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 카빈
M1 카빈 | |
---|---|
종류 | 소총 |
국가 | 미국 |
역사 | |
사용년도 | 1942년 ~ 1960년대 |
사용국가 | 미국 대한민국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개발년도 | 1938년 ~ 1941년 |
생산년도 | 1941년 9월 ~ 1945년 8월 |
생산개수 | 625만정 |
파생형 | M1A1, M1A3, M2, M3 |
제원 | |
중량 | 2.36 kg |
길이 | 904 mm |
총열길이 | 458 mm |
탄약 | .30 Carbine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
구경 | 7.62 mm |
장전방식 | 15발, 30발 탄창 |
연사속도 | 분당 850~900발 (M2/M3) |
총구속도 | 600m/s |
M1 카빈(M1 Carbine, 공식명칭 the United States Carbine, Caliber .30, M1)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동안 미군의 표준 화기였던 경량 반자동 카빈이다. 미군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군대들과 준 군사조직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M2 카빈은 연발 사격 기능이 있는 변형이다. M3 카빈은 능동 적외선 스코프를 장착한 M2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까지 예비군에서 사용되었다가 도태장비로 분류되고 사실상 퇴역했다.
설명
[편집]M1 카빈은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선전투부대외 병사들의 개인 방어용 화기를 보급시킬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무전병, 운전병, 보급계통과 같은 지원 임무를 맡은 인원들과 박격포병이나 공수부대원, 장교, 의무병처럼 전투부대이나 보병용 소총 혹은 기관단총/권총으로만 무장시키기에는 부족한 이들을 위한 작고 가벼운 자동 화기가 요구됨에 따라 작고, 가볍고, 휴대가 쉬우면서 소총같이 쓸 수 있는 자동화기에 대한설계가 진행된다. 이는 오늘날의 개인 방어용 화기(PDW)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요구한다.
- 주로 45~275 미터 (50~300 야드)에서 사용되면서 권총보다 정확하고 위력적일 것.
- 보병의 신형자동소총 (개런드) 보다 다루기 쉬우면서 가벼울 것.
- 톰슨 기관단총보다 다루기 쉬우면서 가벼울 것.
- 무게는 2.3 킬로그램 (5파운드) 정도일 것.
-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반자동-완전자동이 선택되면 좋음.
미 육군의 요구 사항들은 윈체스터 제조사가 받게되며 윈체스터에서 탄약 개발이 진행된다.
1938년, 27구경보다는 크면서 유효사거리는 275 미터(300 야드) 정도고 총열을 완전히 수평으로 놓고 쐈을 때 275 미터(300야드)에서 낙차(bullet drop)는 45cm(18인치) 이내인 자동화기용 탄약이란 조건에 맞춰서 윈체스터사의 수석 기술자이자 공장 책임자였던 에드윈 퍼그슬리(Edwin Pugsley)는 무게 6.5 그램(100그레인) 정도인 구경 7.62 mm(30구경) 총알을 총구속도 610 m/sec(2,000 ft/sec) 정도로 발사하는 탄약을 개발한다. 탄약 개발 당시 1906년에 만들어봤던 구경 8.12 mm인 32 윈체스터 자동장전탄약 (32 SL이라불리던)을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
이렇게 나온 30 자동 장전 탄약은 미 육군의 새로운 자동화기용 탄약으로 채택된다.
이 30 자동장전 탄약은 기존의 소총탄을 줄이기 보다는 권총탄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탄약의 형상은 일반적인 권총탄을 확대시킨 형태이고 기존에 위력이 약한 권총탄 (M1A1톰슨, M3/M3A1)을 대체하는 용도였다.
한편, 금주법 시대인 1921년, 밀주제조 및 유통업자로 암약중 밀조 현장을 급습한 보안관 한명을 쏘아죽였던 데이비드 "카빈" 윌리엄스(David "Carbine" Williams)란 1급 살인범이 교수형에 처해질 뻔 하나 혐의가 희박하다는 이유로 8년동안 감옥에서 지내던 중 종이와 연필을 구해 밤을 새서 총기를 설계했고 풀려나와 그의 설계를 윈체스터에 제출한다.
곧 그는 윈체스터에 영입됐고 죠나단 브라우닝의 설계에 자신이 개발한 단복좌 가스 작동식 구조(short-stroke gas operation)을 적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나온 자동소총 M2를 1940년 미 해병대의 자동소총 선정사업에 뛰어들지만, 이 M2는 해병대가 요구했던 모래투성이의 환경에서 잘 작동하지 못했고 해병대는 이것을 거부한다.
이 일 이후, M2는 다시 설계되며 틸팅 볼트 대신에 개런드 소총에서 사용된 것과 비슷한 회전 노리쇠(rotating bolt)방식으로 변경된다.
포기할 수 없었던 윈체스터는 크기를 더 작게하고 이에 따라 에드윈 퍼그슬리(Edwin Pugsley)의 지휘하에 윌리엄 로머(William Roemer)와 프레드 흄스턴(Fred Humeston) 외 3명의 기술자들이 13일동안 M2의 설계를 그들이 이미 만든 30 SL 탄에 맞춘다.
이 설계는 육군을 만족시켰고 육군은 1941년 8월까지 테스트 하게 되며 윈체스터에서도 자신들의 설계를 일부 변경하는데,이 때 반자동-완전자동 선택이 제거되고 반자동만 가능하게 된다. 데이비드 윌리엄스도 이때 다시 참여했고 이렇게 다듬어진 설계는 1941년 9월에 미 육군에 의해 높은 점수를 받게되어 1941년 10월 21일 미 육군에 의해 M1 카빈이란 제식명을 받게 된다.
파생형
[편집]- M1A1 카빈 : 공수부대원을 위한 변형으로 기존의 개머리판을 접철식으로 바꾸면서 손잡이도 권총형으로 바뀌었다. 총 15만 정이 생산되었다.
- M1A3 카빈 : 판토그래프 개머리판을 적용한 변형이다.
- M2 카빈 : 1945년에 전자동으로 사격할 수 있도록 개량된 변형으로, 30발들이 탄창을 사용하였다. 총 60만 정이 생산되었다.
- M3 카빈 : M2에 암시 조준경을 장착한 변형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특수한 용도로 쓰였으며 총 3천 정이 생산되었다.
대중 문화
[편집]영화 및 드라마
[편집]마이크 호바스 중사가 M1 카빈을 사용한다.
이진태와 한국군일부가 M1 카빈을 사용한다.
한국군 일부가 사용
실미도 기간병과 한국군에서 이 총을 사용한다.
시민군이 사용한다.
한국군이 M1을 사용
같이 보기
[편집]- 대한민국 예비군 - 2014년까지 사용하였다. 현재는 폐기되거나 미국 총기 시장에 팔리는 등의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