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성우극회
보이기
CJ ENM 성우극회는 투니버스 성우극회 홈페이지 이름이다. 1995년에 설립된 투니버스의 성우들의 극회이다. 투니버스 성우로 각 채널에서의 목소리를 담당하고 있다. 3년간의 전속 기간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게 되었으나, 8기 때부터는 전속 기간이 2년으로 줄었다.
투니버스 성우극회로 시작되었으며, 투니버스가 온미디어로 합병되자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온미디어가 CJ ENM으로 피흡수합병된 이후에도 투니버스 채널에서 주로 활동하기에 현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개요
[편집]1995년 투니버스의 개국과 함께 설립된 성우극회이며 1995년 3월 케이블 방송이 첫 전파되었던 이래 사상 처음으로 설립된 케이블 방송계 성우극회이기도 하다. 당시 케이블의 인지도가 지상파 방송(한국방송, 문화방송, 서울방송(현재의 SBS)[1][2], 교육방송)에 비해서 낮았던 편이라 지상파 방송계 성우극회와는 달리 유명세가 적었던 편이었다. 또한 전문 내용을 위주로 방송하는 케이블 채널의 특성 때문에 지상파 방송 출신 계열 성우들과는 다르게 투니버스의 특성상 애니메이션 참여를 위주로 하였으며 프리랜서가 된 이후에는 지상파 채널에도 투입되어서 다종다양한 매체에 참여하기도 한다. 2002년 대원방송 계열(애니원, 챔프, 애니박스) 개국 이후에는 출신 프리랜서 성우들이 이 곳에서 방송되는 애니메이션에도 출연하고 있으며 2008년 대원방송 성우극회가 설립된 이후에도 대원방송 성우극회 출신 성우들과 출연하고 있다.
특색
[편집]- 1995년 1기부터 1997년 3기까지는 성우 숫자가 상당히 적었기 때문에 공채를 1년마다 실시했으나, 1997년 3기 이후로는 공채가 3년으로 늘었으며, 전속 기간 역시 3년이다. 현재 가장 최근의 공채는 2021년에 실시된 11기이다.
- 투니보이스 성우극회로 입사해 전속으로 활동하던 일부 성우들이 KBS, MBC 성우극회로 다시 입사하는 사례가 2000년대 초반[3]까지 빈번했었는데, 그 당시에는 KBS, MBC 성우극회 출신들이 지상파의 외화, 영화 더빙 참여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 채널이 증가하고 지상파 더빙 수요가 급감하면서 투니보이스 성우극회 소속 성우가 타 극회로 옮겨가는 사례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 다만 이번에 뽑은 8기 성우들 중에는 EBS 성우극회 22기 소속이었던 김한신이 EBS 성우극회를 탈퇴하고 새롭게 들어와서, 한신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임원 구성
[편집]- 극회장 : 정승욱(1대) - 이주창(2대) - 손종환(3대) - 김나연(4대) - 최재호(5대) - 김장(6대) - 김선혜(7대) - 김광국(8대)
- 부회장 : 선호제 - 이소은 - 김현심
- 총무 : 김국진 - 김정훈 - 이호산
- 회계 : 권성혁 - 김신우 - 이새벽
- 감사 : 시영준 - 정유정 - 손수호
연혁 및 명단
[편집]굵은 글씨는 해당 기수의 최연장자.
기수&년도&프리랜서 활동 시기 | 남자 성우 | 여자 성우 | 총인원 |
---|---|---|---|
1기(1995년 12월 1일) | 정승욱, 최재익, 최준영 | 김나연, 양정화, 이계윤[4], 이동은, 이지영, 이현진 | 9명 |
2기(1996년 10월) | 김선희, 류점희[6], 박경혜, |
8명 (현 5명) | |
3기(1997년 10월) | 김장[7], 서윤선, 손종환, |
김효선, 윤여진[8], 이자명, 전혜수, |
9명 (현 7명) |
4기(2000년 4월) | 김광국, 김정은, 박만영[9], |
김선혜, 여민정, |
12명 (현 10명) |
5기(2003년 3월) | 김기흥, 신용우, 현경수, 홍범기 | 이용신, |
9명 (현 7명) |
6기(2006년 4월) | 김영찬, 박성태, 이호산, 최승훈, 최지훈 | 김현심[13], 김보영, 김현지, 안영미, 이소은[14] | 10명 |
7기(2009년 4월) | 강호철, 김국진, 선호제, 소정환 | 김새해, 김영은, 김율[15], 박리나, 정혜원 | 9명 |
8기(2012년 4월) | 권성혁, 김명준, 김정훈, 한신 | 김채하[16], 방연지[17], 여윤미, 임윤선 | 8명 |
9기(2015년 4월) | 김신우[18], 김지율[19], 손수호 | 김가령, 이새벽, 정유정 | 6명 |
10기(2018년 4월) | 강성우, 김다올[20], 이상호, 홍승효 | 강새봄[21], 김도희, 박시윤[22], 유영[23][24] | 8명 |
11기(2021년 4월) | 김동현[25], 김윤기, 故 |
박이서[27], 유혜지, 이달래[28], 채림[29] | 8명 (현 7명) |
12기 |
이적
[편집]- 박선영, 김기철 - 1996년 10월 공채 2기 출신, 1997년 MBC 14기로 재입사.
- 채의진, 표영재 - 1997년 공채 3기 출신, 1999년 11월 MBC 15기로 재입사.
- 방성준 - 2000년 4월 공채 4기 출신, 2002년 MBC 16기로 재입사.
- 전숙경 - 2000년 4월 공채 4기 출신, 2002년 KBS 29기로 재입사.
퇴직
[편집]- 이희수 - 2003년 3월 공채 5기 출신, 2005년 퇴직.
관련 참고
[편집]각주
[편집]- ↑ 다만 SBS는 1990년 창사 및 개국이래 현재까지 자사 성우 모집을 하였던 적이 없다.
- ↑ 이 당시 SBS는 지방 민영방송 체제 이전의 시절이라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당시에는 인천직할시), 경기도 전역과 강원도 춘천시 및 원주시 일부 지역에서만 시청권으로 잡혔던 시절이었다.
- ↑ 가장 최근의 사례는 2000년 투니보이스 4기로 입사한 전속성우 2명이 각각 2002년 KBS 29기와 MBC 16기로 재입사한 경우이다.
- ↑ 본명은 이명선. 2012년 6월 30일부터 이계윤이란 예명을 쓰고 있다.
- ↑ 2021년 2월 23일 별세
- ↑ 1997년부터
- ↑ 1999년 11월부터
- ↑ 1999년 11월부터
- ↑ 2000년부터
- ↑ 본명인 정명준으로 활동하다가 2018년 이후 해당 예명으로 사용 중.
- ↑ 본명인 한원자로 활동하다가 2005년 이후 한채언으로 개명함.
- ↑ 모종의 사유로 2005년 성우협회 탈퇴.
- ↑ 원래는 본명인 김현심으로 활동하다가 2014년 후반기부터 김묘경으로 개명했다. 활동명도 김묘경으로 바꾸었다가 2016년부터는 다시 활동명도 김현심으로 바꾸었다.
- ↑ 본명은 이소영이었으나 동명의 성우가 존재해서 활동명을 따로 쓴다.
- ↑ 본명은 김은지이나 활동명을 따로 쓴다.
- ↑ 본명은 김나영이지만 공채 선발 후 활동명을 등록, 후에 개명을 해서 이쪽이 본명이 됐다.
- ↑ 본명은 방현지이나. 선배 김현지와 헷갈릴 것을 우려해 활동명을 쓰는 것으로 추정됨.
- ↑ 본명은 김현구지만 활동명을 쓴다.
- ↑ 본명은 김성진이였으나 입사 시점에 개명했다.
- ↑ 본명은 김상현이었으나 KBS 성우극회의 김상현과 구분하기 위해 김다올로 변경.
- ↑ 본명은 강예솔. 공채 선발 후 활동명을 등록.
- ↑ 본명은 박지윤이었으나 KBS 성우극회의 박지윤과 구분하기 위해 박시윤으로 변경.
- ↑ 본명은 유아영이지만 KBS 성우극회의 임아영, MBC 성우극회의 김아영, 대원방송 성우극회의 윤아영과 구분하기 위해 유영으로 변경.
- ↑ 1997년생으로 전체 극회원 중 막내이자 2018년 현재 한혜원 다음으로 최연소 성우.
- ↑ MBC 성우극회 김동현과 이름이 동일하지만 본명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강수진 성우와 비슷한 케이스.
- ↑ 본명 이진희, 2000년생이라고 한다. 현 남자성우 최연소. 2018년에 KBS 43기로 입사한 혜원과 동갑이다. 최연소 기록(최현식,1996년생)을 석달만에 갈아치웠다. 2024년 3월 14일 별세
- ↑ 본명은 박선영으로 MBC 성우극회에 동명이인이 있다. (공교롭게도 MBC 이적 이전 온미디어 성우로 활동했었다.).
- ↑ 본명은 이현정
- ↑ 본명 김채림에서 성을 뺀 이름으로 활동한다. 아마 대원 11기 김채린과 이름이 비슷해서 예명으로 활동 중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