌다. 12421~12436호에 미니카페가 추가되었다.
  • 리미트 객차: 리미트 객차2000년부터 2003년까지 ‘밀레니엄 시대’를 맞아 개선된 디자인으로 디자인리미트로템에서 제작한 무궁화호 객차다. 제작사의 이름이 그대로 객차를 부른 통칭이 되었다. 출입문 수는 2개이고, KT-23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조명 방식으로는 간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내 일부 좌석에 220V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 초기형 객차: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된 객차다. 도입 초기엔 공조장치가 차량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시 디스크에서 일어난 분진이 공조기로 스며들어 석탄을 때는 냄새가 났는데, 에어컨 유닛 흡입구의 방향을 개조하고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때 이후로 생산된 객차엔 방송실(승무원실)만 설치한 객차가 따로 나오지 않고, 장애인 편의시설을 장착한 차량에 방송실(승무원실)을 설치한 구조로만 방송차량이 생산이 되었다. 2011년부터 장애인 객차 일부 칸을 제외하고 통로막을 개조하였다.
  • 후기형 객차: 2003년에 생산된 객차로, 객실 내 LCD 모니터를 설치하였다. 도입 당시부터 리미트 초기형 객차의 공조장치 문제를 해결하였다. 철제 선반과 분홍색 바닥은 초기형과 비교하여 달라진 점이다. 2011년부터 장애인객차 일부칸을 제외하고 통로막을 개조하였다.

특실 객차

[편집]

장애인 객차

[편집]

1994년에 처음 도입된 장애인 객차는 점차 도입량이 증가하면서 거의 모든 3량 이상 편성 정기열차에 혼합 편성되어 운영 중이다. 장애인객차를 편성하여 운행시,각 열차의 3호차에 편성하여 운행하며 2량 이하 편성 정기열차는 2호차에 편성하여 운행한다. 처음 운행 시에는 1호차에 연결되어 운행하였고 특실이 편성되는 열차는 2호차에 연결되었으나 KTX 개통을 앞두고 3호차에 편성하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대부분의 장애인 객차에는 방송실 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나 10101호와 10102호에는 방송실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이들 차량을 연결 시 방송실 장치가 탑재된 타 일반실 객차를 추가로 연결한다. 동차형 무궁화호의 경우에는 1호차가 장애인객차이다.

침대 객차

[편집]
  • 구형 침대 객차: 2단 구조 중 침대 상단측 입구가 사다리식이었고 하단 창문이 큰 편이었다. 통일호 침대차와 달리 플라스틱 칸막이가 있고 커튼으로 각 칸을 가리는 형태였다. 상단, 하단 2단 구조로 좌측, 우측 7인씩 총 28석 구조이고 화장실, 세면대 시설이 있으며, 전용 승무원 시설도 있어 침대 객차 승객을 관리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승객에게 알려준 역할을 하였다.
  • 신형 침대 객차: 현재 비정기적으로 운행된 침대 객차로, 디자인리미트 사에서 제작하였다. 침대 상단측 입구를 계단형으로 제작하여 상단측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상단과 하단의 창문 크기가 같으며 주름식 플라스틱으로 입구를 가릴 수 있고 간단한 잠금장치도 있다. 정규 열차에는 편성되지 않고 금강산 관광 열차 등에 한해서 운행되다가,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 한동안 방학 기간 일부 역에서 정차 상태로 내일로 이용자 숙소로 사용되었다. 2012년 여수엑스포 기간 중에 심야 열차로 전라선에서 임시 운행한 뒤, 2013년에 ‘부산, 울산, 경남 방문의 해’를 맞아 부울경 테마 관광열차로의 운행을 거쳐, 관광 열차 등에 한정 운행되었다.

식당차와 카페 객차

[편집]

무궁화호의 경우 새마을호보다는 급이 낮은 열차로, 식당차를 모든 편성에 연결하지 못하였다. 경부선의 일부 열차호남선, 전라선의 식사 시간대 일부 열차, 중앙선태백선을 경유하던 청량리-동해우등형 전기 동차(EEC)에 연결되었다. 또한 유선형 새마을호무궁화호 특실 격하로 인한 연결도 있었다.

이후 식당차의 인력 관리 효율성 문제로 기존 식당차를 폐지하는 대신 2008년 2월 1일부터 장항선을 시작으로 카페 객차가 투입되었으며, 이후 경부선·호남선·전라선·경전선·경북선 등지로 확대되어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2월 20일부터 중앙선·태백선·영동선 등지에도 카페 객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며, 12월부터 충북선·호남선·경전선·영동선·동해남부선 등지를 운행하는 단거리 무궁화호에 미니카페가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무궁화호의 식당차는 기존의 일반 객차를 개조한 차량이 투입되며, 2001년디자인리미트에서 새로 제작한 식당차는 레일크루즈 해랑으로 개조되었다.

차호별 구분

[편집]

차호에 따른 각 차량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각 객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에 있다.

  • 보: 일반 좌석만 있는 객차. 2018년 5월 현재 운행된 차량의 좌석 수는 72석.
  • 방: 방송실(승무원실) 설비가 있는 객차.
  • 장: 일반 좌석 64석과 장애인 좌석 2석으로 구성된 객차. 승강구가 넓고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됨.
차량 번호 종류 제작연도 제작사 구분 수량 비고
11701~11728 우등 1977 대우 보/방 28 폐차
11729~11730 우등 1977 조선 2 폐차
11882~11902 우등 1979 대우 21 폐차
11876~11881 우등 1979 대우 6 폐차
11731~11846 우등 1980 당엥 116 폐차
11847~11875 우등 1981 당엥 29 폐차
11904~11914
11923~11959
우등 1981 대우 48 폐차
11915~11922 우등 1981 대우 8 폐차
11903 우등 1981 현대 1 폐차
11960~11999 대수선 1985 대우 보/방 36/4 폐차
11501~11506 대수선 1987 대우 보/방 5/1 폐차
11507~11525 대수선 1989 대우 보/방 15/4 폐차
11530~11552 폭탄 1991 대우 23 폐차
11526~11529 폭탄 1991 대우 4 폐차
11553~11560 폭탄 1993 한진 8 폐차
11561~11563 폭탄 1993 한진 3 폐차
12001~12008 클래식 1994 한진 8 폐차
12009~12017

10395~10399

클래식 1994 한진 22 폐차
12018~12075

10400~10403

클래식 1994 현대 62 폐차
10101~10102 클래식 1994 현대 2 폐차
12076~12100
12120~12157
클래식 1995 한진 63 폐차
12101~12119

10404~10424

클래식 1995 한진 36 폐차
12158~12160
12167~12189
클래식 1996 한진 26 폐차
12161~12166 클래식 1996 한진 6
12198~12267 나뭇결 초기 1996 대우 70
12190~12193 나뭇결 초기 1996 대우 4
12268~12318 나뭇결 초기 1997 대우 51
12194~12197 나뭇결 초기 1997 대우 4
10103~10112 나뭇결 초기 1997 대우 10
12360~12427 나뭇결 후기 1997 대우 68
12428~12527 나뭇결 후기 1997~1998 대우 100
12319~12326 나뭇결 후기 1997 대우 8
12327~12359 나뭇결 후기 1998 대우 33
10113~10132 나뭇결 후기 1998 대우 20
12528~12537 나뭇결 후기 1999 한진 10
12538~12582 리미트 초기 2000 리미트 45
12583~12623 리미트 초기 2001 리미트 41
10133~10148 리미트 초기 2001 리미트 16
12624~12651 리미트 초기 2002 리미트 28
10149~10155 리미트 초기 2002 리미트 7
12652~12698

10431~10434

리미트 초기 2002 로템 51
12799~12300 리미트 초기 2002 리미트 2
12699~12780

10425~10430

리미트 후기 2003 리미트 88
10156~10180

10188~10192

리미트 후기 2003 리미트 30
12779~12781

12787~12792

리미트 후기 2003 리미트 9
12797~12798 리미트 후기 2003 리미트 2
객차번호 이름 참고
10212~10254 신형 침대차 2004년 이후로 정기열차엔 편성되지 않고 있으며, 여수엑스포 임시 관광열차에 투입되었다. 2001년 제작.
11265~11266, 11268
11274~11275, 11277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 (폐차) 전 차량이 1998년 제작되었다. 초기에는 종아리 받침대가 없었으나 2014년 이후로 설치되었다. (현재는 폐차)
11226, 11282~11290 새마을호 격하형 대우중공업 특실 객차 (폐차) 11286은 방송실(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이다. 1999년 제작. (현재는 폐차)
12901~12984 장대형 무궁화호
입석 전용객차
주요 간선 무궁화호 장거리 열차에 편성당 1량씩 연결하여 운행 중이다. 12903까지는 11563 이전의 차량을, 12916까지는 12189 이전의 차량을, 12954까지는 12537 이전의 차량을, 12955부터는 12538 이후의 차량을 각각 개조하였으며 2011년 이후부터 통로막 개조되었다.

개조

[편집]

시설 개조 사업

[편집]

무궁화호 객차에 대하여 조명장치 개선, 220볼트 전기콘센트 설치, 화장실 시설물 고급화, 내장재 불연재화 등 객실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개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9년부터 일부 객차로윈에서 개조되었으며, 2013년 10월 이후부터는 주식회사 케이에스엠이 개조 사업을 맡고 있다. 로윈을 통해서 개조된 차량 중 일부는 여전히 220볼트 전기 콘센트를 설치하지 않았다.

2009년부터 로윈에서 개조한 42량의 차량 번호는 아래와 같다.

  • 12252, 12179, 12165, 12167, 12169, 12246, 12183, 12171, 12228, 12247, 12239, 12259, 12262, 12245, 12202, 12250, 12229, 12244, 12266, 12215, 12178, 12221, 12222, 12118, 12243, 12204, 12203, 12185, 12170, 12205, 12184, 12264, 12257, 12208, 12182, 12189, 12174, 12159, 12241, 12235, 12168, 12158, 12991, 10425, 10104, 10105, 10106, 10114, 10120, 10124

타 열차로의 개조

[편집]
해랑, 동해역에서 촬영

무궁화호 객차관광열차로 개조되거나, 기존의 새마을호 객차를 대체하는 차량으로 개조되기도 하였다.

폐차

[편집]

옛 철도안전법에서 정한 객차내구 연한은 25년으로, 내구 연한이 도래한 무궁화호 객차는 폐차되거나, 비상 보선 사무용 차량(침식차)으로 격하되었다. 한때 폐차된 구형 무궁화호 객차를 개발 도상국에 보낸 계획이 세워지기도 하였으나, 차량 노후가 심각하여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상태가 좋은 객차들은 불용품이 되어 일반인에게 매각 처리된다. 량 당 평균 가격은 천만 원에서 이천만 원이며, 지금도 이를 활용한 시설이 전국에 있다.

보존

[편집]
  • 11502호: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역
  • 11885, 11888호: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
  • 11914, 11924, 11932, 11934호: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동양대학교
  • 11966, 11968호: 강원도 춘천시 신남면 구 김유정역
  • 10286, 10287, 10288, 10289, 10290, 10291, 10292, 10293호: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춘선숲길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극히 일부 객차는 NT-21 대차로 교체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2. 일명 원조 새마을호 또는 직각 새마을호라고도 한다.
  3. 1996년무궁화호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4. 이 때 새마을호 특실전용열차도 일반실로 격하되어 운용되었으나 [1] 2010년대 이후 등장한 관광열차가 운임 체계상 새마을호 특실전용열차로 다시 부활하여 운행되기도 한다.
  5. 2007년 10월 1일부터 1111/1117/1112/1118열차에 운행된 새마을호의 객실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의 1호차에 특실 객차를 편성하여 운행하고 있다. 한편 1091/1093/1092/1094열차는 2010년 12월 15일 운행 재개와 동시에 1071/1073/1072/1074열차로 열차번호를 변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