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 설계기준 2010 - p1 PDF
도로교 설계기준 2010 - p1 PDF
도로교 설계기준 2010 - p1 PDF
이 도로교설계기준 발간시점에서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에 대하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머 리 말
2010년 9월
국토해양부 도로정책관 박 기 풍
목차
제1장 총 칙
1.1 적용범위 ······················································································································· 1-1
1.2 용어의 정의 ················································································································· 1-1
1.3 교량의 등급 ················································································································· 1-2
1.4 조 사 ····························································································································· 1-2
1.5 계 획 ····························································································································· 1-3
1.5.1 가설위치와 형식의 선정 ················································································· 1-3
1.5.2 구조규격 ············································································································ 1-3
1.5.3 교차조건 ············································································································ 1-3
1.6 설계의 기본원칙 ········································································································· 1-4
1.7 품질보증 요건 ············································································································· 1-4
1.8 설계도에 기재할 사항 ································································································ 1-4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 하 중 ····························································································································· 2-1
2.1.1 하중의 종류 ······································································································ 2-1
2.1.2 고정하중 ············································································································ 2-2
2.1.3 활하중 ················································································································ 2-2
2.1.4 충격 ···················································································································· 2-5
2.1.5 초과하중에 대한 검토 ····················································································· 2-8
2.1.6 프리스트레스힘 ································································································· 2-8
2.1.7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 ························································ 2-9
-i-
2.1.8 토압 ·················································································································· 2-10
2.1.9 수압 ·················································································································· 2-10
2.1.10 부력 혹은 양압력 ························································································· 2-11
2.1.11 풍하중 ············································································································ 2-12
2.1.12 온도변화 ········································································································ 2-18
2.1.13 지진의 영향 ·································································································· 2-19
2.1.14 설하중 ············································································································ 2-20
2.1.15 지반변동 및 지점이동의 영향 ···································································· 2-20
2.1.16 파압 ················································································································ 2-20
2.1.17 원심하중 및 제동하중 ················································································· 2-21
2.1.18 가설시 하중 ·································································································· 2-21
2.1.19 충돌하중 ········································································································ 2-22
2.2 설계방법 및 안전율 ·································································································· 2-23
2.2.1 일 반 ················································································································ 2-23
2.2.2 허용응력설계법 ······························································································· 2-23
2.2.3 강도설계법 ······································································································ 2-25
2.3 사용재료 ····················································································································· 2-30
2.3.1 강 재 ················································································································ 2-30
2.3.2 콘크리트 ·········································································································· 2-31
2.3.3 설계계산에 사용하는 물리상수 ···································································· 2-32
2.4 받침, 신축이음장치 및 방호울타리 ········································································ 2-35
2.4.1 받침 ·················································································································· 2-35
2.4.2 신축이음장치 ·································································································· 2-38
2.4.3 방호울타리 ······································································································ 2-38
2.4.4 연 석 ················································································································ 2-40
2.4.5 배 수 ················································································································ 2-41
2.4.6 교면포장 ·········································································································· 2-41
2.4.7 부속시설 ·········································································································· 2-41
2.4.8 부착시설물 ······································································································ 2-41
- ii -
2.5 기 록 ··························································································································· 2-42
2.5.1 교량대장 ·········································································································· 2-42
2.5.2 교명판 ·············································································································· 2-42
제3장 강 교
3.1 일 반 사 항 ··············································································································· 3-1
3.1.1 적용범위 ········································································································· 3-1
3.1.2 용어의 정의 ··································································································· 3-1
3.1.3 기호 ················································································································ 3-2
3.1.4 참고기준 ········································································································· 3-6
3.2 재료 및 설계일반 ······································································································ 3-7
3.2.1 설계일반 ········································································································· 3-7
3.2.2 설계계산 ········································································································· 3-7
3.2.3 처짐의 허용값 ······························································································· 3-7
3.2.4 설계의 전제조건 ··························································································· 3-8
3.2.5 강재의 선정 ··································································································· 3-9
3.3 허 용 응 력 ············································································································· 3-10
3.3.1 일 반 ············································································································ 3-10
3.3.2 강재의 허용응력 ························································································· 3-10
3.3.3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 3-22
3.3.4 반복하중 및 인성에 대한 고려 ································································ 3-22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 3-33
3.4.1 총칙 ·············································································································· 3-33
3.4.2 압축응력을 받는 판 및 보강판 ································································ 3-34
3.4.3 축방향력 및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 ························································· 3-46
3.4.4 구멍 뚫린 판 ······························································································· 3-47
3.4.5 ㄱ형 및 T형 단면을 갖는 압축부재 ······················································· 3-48
3.4.6 인장 ㄱ형강의 유효단면적 ········································································ 3-50
- iii -
3.4.7 수직브레이싱과 수평브레이싱 ·································································· 3-50
3.5 연결 ··························································································································· 3-52
3.5.1 부재의 연결 ································································································· 3-52
3.5.2 용접 이음 ····································································································· 3-53
3.5.3 고장력볼트 이음 ························································································· 3-58
3.5.4 핀이음 ·········································································································· 3-67
3.6 바닥판 ······················································································································· 3-68
3.6.1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 3-68
3.6.2 강바닥판 ······································································································· 3-76
3.6.3 경험적 설계법 ····························································································· 3-81
3.6.4 프리캐스트 바닥판 ····················································································· 3-83
3.7 바닥틀 ······················································································································· 3-86
3.7.1 바닥틀의 지간 ····························································································· 3-86
3.7.2 세로보의 자동차 윤하중 분포 ·································································· 3-87
3.7.3 연속세로보의 휨모멘트 및 전단력 ·························································· 3-88
3.7.4 가로보의 자동차 윤하중 분포 ·································································· 3-89
3.7.5 바닥틀의 연결 ····························································································· 3-89
3.7.6 수직브레이싱 ······························································································· 3-90
3.8 플레이트 거더 ········································································································· 3-91
3.8.1 적용범위 ······································································································· 3-91
3.8.2 설계일반 ······································································································· 3-91
3.8.3 플랜지 ·········································································································· 3-93
3.8.4 복부판 ·········································································································· 3-98
3.8.5 수직보강재 ································································································· 3-102
3.8.6 수평보강재 ································································································· 3-105
3.8.7 하중집중점의 보강재 ················································································ 3-106
3.8.8 수직브레이싱과 수평브레이싱 ································································ 3-107
3.8.9 중간다이아프램의 간격 ············································································ 3-108
3.8.10 기타 구조세목 ························································································· 3-110
3.9 합성거더 ················································································································· 3-111
- iv -
3.9.1 일반 ············································································································ 3-111
3.9.2 설계일반 ····································································································· 3-112
3.9.3 허용응력 ····································································································· 3-114
3.9.4 바닥판 ········································································································· 3-117
3.9.5 전단연결재 ································································································· 3-117
3.9.6 강재 주거더의 플랜지 두께 ···································································· 3-124
3.9.7 솟음 ············································································································ 3-124
3.10 트러스 ····················································································································· 3-125
3.10.1 적용범위 ··································································································· 3-125
3.10.2 부재 ·········································································································· 3-125
3.10.3 절점 ·········································································································· 3-128
3.10.4 다이아프램 ······························································································· 3-130
3.10.5 브레이싱 ··································································································· 3-130
3.10.6 트러스의 2차응력 ··················································································· 3-132
3.10.7 포니트러스 ······························································································· 3-132
3.10.8 바닥판을 직접 지지하는 현재 ······························································ 3-132
3.10.9 솟음 ·········································································································· 3-133
3.10.10 전체좌굴에 대한 검사 ·········································································· 3-133
3.11 아 치 ······················································································································· 3-134
3.11.1 적용범위 ··································································································· 3-134
3.11.2 일 반 ········································································································· 3-134
3.11.3 변위의 영향 ····························································································· 3-134
3.11.4 아치의 면외좌굴 ····················································································· 3-136
3.11.5 아치부재의 설계 ····················································································· 3-138
3.11.6 극한강도의 검사 ····················································································· 3-139
3.11.7 행어 또는 지주 ······················································································· 3-139
3.11.8 처 짐 ········································································································· 3-139
3.12 케이블 ···················································································································· 3-140
3.12.1 적용범위 ··································································································· 3-140
-v-
3.12.2 주케이블 및 행어의 종류 ······································································ 3-140
3.12.3 강선 및 강봉 ··························································································· 3-140
3.12.4 탄성계수 ··································································································· 3-141
3.12.5 허용응력 ··································································································· 3-141
3.12.6 피로설계 ··································································································· 3-142
3.12.7 케이블의 진동 ························································································· 3-143
3.12.8 온도하중 ··································································································· 3-143
3.12.9 현수교용 케이블의 구조세목 ································································ 3-143
3.12.10 사장교용 케이블의 구조세목 ······························································ 3-144
3.13 강관구조 ················································································································ 3-145
3.13.1 적용범위 ··································································································· 3-145
3.13.2 강재 ·········································································································· 3-145
3.13.3 허용응력 ··································································································· 3-146
3.13.4 보강재 ······································································································· 3-151
3.13.5 강관의 연결 ····························································································· 3-152
3.13.6 구조세목 ··································································································· 3-152
3.14 라멘구조 ················································································································ 3-158
3.14.1 적용범위 ··································································································· 3-158
3.14.2 구조해석의 기본사항 ·············································································· 3-158
3.14.3 설계일반 ··································································································· 3-158
3.14.4 구조세목 ··································································································· 3-169
3.14.5 라멘의 전체좌굴 ····················································································· 3-169
3.14.6 합성응력의 검사 ····················································································· 3-171
3.14.7 라멘교의 처짐 ························································································· 3-171
3.14.8 라멘교각의 처짐 ····················································································· 3-172
3.14.9 π형 라멘교의 수평변위의 영향 ···························································· 3-173
3.14.10 방 식 ········································································································· 3-173
- vi -
제 4 장 콘크리트교
4.1 일반사항 ····················································································································· 4-1
4.1.1 적용범위 ········································································································· 4-1
4.1.2 용어의 정의 ··································································································· 4-1
4.1.3 기호 ················································································································ 4-9
4.1.4 참고 기준 ····································································································· 4-19
4.1.5 설계일반 ······································································································· 4-20
4.1.6 설계계산의 정밀도 ····················································································· 4-20
4.1.7 설계의 전제가 되는 시공조건 ·································································· 4-20
4.1.8 사용재료 ······································································································· 4-20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 4-21
4.2.1 일반사항 ······································································································· 4-21
4.2.2 설계계산 ······································································································· 4-21
4.2.3 재료의 설계기준값 ····················································································· 4-26
4.3 구조상세 ··················································································································· 4-33
4.3.1 일반사항 ······································································································· 4-33
4.3.2 형상 및 부재치수 ······················································································· 4-33
4.3.3 철근의 피복두께 ························································································· 4-33
4.3.4 철근의 표준갈고리와 구부리기 ································································ 4-35
4.3.5 철근의 간격 및 배치 ·················································································· 4-38
4.3.6 휨부재의 철근 ····························································································· 4-41
4.3.7 압축부재의 철근 ························································································· 4-43
4.3.8 기둥철근의 특별 배근상세 ········································································ 4-45
4.3.9 건조수축 및 온도 철근 ·············································································· 4-46
4.3.10 휨철근의 정착 ··························································································· 4-46
4.3.11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 4-48
4.3.12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4-51
4.3.13 다발철근의 정착길이 ················································································ 4-52
4.3.14 인장을 받는 표준갈고리의 정착 ···························································· 4-52
4.3.15 인장 용접철망의 정착 ·············································································· 4-54
- vii -
4.3.16 기계적 정착 ······························································································· 4-55
4.3.17 복부철근의 정착 ······················································································· 4-56
4.3.18 철근의 이음 ······························································································· 4-57
4.3.19 인장 용접철망의 이음 ·············································································· 4-60
4.4 강도설계법 ··············································································································· 4-63
4.4.1 일반사항 ······································································································· 4-63
4.4.2 강 도 ············································································································ 4-63
4.4.3 설계가정 ······································································································· 4-64
4.4.4 휨부재 ·········································································································· 4-65
4.4.5 압축부재 ······································································································· 4-66
4.4.6 전단에 대한 설계 ······················································································· 4-76
4.4.7 비틀림에 대한 설계 ··················································································· 4-89
4.4.8 지압강도 ······································································································· 4-96
4.4.9 사용성 설계 ································································································· 4-96
4.5 허용응력설계법 ······································································································ 4-103
4.5.1 일반사항 ····································································································· 4-103
4.5.2 허용응력 ····································································································· 4-103
4.5.3 휨부재 ········································································································· 4-105
4.5.4 압축부재 ····································································································· 4-106
4.5.5 전단 및 비틀림 설계 ················································································ 4-106
4.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4-112
4.6.1 일반사항 ····································································································· 4-112
4.6.2 해석 ············································································································ 4-113
4.6.3 설계 ············································································································ 4-116
4.6.4 구조상세 ····································································································· 4-147
4.7 바닥판 ····················································································································· 4-151
4.7.1 일반사항 ····································································································· 4-151
4.7.2 설계일반 ····································································································· 4-151
4.7.3 바닥판의 지간 ··························································································· 4-151
4.7.4 바닥판의 최소두께 ··················································································· 4-153
4.7.5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 및 응력의 검사 ··············································· 4-156
- viii -
4.7.6 구조상세 ····································································································· 4-162
4.7.7 경험적 설계법 ··························································································· 4-164
4.7.8 프리캐스트 바닥판 ··················································································· 4-166
4.8 슬래브교 ················································································································· 4-168
4.8.1 일반사항 ····································································································· 4-168
4.8.2 설계 일반 ··································································································· 4-168
4.8.3 구조해석 ····································································································· 4-169
4.8.4 구조상세 ····································································································· 4-171
4.9 T형거더교 ·············································································································· 4-178
4.9.1 일반사항 ····································································································· 4-178
4.9.2 설계 일반 ··································································································· 4-178
4.9.3 구조해석 ····································································································· 4-178
4.9.4 구조 상세 ··································································································· 4-179
4.10 박스거더교 ············································································································ 4-181
4.10.1 일반 사항 ································································································· 4-181
4.10.2 설계 일반 ································································································· 4-181
4.10.3 구조 해석 ································································································· 4-183
4.10.4 횡방향 설계 ····························································································· 4-183
4.10.5 받침점가로보 및 격벽의 설계 ······························································ 4-184
4.10.6 구조상세 ··································································································· 4-184
4.11 연속거더교 ············································································································ 4-187
4.11.1 적용범위 ··································································································· 4-187
4.11.2 설계일반 ··································································································· 4-187
4.11.3 구조해석 ··································································································· 4-188
4.11.4 고정받침부 ······························································································· 4-190
4.11.5 중간받침점부 ··························································································· 4-191
4.11.6 프리캐스트 거더를 사용한 연속형교의 중간받침점부 ······················ 4-191
4.12 라멘교 ···················································································································· 4-194
4.12.1 적용범위 ··································································································· 4-194
4.12.2 설계일반 ··································································································· 4-194
4.12.3 구조해석 ··································································································· 4-195
- ix -
4.12.4 라멘부재 절점부 ····················································································· 4-197
4.12.5 구조상세 ··································································································· 4-199
4.13 아 치 교 ················································································································ 4-204
4.13.1 적용범위 ··································································································· 4-204
4.13.2 설계일반 ··································································································· 4-205
4.13.3 구조해석 ··································································································· 4-206
4.13.4 좌굴에 대한 검사 ··················································································· 4-208
4.13.5 구조상세 ··································································································· 4-209
4.14 합성거더교 ············································································································ 4-211
4.14.1 일반사항 ··································································································· 4-211
4.14.2 PSC 합성거더교 ····················································································· 4-211
4.15 기타의 교량 및 부재의 설계 ·············································································· 4-214
4.15.1 일반 사항 ································································································· 4-214
4.15.2 곡선거더교 ······························································································· 4-214
4.15.3 엇갈림부 ··································································································· 4-214
4.15.4 프리캐스트 블록 이음부의 설계 ·························································· 4-218
4.15.5 깊은 보의 설계 ······················································································· 4-220
4.15.6 세그멘탈 교량의 설계 ············································································ 4-221
제 5 장 하부구조
5.1 일반사항 ····················································································································· 5-1
5.1.1 적용범위 ········································································································· 5-1
5.1.2 용어의 정의 ··································································································· 5-1
5.1.3 기호 ················································································································ 5-5
5.1.4 기본 방침 ······································································································· 5-6
5.1.5 설계도에 기재하여야 할 사항 ···································································· 5-6
5.1.6 설계계산의 정밀도 ······················································································· 5-6
5.1.7 설계의 전제가 되는 시공의 조건 ······························································ 5-6
-x-
5.2 조사 ····························································································································· 5-7
5.2.1 조사일반 ········································································································· 5-7
5.2.2 지반에 대한 조사 ························································································· 5-7
5.2.3 하천바닥 및 하천 이용 현황 조사 ···························································· 5-8
5.2.4 시공조건에 관련된 조사 ·············································································· 5-8
5.2.5 특수한 조건에서의 조사 ·············································································· 5-9
5.3 설계일반 ··················································································································· 5-10
5.3.1 일반사항 ······································································································· 5-10
5.3.2 휨모멘트 및 축방향력이 작용하는 콘크리트부재의 설계 ···················· 5-10
5.3.3 전단력이 작용하는 철근콘크리트부재의 설계 ······································· 5-11
5.3.4 강재 부재의 설계 ······················································································· 5-12
5.3.5 철근 상세 ····································································································· 5-12
5.4 교대 및 교각의 설계 ······························································································ 5-13
5.4.1 일반사항 ······································································································· 5-13
5.4.2 받침 연단거리 ····························································································· 5-14
5.4.3 교대의 설계 ································································································· 5-14
5.4.4 교각의 설계 ································································································· 5-15
5.4.5 확대기초의 설계 ························································································· 5-18
5.5 기초의 설계에 관한 일반사항 ··············································································· 5-20
5.5.1 일반사항 ······································································································· 5-20
5.5.2 기초형식의 선정 ························································································· 5-20
5.5.3 설계계산의 기본 ························································································· 5-20
5.5.4 기초 지지층의 선정과 근입깊이 ······························································ 5-20
5.5.5 설계상의 지반면 ························································································· 5-21
5.5.6 설계를 위한 지반정수 ················································································ 5-21
5.5.7 지반반력계수와 지반탄성계수 ·································································· 5-21
5.5.8 지반반력 및 변위량 ··················································································· 5-21
5.5.9 토압 ·············································································································· 5-22
5.5.10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지반에서의 깊은기초 ········································· 5-22
5.5.11 편심하중을 받는 기초 ·············································································· 5-23
5.5.12 측방유동에 대한 고려 ·············································································· 5-23
- xi -
5.5.13 세굴 방지 ··································································································· 5-23
5.6 직접기초의 설계 ······································································································ 5-24
5.6.1 적용범위 ······································································································· 5-24
5.6.2 설계의 기본 ································································································· 5-24
5.6.3 하중분 담 ······································································································· 5-24
5.6.4 허용지지력 ··································································································· 5-24
5.6.5 지반반력계수와 지반탄성계수 ·································································· 5-25
5.6.6 지반반력 및 변위량 ··················································································· 5-25
5.6.7 기초 본체의 설계 ······················································································· 5-26
저
5.6.8 기초 면의 처리 및 되 메움 재료 ···························································· 5-26
슨
5.7 케이 기초의 설계 ·································································································· 5-27
5.7.1 적용범위 ······································································································· 5-27
5.7.2 설계의 기본 ································································································· 5-27
5.7.3 하중분 담 ······································································································· 5-27
5.7.4 설계일반 ······································································································· 5-28
5.7.5 지반의 허용지지력 ····················································································· 5-28
5.7.6 지반반력계수와 지반탄성계수 ·································································· 5-29
5.7.7 지반반력 및 변위량 ··················································································· 5-29
5.7.8 케이 슨 본체의 설계 ··················································································· 5-29
5.7.9 구조세목 ······································································································· 5-31
5.8 말뚝기초의 설계 ······································································································ 5-32
5.8.1 적용범위 ······································································································· 5-32
5.8.2 설계의 기본 ································································································· 5-32
5.8.3 하중분 담 ······································································································· 5-32
5.8.4 말뚝의 배열 ································································································· 5-32
5.8.5 말뚝의 허용연직지지력 ·············································································· 5-33
5.8.6 말뚝의 허용수평지지력 ·············································································· 5-34
5.8.7 수평방향지반반력계수 ················································································ 5-35
5.8.8 말뚝의 스프링정수 ····················································································· 5-35
5.8.9 말뚝반력과 확대기초변위량의 계산법 ····················································· 5-35
5.8.10 특수한 조건에 있는 말뚝기초의 설계 ··················································· 5-36
- xii -
5.8.11 말뚝본체의 설계 ······················································································· 5-36
5.8.12 구조세목 ····································································································· 5-37
말뚝재하시험 ····························································································· 5-40
5.8.13
5.9 강관널말뚝기초의 설계 ·························································································· 5-41
5.9.1 적용범위 ······································································································· 5-41
5.9.2 설계의 기본 ································································································· 5-41
5.9.3 하중분 담 ······································································································· 5-41
5.9.4 강관널말뚝의 허용연직지지력 ·································································· 5-41
5.9.5 지반반력계수 ······························································································· 5-42
5.9.6 기초 본체의 설계 ······················································································· 5-42
5.9.7 상부슬래브의 설계 ····················································································· 5-42
제 6 장 내진설계
6.1 일반사항 ····················································································································· 6-1
6.1.1 적용범위 ········································································································· 6-1
6.1.2 용어의 정의 ··································································································· 6-1
6.1.3 기호 ················································································································ 6-3
6.2 내진설계의 기본방침 ································································································ 6-7
6.2.1 목적 ················································································································ 6-7
6.2.2 내진설계기준의 기본개념 ············································································ 6-7
6.2.3 품질보증 요건 ······························································································· 6-7
6.2.4 지진응 답 계측 ······························································································· 6-8
6.3 설계 일반사항 ··········································································································· 6-9
운
6.3.1 설계지반 동 ································································································· 6-9
6.3.2 내진등급과 설계지진수준 ·········································································· 6-10
6.3.3 지반의 분류 ································································································· 6-11
답
6.3.4 응 수정계수 ······························································································· 6-12
6.4 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 ···················································································· 6-14
- xiii -
6.4.1 일반사항 ······································································································· 6-14
6.4.2 해석방법 ······································································································· 6-14
6.4.3 탄성력 및 탄성변위 ··················································································· 6-14
6.4.4 직교 지진력의 조합 ··················································································· 6-14
6.4.5 단경간교의 설계규정 ················································································· 6-15
6.4.6 지진구 역 II에 위치하는 내진II등급교의 설계지진력 ···························· 6-15
6.4.7 설계지진력 ··································································································· 6-15
6.4.8 설계변위 ······································································································· 6-18
6.4.9 지반의 액상화 평가 ················································································· 6-20
6.5 해석방법 ··················································································································· 6-21
6.5.1 일반사항 ······································································································· 6-21
답
6.5.2 탄성지진응 계수 ······················································································· 6-21
6.5.3 단일모드스펙트럼해석법 ·········································································· 6-22
6.5.4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 ············································································ 6-23
6.6 기초 및 교대의 내진설계 ······················································································ 6-26
6.6.1 적용범위 ······································································································· 6-26
6.6.2 기초 ·············································································································· 6-26
6.6.3 교대 ·············································································································· 6-28
6.7 강교 설계 ················································································································· 6-29
6.7.1 일반사항 ······································································································· 6-29
6.7.2 P-Δ 효과 ····································································································· 6-29
6.8 콘크리트교 설계 ······································································································ 6-30
6.8.1 일반사항 ········································································································· 6-30
6.8.2 교각의 해석 및 설계 강도 ·········································································· 6-30
6.8.3 기둥 ················································································································ 6-35
6.8.4 벽식 교각 ······································································································· 6-40
6.9 지진격리교량의 설계 ······························································································ 6-42
6.9.1 일반사항 ········································································································· 6-42
6.9.2 지진격리설계의 기본방침 ············································································ 6-42
6.9.3 지진격리교량의 가속도계수 ········································································ 6-43
- xiv -
6.9.4 지진격리교량의 내진등급과 설계지진수준 ··············································· 6-43
6.9.5 지진격리교량의 지반계수 ············································································ 6-43
답
6.9.6 지진격리교량의 응 수정계수 ·································································· 6-44
6.9.7 해석방법 ········································································································· 6-45
6.9.8. 기타 요구조건 ······························································································ 6-49
- xv -
제1장 총칙
제 1 장 총 칙
1.1 적용범위
(1) 도로교 설계기준은 도로법에서 규정하는 도로상에 건설하는 지간 200 m 이하의 교량에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지간이 200 m를 넘는 경우에도 장대교량의 종류,
구조형식, 가설지점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한 보정을 해야 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이
설계기준을 준용한다.
(2) 이 설계기준의 규정은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제
시한 것이다. 다만, 널리 알려진 이론이나 시험에 의해 기술적으로 증명된 사항에 대해
서는 발주자의 승인을 얻어 관련 설계기준의 적용을 대체할 수 있다.
(3) 이 설계기준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관련 설계
기준과 설계지침 등에 따른다.
(4) 소형차도로 등 특수한 기능을 갖는 도로상의 교량에 대해서는 발주기관에서 정하는 별
도의 기준을 따른다.
(5) 이 설계기준은 이 기준을 공표한 날 이후에 계약되어 설계되는 공사부터 적용한다.
1.2 용어의 정의
(1) 강교:상부구조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가 강재로 이루어진 교량을 일컫는다.
(2) 보도부분:“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의하는 보도, 자전거 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의 총칭이다.
(3) 부하중: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주 작용하지는 않지만 내
하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통상 다른 하중과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하중의 조
합에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하중의 총칭이다.
(4) 상부구조:교대나 교각 위에 설치되는 교량의 주거더를 비롯한 일체의 구조를 일컫는다.
(5) 주하중: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주 작용하여 내하력에 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하중의 총칭이다.
1-1
제 1 장 총칙
1.3 교량의 등급
(1) DB-24로 설계하는 교량을 1등교, DB-18로 설계하는 교량을 2등교, DB-13.5로 설계하
는 교량을 3등교로 한다.
(2) 고속국도 및 자동차 전용도로상의 교량은 1등교로 한다. 다만, 교통량이 많고 중차량의
통과가 불가피한 도로, 국방상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장대교량은 1등교로 할
수 있다.
(3) 일반국도, 특별시도와 지방도상의 교통량이 적은 교량은 2등교로 한다. 또한, 시도 및
군도 중에서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은 원칙적으로 2등교로 한다.
(4) 산간벽지에 있는 지방도와 시도 및 군도 중에서 교통량이 적은 곳에 가설하는 교량은
3등교로 한다.
1.4 조 사
교량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와 시공을 위해서는 교량계획 예정지점의 상황, 구조물
의 규모 등에 따라서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한다.
1-2
1.5 계획
1.5 계 획
1.5.1 가설위치와 형식의 선정
교량의 계획에 있어서는 노선의 선형과 지형, 지질, 기상, 교차물 등의 외부적인 제조건,
시공성, 유지관리, 경제성 및 주변 환경과의 미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가설위치 및 교량의
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하천을 통과하는 교량의 경우 교각은 유수에 충격을 받는 수중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설계상 불가피한 경우 방호대책을 세워야 한다.
1.5.2 구조규격
교량의 폭원구성, 시설한계, 선형 등의 구조규격은 ʻʻ도로의 구조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ʼʼ에 따른다.
1.5.3 교차조건
교차지점에서 가교위치, 지간분할, 교각위치, 교각형상, 다리 밑 공간 등은 관계 기관과
충분히 협의하여 정하여야 한다. 다리 밑 공간은 다리 밑의 교차조건에 필요한 공간과 유지관
리에 필요한 공간을 관련 시설 및 설계기준에 따라 합리적으로 정해야 하는데, 교차조건이
도로인 경우에는 4.5m 이상으로 하되, 동계적설에 의한 한계높이의 감소 또는 포장덧씌우기
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4.7 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차조건이 하천인
경우에는 계획홍수량에 따라 표 1.5.1의 값을 표준으로 하되, 하상변동에 의한 수위상승과
만곡부의 수위상승, 수리계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제방여유고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표 1.5.1 하천에서의 다리밑 공간(하천설계기준, 2009)
계획홍수량(m /sec)
3
다리밑 공간(m)
200 미만 0.6 이상
200 이상 ~ 500 미만 0.8 이상
500 이상 ~ 2,000 미만 1.0 이상
2,000 이상 ~ 5,000 미만 1.2 이상
5,000 이상 ~ 10,000 미만 1.5 이상
10,000 이상 2.0 이상
주 1. 하천에서의 다리 밑 공간은 교량설치를 감안하여 산정한 홍수위로부터 교각이나 교대 중 가장 낮은 교각
(교대)에서 교량상부구조를 받치고 있는 받침장치 하단부까지 높이를 뜻하며, 교량받침이 없는 경우 상부
구조의 하면까지를 의미한다(라멘교는 슬래브 헌치하단까지의 높이). 아치교의 경우에는 여유고 구간의 단
면적 조건을 검토하여 여유고 규정의 만족여부를 결정한다.
2. 단, 계획홍수량이 50 m sec 이하이고 제방고가 1.0 m이하일때 다리밑 공간은 0.3 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1-3
제 1 장 총칙
1.7 품질보증 요건
(1) 구조물의 적절한 품질보증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설계자는 공사품질에 관한 특별
시방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도급자는 품질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구조물 소유주는 도급자의 직접고용자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제를 구성하여 공
사과정을 철저히 감독하여야 한다.
(2) 품질보증 활동과 관련된 수행과정과 결과는 기록으로 보존하여야 한다.
(3)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설계품질관리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1-4
제2장 설계일반사항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 하 중
2.1.1 하중의 종류
설계에 있어서는 다음 하중을 고려한다.
(1) 주하중(P)
① 고정하중(D)
② 활하중(L)
③ 충격(I)
④ 프리스트레스(PS)
⑤ 콘크리트 크리프의 영향(CR)
⑥ 콘크리트 건조수축의 영향(SH)
⑦ 토압(H)
⑧ 수압(F)
⑨ 부력 또는 양압력(B)
(2) 부하중(S)
풍하중(W)
온도변화의 영향(T)
지진의 영향(E)
지반변동의 영향(GD)
지점이동의 영향(SD)
파압(WP)
원심하중(CF)
2-1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가설시하중(ER)
충돌하중(CO)
기타
2.1.2 고정하중
고정하중을 산출할 때는 표 2.1.1에 나타낸 단위질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실질량이
명백한 것은 그 값을 사용한다.
표 2.1.1 재료의 단위질량(kg/m )
3
재 료 단위질량 재 료 단위질량
강재, 주강, 단강 7,850 콘크리트 2,350
주 철 7,250 시멘트 모르타르 2,150
알 미 늄 2,800 목 재 800
철근콘크리트 2,500 역청재(방수용) 1,100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2,500 아스팔트 포장 2,300
2.1.3 활하중
활하중은 자동차하중, 즉 표준트럭하중(DB하중) 또는 차로하중(DL하중), 보도 등의 등분
포하중 및 궤도의 차량하중이다.
(1) 바닥판과 바닥틀을 설계하는 경우의 활하중
① 차도부분에는 DB하중(표 2.1.2 및 그림 2.1.1)을 재하한다. DB하중은 한 개의 교
량에 대하여 종방향으로는 차로당 1대를 원칙으로 하고, 횡방향으로는 재하 가
능한 대수를 재하하되 설계부재에 최대응력이 일어나도록 재하한다. 교축 직각
방향으로 볼 때, DB하중의 최외측 차륜중심의 재하위치는 차도부분의 단부로부
터 300 mm로 한다. 지간이 특히 긴 세로보나 슬래브교는 DL하중으로도 검토하
여 불리한 응력을 주는 하중을 사용하여 설계한다.
2-2
2.1 하중
표 2.1.2 DB하중
교량등급 하중등급 중량 총하중 전륜하중 후륜하중
W(kN) 1.8W(kN) 0.1W(kN) 0.4W(kN)
1 등교 DB-24 240 432 24 96
2 등교 DB-18 180 324 18 72
3 등교 DB-13.5 135 243 13.5 54
② 보도 등에는 × MPa의 등분포하중을 재하한다.
그림 2.1.1 DB 및 DL하중
③ 궤도에는 궤도의 차량하중과 DB하중 가운데 설계부재에 불리한 응력을 주는 것
을 재하한다. 궤도의 차량은 차량 수에 제한이 없는 것으로 보고 설계부재에 가
장 불리한 응력을 주도록 재하한다. 차량의 점유폭과 하중은 해당 궤도의 규정
을 따른다.
④ 차륜의 접지면은 DB하중의 각 차륜에 대해 면적이
인 하나의 직사
2-3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3 27.4≤ 〈 31.1 8
12.8≤ 〈 16.4
4 31.1≤ 〈 34.7 9
5 10
16.4≤ 〈 20.1
34.7≤ 〈 38.4
6
20.1≤ 〈 23.8
2-4
2.1 하중
2-5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표 2.1.5 충격계수를 구할 때의 지간
형 식 부 재 L(m)
단순보 거더 및 받침 지간장
∙현재, 단주 및 받침 지간장
∙하로트러스의 행거 가로보의 지간장
트러스 ∙상로트러스의 지주 가로보의 지간장
∙분격간의 사재 등 가로보의 지간장
∙기타의 복부재 지간장의 75%
하중 ①에 대해
연속보 하중 ②에 대해
하중 ③에 대해
하중 ①에 대해
하중 ②에 대해
하중 ③에 대해
게르버보 ∙걸린 거더 ab에 대해
∙캔틸레버부 및 정착부에 대해
하중 ④에 대해
2-6
2.1 하중
하중 ①에 대해
하중 ②에 대해
하중 ①에 대해
하중 ②에 대해
라멘 ∙걸린 거더 ab에 대해
∙캔틸레버부 및 라멘에 대해
하중 ③에 대해
∙라멘에 대해
∙캔틸레버부에 대해
2-7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5 초과하중에 대한 검토
(1) 허용응력설계법에 의한 2등교와 3등교의 설계에서는 규정된 DB하중을 100% 증가시킨
것을 한 차로에만 재하시킴으로써 생기는 응력에 대한 검토를 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
와 같이 재하했을 때 활하중, 충격, 고정하중에 대한 허용응력은 50% 증가시킨다. 바닥
판 설계에는 초과하중에 대한 검토를 할 필요가 없다.
(2) 강도설계법에 의한 초과하중에 대한 검토는 2.2.3.2의 식(2.2.10)에 따른다.
2.1.6 프리스트레스힘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힘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설계에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프리스트레
스트 콘크리트에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힘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설계시에 고려하여야 할 프리스트레스힘은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힘과 유
효프리스트레스힘이다. 또 프리스트레스힘에 의하여 부정정력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
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힘의 감소는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
형만을 고려하여야 하고,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PS강재와 쉬스의
마찰, 정착장치 및 정착부 내부의 마찰, 정착장치에서의 활동량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유효프리스트레스힘은 (2)항의 규정으로 산출한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힘
에 다음의 영향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① 콘크리트의 크리프
이 경우에 고려하는 지속하중은 프리스트레스힘과 고정하중이다.
②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③ PS강재의 릴랙세이션
(4)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힘에 의해 보의 변형이 구속되어 이로 인하여 부정정력이 발
생하게 되는데 단면의 응력을 검사할 경우에 이 부정정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유효프
리스트레스힘에 의한 부정정력은 PS강재 인장력의 유효계수를 부재 전체에 걸쳐 평균
한 값을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부정정력에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2-8
2.1 하중
(4) (2)항 또는 (3)항에 따르기 힘든 경우에는 부재 주변의 습도, 부재단면의 형상, 치수, 하
중이 작용할 때의 콘크리트 재령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와 건조
수축률을 정하며, 각각 4.2.3.3 및 4.2.3.4의 규정에 따른다.
(5)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부정정력은 다음의 규정에 의
한다.
① 구조계에 변화가 없는 경우
구조물 전체를 한꺼번에 동바리상에서 시공하고, 시공중의 구조계와 시공 후의
구조계에 변화가 없는 경우, 콘크리트 크리프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
2-9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② 구조계에 변화가 있는 경우
구조물 전체를 한꺼번에 시공하지 않고, 시공중의 구조계와 시공 후의 구조계에
변화가 있는 경우, 콘크리트 크리프의 영향에 의한 부정정력은 (2)항 혹은 (4)항
에 규정하는 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다만, 이 경우에 고려하는 지속하중은 고
정하중, 프리스트레스힘, 건조수축의 영향 등으로 한다. 또 건조수축의 영향에
의한 부정정력은 (4)항의 규정에 의해 산출한다.
2.1.8 토압
토압은 벽면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으로 하고,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평상시 토압계산은 5.5.9의 규정에 따른다.
(2) 지진시 토압계산은 6.6.3.2의 규정에 따른다.
2.1.9 수압
(1) 정수압은 식 (2.1.4)에 의해 산출한다. 구조물의 지반 속에 있는 부분에 작용하는 수압
이 이 이론수압의 값까지 작용하지 않는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그 확실한 값까지 감소
시킬 수 있다.
= × ⋅
(2.1.4)
여기서,
:수면에서 만큼 깊은 곳의 정수압(MPa)
:수면에서의 깊이(m)
:물의 단위 중량(kN/m )
3
2-10
2.1 하중
:수심(m)
0.04
0.02
유송잡물이 집적되는 교각 0.07
세굴의 영향이 있는 경우의 유수압을 산출할 때 사용하는 수심은 평상시에는 하부
구조에 의한 세굴의 영향이 없을 때의 수심에 평상시 하부구조의 영향에 의해 발생
하는 세굴의 깊이와 교량의 내용년수(service life) 중에 예상되는 전반적인 하상 저
하량을 더한 깊이로 한다. 홍수시에는 평상시의 설계수심에 홍수시 수위의 증가와
홍수시 세굴깊이를 더한 깊이로 한다.
(3) 물에 접하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지진시의 동수압을 고려하여야 한다.
2-11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10 부력 혹은 양압력
(1) 부력 혹은 양압력은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하고 구조물에 가장 불리하도록 재
하시킨다.
(2) 부력 혹은 양압력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의 안정에 대한 안전율은 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2.1.11 풍하중
(1) 구조물의 정적설계를 위한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풍하중 (MPa)는 설계기준 풍속
2-12
2.1 하중
① 플레이트거더교
플레이트거더교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교량 하나의 교축방향 길이 1 m당 표
2.1.9에 나타낸 값으로 한다.
표 2.1.9 플레이트거더교의 풍하중(kN/m)
단면형상 풍하중
≤ < ⋅ ≥
≤ ≥
여기서,
:교량 총폭(m) (그림 2.1.2 참조)
:교량 총높이(m) (표 2.1.10 참조)
그림 2.1.2 교량 총폭
표 2.1.10 플레이트거더교의 총높이 D
교량용 방호울타리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이외
총높이 D
② 2주구 트러스
2주구 트러스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풍상측의 유효연직투영면적 1 ㎡당 표 2.1.11
에 나타낸 값으로 한다. 다만, 표준적인 2주구 트러스에 대해서는 풍상측 현재
의 교축방향의 길이 1 m당 표 2.1.12에 나타낸 풍하중을 사용하여도 좋다.
2-13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단, ≤ ≤
여기서, :트러스의 충실률(트러스 외곽 면적에 대한 트러스 투영면적의 비)
표 2.1.12 표준적인 2주구 트러스의 풍하중(kN/m)
현 재 풍 하 중
재하현 활하중 재하시
≥
활하중 비재하시
≥
단, ≤ λ ≤
여기서, :교량 바닥판의 총높이(m)
다만, 교축직각 수평방향에서 보아 현재와 중복되는 부분의 높이는 포함하지 않
는다(그림 2.1.3 참조).
2-14
2.1 하중
③ 기타 형식의 교량
기타 형식의 교량의 주거더 부분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주거더의 형상에 따라
①항 또는 ②항을 적용한다. ①항 또는 ②항에 규정되지 않은 부재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단면형상에 따라 표 2.1.13에 나타낸 값을 사용한다. 또한 활하중이 재
하될 때에는 교면상 l.5 m의 위치에서 1,500 N/m의 풍하중이 활하중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표 2.1.13 플레이트거더교 또는 2주구 트러스 이외의 교량 부재에 작용하는 풍하중(MPa)
부재의 단면형상 풍 하 중
풍상측 부재 풍하측 부재
원형 활하중 재하시 × ×
활하중 비재하시 × ×
④ 병렬교량
플레이트거더교가 병렬로 놓여 있는 경우에는 이 영향을 고려하여 표 2.1.9의
풍하중을 적절히 보정하여야 한다.
(4) 태풍이나 돌풍에 취약한 지역(해안 인접지역 등)에 위치한 중대지간의 교량
① 태풍에 취약한 지역에 위치한 중장대 지간의 교량은 설계기준풍속에 기초하여
식 (2.1.6)로 구한 풍하중에 의하여 설계한다. 이때 설계기준풍속은 대상지역의
풍속기록과 구조물 주변의 지형 및 환경, 그리고 교량상부구조의 지상 높이 등
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한 10분 평균풍속이다. 그러나 대상지역의 풍속자
료가 가용치 못한 경우에는 고도보정을 위하여 식 (2.1.7)을 사용할 수 있다.
≥
(2.1.7)
<
2-15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6
2.1 하중
2-17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표 2.1.15 지표조도구분에 의한 의 값
2.1.12 온도변화
(1) 설계시 온도변화의 범위
설계시 온도변화의 범위는 다음 값을 표준으로 한다.
① 강교에서 온도변화의 승강은 가설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 온도변화
의 범위는 -10 ℃에서 +50 ℃를 표준으로 하되 특히 추운 지방에서는 -30 ℃
에서 +50 ℃까지로 한다. 타이드아치, 보강거더가 있는 아치, 라멘, 강바닥판 등
2-18
2.1 하중
로 한다.
(3) 가동받침의 이동량 산정시 온도변화의 범위 및 선팽창계수는 표 2.1.17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4) 수중 또는 토중에 있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온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표 2.1.17 가동받침의 이동량 산정시 온도변화 및 선팽창계수
교량 종류 온도변화 선팽창계수
보통지방 한랭한 지방
PSC교, RC교 -5℃∼+35℃ -15℃∼+35℃ ×
2.1.13 지진의 영향
지진의 영향에 대해서는 6장 내진설계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2-19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14 설하중
설하중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지방에서는 가설지점의 실제상황에 따라 적당한 값을 정하
도록 한다.
2.1.15 지반변동 및 지점이동의 영향
(1) 하부구조에 대한 지반변동의 영향
하부구조 완성 후 기초지반의 압밀침하 등에 의해 지반변동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상부구조에 대한 지점이동의 영향
부정정구조물에서 지반의 압밀침하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점의 이동 및
회전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할 경우에는 최종 이동량을 추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
여야 한다. 단면력의 산정은 탄성계산에 따라야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교에 대해서는 탄성계산에서 구한 단면력의 50 %를 설계계산에 사
용하고, 강교에 대해서는 탄성계산에서 구한 단면력을 그대로 설계계산에 사용한다.
2.1.16 파압
(1) 연직벽에 작용하는 쇄파의 파력은 식(2.1.8)에 의해 산출한다. 파력은 정수면상
:외해파의 파고(m)
2-20
2.1 하중
2-21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1.19 충돌하중
(1) 자동차의 충돌
자동차가 충돌할 우려가 있는 각주에는 콘크리트벽 등으로 충분히 안전한 방호시
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들 방호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충돌하중이
노면 위 1,800mm에서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각주를 설계하여야 한다.
차도방향에 대하여 1,000kN
차도직각방향에 대하여 500kN
(2) 유목 등의 충돌
유목 및 기타의 유송물이 충돌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식(2.1.10)에 의해 충돌력을
산출한다. 그 작용 높이는 수면으로 한다.
(2.1.10)
여기서,
:충돌력(kN)
:유송물의 중량(kN)
:표면유속(m/s)
(3) 선박의 충돌
항로상 또는 항로 근처에 교각을 설치하여 선박과 충돌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
것을 설계에 고려하여야 한다.
2-22
2.2 설계방법 및 안전율
2-23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24
2.2 설계방법 및 안전율
허용휨인장응력 3 5
2.2.3 강도설계법
2.2.3.1 총 칙
(1) 콘크리트구조물의 부재나 단면은 2.2.3.2의 설계하중조합과 2.2.3.3의 강도감소계수에
의해 계산되는 설계단면력 이상의 설계강도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부재는 사용하중 하에서도 적절한 성능과 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 설계기준의 모
든 규정을 충족시켜야 한다.
2.2.3.2 설계하중조합
(1) 설계단면력
① 부재나 단면의 소요강도는 다음 (2)항에서 규정한 하중계수를 사용한 하중조합
에 따라 계산된 휨, 축방향력, 전단 및 비틀림 등으로 나타낸 극한외력에 대한
설계단면력 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
2-25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26
2.2 설계방법 및 안전율
여기서,
D :고정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L :활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I :충격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H :토압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W :풍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WL:차량활하중에 작용하는 풍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BK:제동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E :지진의 영향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CF:원심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CO:충돌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G :부등침하, 크리프, 건조수축, 제작 또는 시공시 치수의 착오, 습도변화 또는
온도변화 등으로 인한 팽창 또는 수축변형으로 유발된 변형력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Q :부력 또는 양압력, 수압, 파압 등의 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3) 특수하중조합의 하중계수
① 2.1.5에 따른 2, 3등교의 설계에서 초과하중에 대하여 검토하는 경우
= + + (2.2.10)
② 특별과하중(탱크, 특수 중차량 등)에 대하여 검토하는 경우
= + + + + + (2.2.11)
(4) 식 (2.2.1)에서 충격을 고려한 차량활하중과 보도 등의 군중하중의 하중조합에 의해서
외측 주거더를 설계할 때는 활하중계수를 2.15 대신 1.65로 하여 설계한다. 다만, 이때
의 설계강도는 활하중계수를 2.15로 한 차량활하중만에 의한 값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닥판 슬래브를 설계할 때는 활하중계수를 2.15 대신 1.3으로 한다.
(5) (2)항과 (3)항의 모든 하중조합에서 표 2.2.5의 각 경우에 대한 고정하중계수와 토압하
중계수는 각각 표에 제시한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2-27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2.3.3 설계강도
(1) 공칭 및 설계강도
① 휨, 축방향력, 전단 또는 비틀림으로 표시되는 부재나 단면의 강도는 이 설계기
준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공칭강도를 가져야 한다.
②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강도설계법에서는 단면의 공칭강도에다 (2)항에서 규정
한 강도감소계수를 곱하면 단면의 설계강도가 된다.
③ 강구조물에 대한 하중계수설계법에서는 계산된 최대공칭강도를 그대로 설계강
도로 한다.
(2) 강도감소계수,
① 휨부재, 휨과 축방향인장을 겸하여 받는 부재
(가) 보통철근콘크리트 부재 : = 0.85
2-28
2.2 설계방법 및 안전율
② 축방향인장부재 : = 0.85
0.00625(2.5 )로 한다.
⑤ 콘크리트의 지압 : = 0.70
⑥ 무근콘크리트 : = 0.65
2-29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3 사용재료
2.3.1 강 재
강재는 표 2.3.1의 규격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표 2.3.1 표준으로 하는 강재
강재의 종류 규 격 강 재 기 호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400, SM490, SM490Y,
1. 구조용 강재 SM520, SM570
KS D 3529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SMA400, SMA490, SMA570
KS D 3868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500, HSB600, HSB800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TK400, STK490, STK500
KS D 3780 철탑용 고장력강 강관 STKT590
2. 강 관
KS F 4602 강관말뚝 SKK400, SKK490
KS F 4605 강관시트파일 SKY400, SKY490
3. 접합용 강재 KS B 1010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볼트, 6각너트, F8T, F10T, F13T
평와셔의 세트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101 내후성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102 탄소강 및 저합금강용 서브머지드 아크
4. 용접재료 용접 플럭스
KS D 7103 탄소강 및 저합금강용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와이어
KS D 7106 내후성강용 탄산가스 아크 용접 솔리드 와이어
KS D 7109 내후성강용 탄산가스 아크 용접 플럭스
충전 와이어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SF490A, SF540A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SC450
KS D 4106 용접구조용 주강품 SCW410, SCW480
5. 주단조품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SCMn1A, SCMn2A
KS D 3752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SM35C, SM45C
KS D 4301 회주철품 GC250
KS D 4302 구상 흑연주철품 GCD400
2-30
2.3 사용재료
2.3.2 콘크리트
2.3.2.1 콘크리트 재료
콘크리트 재료는 다음 각 항에 나타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1) 시멘트는 원칙적으로 KS L 5201에 규정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및 KS L 5210에 규정한 고로슬래그 시멘트로 한다.
(2) 물은 기름, 산, 염류, 유기물 등의 유해물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3)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먼지, 흙, 유기불순물, 염
화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4) 굵은골재는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얇은 석면, 길다란 석
면, 유기불순물, 염화물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5) 혼화제로 사용할 AE제, 감수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는 KS F 2560에 적합
한 것이어야 한다.
2.3.2.2 콘크리트
도로교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설계기준강도가 원칙적으로 표 2.3.2에 나타낸 값 이상이어
야 한다.
2-31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32
2.3 사용재료
(MPa)
(2.3.1)
다만, 보통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2,300 )의 경우는 식 (2.3.2)
를 이용할 수 있다.
(MPa)
(2.3.2)
여기서,
(MPa)
2-33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34
2.4 받침, 신축이음장치 및 방호울타리
2-35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4.1.5 구조세목
(1) 소울플레이트 및 받침판의 두께는 원칙적으로 22 mm 이상으로 한다. 소울플레이트는
주거더에 확실히 정착시켜야 한다. 주요부의 두께는 주강재 받침에 있어서는 25 mm
이상, 주철재 받침에서는 35 mm 이상으로 한다.
(2) 앵커 볼트의 지름과 묻힘길이는 수평력 및 부착력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3) 하부구조와 받침의 고정 및 앵커 볼트의 매입은 무수축성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물기가 있는 곳에 받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받침의 방청을 고려하여 배수가 양호한
구조로 한다.
(5) 가동받침부에는 지진과 같은 예측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했을 때 보의 비정상적인 이
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 받침의 유지관리 및 재해시 보수 등을 위해 적절한 거더 밑 공간(하부구조물 상단과 상
부구조물 하단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2-37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4.2 신축이음장치
2.4.2.1 일반사항
신축이음장치는 설치하는 도로의 성격, 교량의 형식, 사용신축량을 기본으로 하여 전체적
인 내구성, 평탄성, 배수성과 수밀성, 시공성, 보수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2.4.2.2 설계 신축량
(1) 신축이음장치는 상부구조의 온도변화, 처짐,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프리스트
레스에 의한 부재의 탄성변형 등에 의해 생기는 이동량에 대해서 여유 있는 구조로 하
여야 한다. 설계 신축량은 신축이음장치의 용량을 의미하며, 이 값의 산정에 사용하는
온도변화와 선팽창계수는 2.1.12의 규정에 따른다.
(2) 신축이음장치의 신축량 산정에는 상기의 기본 신축량 외에 설치할 때의 오차와 하부구
조의 예상 밖의 변위 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여유량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여유량은
교량의 규모에 따라서 다른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값을 따른다.
- 신축장 100 m 미만:(기본 신축량 × 20 %)+10 mm
- 신축장 100 m 이상:설치 여유량(10 mm)+부가 여유량(20 mm)
여기서, 신축장은 신축하는 거더의 길이이며, 일반받침의 경우는 고정단으로부터의
거리, 면진받침의 경우에는 교량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로 본다.
2.4.3 방호울타리
2.4.3.1 일반 사항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난간, 차량 방호울타리 및 난간 겸용 차량 방호
울타리로 구분된다.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능, 경제성, 시공조건, 미관 및 유지관리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설치 목적 및 설치 장소에 부합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4.3.2 설 치
(1) 보차도의 구별이 있는 경우
도심하천상의 교량 등과 같이 교면상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있는 경우에는 보차도의
2-38
2.4 받침, 신축이음장치 및 방호울타리
2-39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40
2.4 받침, 신축이음장치 및 방호울타리
2.4.5 배 수
교면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횡단경사를 두고 길어깨에는 필요한 간격
으로 충분한 크기의 배수구를 설치하도록 한다. 박스 거더 및 트러스 부재 등의 폐단면 및
바닥판에서 구조상 물이 고이기 쉬운 장소에는 배수공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2.4.6 교면포장
(1) 교면포장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도로설계기준 등을 참고할 수 있다.
(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바닥판과 동시에 타설하는 것이 좋다.
(3)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는 필요에 따라 방수층을 설치하도록 하고, 특수아스팔트 포
장시에는 온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2.4.7 부속시설
조명, 표지, 방음벽 등의 부속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4.8 부착시설물
수도관, 가스관 및 통신관 등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41
제 2 장 설계일반사항
2.5 기 록
2.5.1 교량대장
교량대장에는 교량길이, 교폭, 설계하중(시방서명), 설계지진도, 기초의 형식과 근입깊이,
지반조건, 주요 부분의 구조도, 준공년월일, 기타 장래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이것을 보관하여야 한다. 또한, 교량에 관한 주요 정보는 디지털자료로도 보관하여야 한다.
2.5.2 교명판
교량에는 교명판을 부착시킴을 원칙으로 한다.
교명판의 치수와 기재사항은 그림 2.5.1에 따르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설명판 교명판
총연장 교폭
설계하중 ◯
공사기간 년 월 일∼ 년 월 일 ◯
발주자 시공자 교
설책임자계 300
설계자 이상
감리원 공감독자사
우측(교명판)
현대리인장 준검사자공
100 150 100 150
500
그림 2.5.1 교명판
2-42
제3장 강교
제 3 장 강 교
3.1 일 반 사 항
3.1.1 적용범위
이 장은 지간이 200 m 이하인 강교의 상부구조에 주로 적용한다.
3.1.2 용어의 정의
(1) 강축 : 부재의 단면상에서 휨에 대하여 강한 축
(2) 교량 거더 폭 : 주거더 중심간의 거리
(3) 그루브용접 : 양쪽 강판사이에 홈을 두어 서로 맞대거나 또는 T형 이음에서 양쪽 모재
사이의 홈에 용접금속을 넣는 방법으로 목두께의 방향이 적어도 모재의 표면과 직각
또는 거의 직각을 이루게 하여야 한다.
(4) 니브레이스 : 수평재와 수직재가 만드는 모서리부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하는 사재, 귀
잡이라고도 한다.
(5) 다이아프램 : 박스형단면 등의 폐단면부재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부재 축에
직각으로 배치하는 판, 휨을 받는 상자형부재의 좌굴현상을 방지하고, 비틀림에 대하여
단면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6) 다재하 경로구조 : 한 부재의 파괴로 인하여 전체적인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구조물
(7) 단재하 경로구조 : 한 부재의 파괴만으로 전체 구조가 붕괴되는 구조물
(8) 맞대기 이음 : 둘 이상의 모재의 단과 단을 거의 동일한 평면 내에서 맞붙여서 접합하는 이음
(9) 모재 : 절단, 용접 등에 의해 가공되는 구조의 본체가 되는 재료
(10) 목두께 : 용접부의 유효단면두께
(11) 볼트의 선간거리 : 볼트의 인접선간의 거리, “ㄱ”형 등의 형강의 뒷면으로부터 첫 번
째 볼트선까지의 거리
(12) 볼트의 순간격 : 인접한 볼트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3-1
제 3 장 강교
A b , A c : 거더 및 기둥의 단면적(mm )
2
A g : 부재의 총단면적(mm )
2
A l : 종방향보강재 한 개의 단면적(mm ) 2
A w : 복부판의 총단면적(mm )
2
3-2
3.1 일반사항
3-3
제 3 장 강교
I l : 종방향보강재 한 개의 단면2차모멘트(mm )4
I t : 횡방향보강재 한 개의 단면2차모멘트(mm )4
I w : 뒴비틀림상수(mm )
6
K : 순수비틀림상수(mm ) 4
l
r : 아치부재의 세장비
M : 휨모멘트, 용접 및 볼트 이음부의 설계에 쓰이는 휨모멘트(kN-m)
n : 절점수, 종방향보강재에 의해서 구분되는 패널의 수
P : 축방향 압축력, 용접 및 볼트 이음부에 작용하는 축력 및 전단력(kN)
p : 볼트의 응력방향의 간격(pitch, mm)
p , w : 주구조에 작용하는 등분포 활하중 및 고정하중
r y : y축에 관한 단면2차반경(mm)
r z : z축에 관한 단면2차반경(mm)
S : 필릿용접의 치수(mm)
S r : 설계 대상 단면의 슬래브와 주거더 사이의 수평전단력 범위(kN/mm)
Q : 부재 총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전단력을 계산하는 접합선 외측의 단면1차모멘트(mm )3
Q a : 전단연결재의 허용전단력(kN)
t : 판의 두께(mm)
t o : 표 3.4.7에 표시된 보강판의 두께(mm)
t b :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두께(mm)
td : 다이아프램의 복부판 두께(mm)
tf : 거더의 플랜지 두께(mm)
t r : 다이아프램의 플랜지 두께(mm)
V : 휨모멘트에 따르는 전단력(kN), 계산하는 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kN)
V r : 충격을 포함하는 활하중에 대한 전단력의 범위(kN)
v : 전단응력(MPa), 용접부에 생기는 전단응력(MPa)
va : 허용전단응력(MPa)
vb : 용접부에 생기는 축방향력과 휨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MPa)
vcr : 복부판의 전단좌굴응력(MPa)
vs : 순수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 용접부에 생기는 전단력에 의한 전단응력(MPa)
vw : 뒴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MPa)
3-5
제 3 장 강교
Wb , Wc : 거더 및 기둥의 단면계수(mm )
3
y :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mm)
y i : 볼트로부터 중심축까지의 거리(mm)
y n : 가장자리의 볼트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
: 선팽창계수, 볼트와 모재와의 허용전단응력의 비, 아치의 면내좌굴계수, 보강판의
형상비
: 보강판의 한계 형상비
: 사용된 종방향보강재의 강비
: 종방향보강재 한 개의 단면적 비
: 플랜지의 한쪽 유효폭(mm) (그림 3.8.3)
: 볼트 l개에 작용하는 힘(kN)
: 볼트 l개의 허용력(kN)
3.1.4 참고기준
(1)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 건설교통부, 2007
(2)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 - 건설교통부, 2004
(3)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 건설교통부, 2006
(4) 도로교 표준시방서 - 건설교통부, 2005
(5) 강구조 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 - 국토해양부, 2009
3-6
3.2 재료 및 설계일반
3.2 재료 및 설계일반
3.2.1 설계일반
구조의 각 부재는 될 수 있는 대로 간단한 구조로 하고 제작, 운반, 가설, 검사, 도장, 배수,
청소 등에 편리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2.2 설계계산
(1) 부재의 설계에 있어서는 2.2.2에 규정된 하중의 조합에 의해 생기는 응력이 3.3 및 구조
형식에 따르는 각 장에 규정된 허용응력 이하인지를 검사하는 것으로 한다.
(2) 설계계산은 최종단계에서 유효숫자를 3자리 이상 얻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
만, 부재의 응력은 휨응력 계산에서는 0.1 MPa, 전단응력은 0.01 MPa, 강재의 응력은
1.0 MPa의 단위까지 계산하면 충분하다.
3.2.3 처짐의 허용값
충격하중을 포함한 활하중에 의한 강교의 주거더 및 가로보의 최대처짐은 표 3.2.1 값 이하
라야 한다. 이 경우 처짐은 부재의 총단면적으로 계산한다. 그러나 라멘교에 대하여는 3.14의
규정에 따른다.
표 3.2.1 허용처짐값
교 량 형 식 최 대 처 짐(m)
종 류 지 간 단순지지거더 및 게르버거더의
연속거더 캔틸레버부
플레이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가
≤
거더형식 있는 플레이트거더 ≤
기타의 슬래브가 있는 플레이트거더
현 수 교 형 식
사 장 교 형 식
기 타 형 식
3-7
제 3 장 강교
3-8
3.2 재료 및 설계일반
3.2.5 강재의 선정
강판은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용접구조용 압연강재), KS D 3868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및 KS D 3529(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의 규격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강종은 판의 두께에 따라서 표 3.2.2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부재에 대해서는 3.3.4.3의 규정에 따른다.
판두께에 따른 기준항복점 및 인장강도는 표 3.2.3과 같다.
표 3.2.3 판두께에 따른 기준항복점 및 인장강도
SS400 SM490Y SM570
강 종 SM400 SM490 SM520 SMA570
SMA400 SMA490
40 40 40 75 40 75
강재의 판두께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초과 40 초과 초과
(mm)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75 100 이하 75 10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기준항복점 235 215 315 295 355 335 325 450 430 420
(MPa)
인장강도 400 ~ 510 490 ~ 610 490 ~ 610 570 ~ 720
(MPa) (520 ~ 640) 1)
3-9
제 3 장 강교
3.3 허 용 응 력
3.3.1 일 반
(1) 주하중 및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에 따른 부재 각 부분의 허용응력은 3.3.2 및
3.3.3에 규정한 값으로 한다.
(2) 부하중 및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을 고려하는 경우의 허용응력은 3.3.2 및 3.3.3에
규정한 허용응력에 표 2.2.1에 주어진 증가계수를 곱한 값으로 한다.
(3) 가설하중으로 시공시의 풍하중 또는 지진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공통편에 규정
된 증가계수와는 별도로 가교지점의 조건, 시공 중의 구조물 등을 고려해서 정하기로
한다.주)
주) 가설하중에 대한 증가계수는 가설시의 계산과 본 구조물에 대한 계산에 사용되는 여러 조건이 같은 정밀
도를 갖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특히 가설기간이 길거나 또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신공법에서는 허
용응력을 증가시킬 수 없다.
3-10
3.3 허용응력
40
≤
≤
≤
≤
이하
40
초과
≤
≤
75
이하
≤ ≤
≤ ≤
75
초과
≤
≤
100
이하
3-11
제 3 장 강교
:
:
:
100
≤
≤
≤
이하
:
:
:
강종
판두께 HSB500 HSB600 HSB800
(mm)
≤
≤ ≤
:
80
≤
이하
:
:
≤
≤
:
80
초과
:
:
-
100
이하
3-12
3.3 허용응력
3-13
제 3 장 강교
ft ft
fc fc
ft ft
그림 3.3.1 단면의 분류
여기서,
f c : 압축연응력
f t : 인장연응력
③ 응력을 검사할 단면을 포함하는 압축플랜지의 고정점간의 부재에서, 부재양단의
휨모멘트 값이 다르고 양단 사이에서 휨모멘트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는 표 3.3.4에 표시된 값에 를 곱하여 허용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
3-14
3.3 허용응력
= 0.6 + 0.4
(3.3.2)
= 0.4
(3.3.3)
, : 각각 부재양단의 휨모멘트(kN-m). ≥ 로서, 부호는 고려하는 플
3-15
제 3 장 강교
40 ≤
≤
A w ≤2 초과
Ac 75
이하
≤
≤
: ≤
: ≤
75 ≤
≤
초과 : ≤
: ≤
100
이하
: ≤
: ≤
40 ≤
≤
A w >2 초과
A c 75
이하
≤
≤
: ≤
: ≤
75 ≤
≤
초과 : ≤
: ≤
100
이하
: ≤
: ≤
3-16
3.3 허용응력
: 압축플랜지 총단면적( mm )
3-17
제 3 장 강교
3-18
3.3 허용응력
그림 3.3.3 곡면접촉
3-19
제 3 장 강교
3-20
3.3 허용응력
M20 31 39 39 50 50
M22 39 48 48 63 63
M24 45 56 56 73 73
M27 58 73 73 -2)
- 2)
M30 71 89 89 -2)
- 2)
3-21
제 3 장 강교
3-22
3.3 허용응력
표 3.3.12 허용피로응력범위
다재하경로구조1)
상세범주 허용응력범위, MPa
D 196 112 70 49
E 154 91 56 31
E' 112 64 40 18
단재하경로구조 2)
D 154 91 56 35
E
5)
119 70 42 16
E′ 84 49 28 9
주 : 1) 한 부재의 파괴로 인하여 전체적인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구조물
2) 한 부재의 파괴만으로 전체 구조가 붕괴되는 구조물
3) 응력범위는 최대응력과 최소응력과의 대수차를 의미한다.
4) 거더 복부판과 플랜지의 수직보강재 용접의 경우
5) 단재하경로 구조물의 경우 플랜지의 두께가 20 mm 이상이면 부분용접한 덮개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3-23
제 3 장 강교
표 3.3.13 응력의 종류 및 범주
조건 개 요 응력의 종류 상세 적용예(그림
범주* 3.3.4참조)**
단순부재 압연면 또는 매끈한 표면을 갖는 모재 인장 또는 A 1,2
교번 1)
3-24
3.3 허용응력
3-25
제 3 장 강교
3-26
3.3 허용응력
3-27
제 3 장 강교
여기서, 는 표 3.3.12에 나타낸 범주 C에 대한 허용응력범위와 같다. 이것은 용접루트에서 관통되지 않는
3-28
3.3 허용응력
3.3.4.2 설계응력반복횟수
(1) 설계시 최대응력범위의 반복횟수는 교통량과 하중조사 및 특별한 고려사항이 없으면
표 3.3.14에 따른다.
(2) 허용피로응력은 활하중이나 풍하중을 포함하는 하중조합에 대해 적용한다.
(3) 고정하중과 풍하중의 조합에 따른 응력반복횟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만회로
한다.
표 3.3.14 설계응력반복횟수
주부재(종방향)
도로의 종류 트럭하중 차선하중 1)
3-29
제 3 장 강교
그루브 또는 필릿용접
그루브 또는 필릿용접
필릿 그루브
그림 3.3.4 범주의 분류 예
3-30
3.3 허용응력
3.3.4.3 인성요구조건
(1) 국내의 지역별 온도구역은 표 3.3.15에 따르며,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사
용 강재는 표 3.3.16에 따라서 샤르피 흡수에너지로 나타내는 저온인성 규격을 만족해
야 한다.
(2)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최대 허용 판두께는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온
도구역에 따라 표 3.3.16에 규정한 값으로 한다.
(3)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는 도면과 공사시방서 등에 명시하여야 한다.
표 3.3.15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온도구역 구분
구분 최저 공용온도 2)
대상지역
(T)
1)
부산, 울산, 광주 전체 지역
전라남도 전체 지역
온도구역 -15℃≤T 경상남도 전체 지역
Ⅰ
경상북도 해안 지역
제주도 전체 지역
서울, 인천, 대구, 대전 전체 지역
경기도 동부를 제외한 지역
온도구역 -25℃≤T<-15℃ 충청남도 전체 지역
Ⅱ 전라북도 전체 지역
경상북도 내륙 지역
강원도 해안 지역
경기도 동부지역 (동두천, 이천, 양평 등)
온도구역 -35℃≤T<-25℃ 강원도 내륙 지역
Ⅲ
충청북도 전체 지역
주 : 1)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온도구역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상 지역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기준
으로 최근 30년 내 최저온도에 따라 온도구역을 구분한다.
2) 최저 공용온도(T)라 함은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100년 재현주기 최저기온과 유사)
을 말한다.
3-31
제 3 장 강교
충격시험 3)
온도 흡수에너지
SM400B 0℃ 27J이상 40 40 40
SM400C 0℃ 47J이상 100 100 95
SM490B 0℃ 27J이상 40 40 40
용접 SM490C 0℃ 47J이상 95 80 70
구조 SM490C-TMC 0℃ 47J이상 95 80 70
용 SM490YB 0℃ 27J이상 40 40 40
압연 SM520B 0℃ 27J이상 40 40 40
강재 SM520C 0℃ 47J이상 85 70 60
SM520C-TMC 0℃ 47J이상 85 70 60
SM570 -5℃ 47J이상 70 60 50
SM570-TMC -5℃ 47J이상 70 60 50
용접 SMA400B 0℃ 27J이상 40 40 40
구조 SMA400C 0℃ 47J이상 100 100 95
용내
후성 SMA490B 0℃ 27J이상 40 40 40
열간 SMA490C 0℃ 47J이상 85 70 60
압연
강재 SMA570 -5℃ 47J이상 70 60 50
HSB500 -5℃ 47J이상 85 70 60
HSB500L -20℃ 47J이상 100 95 80
교량 HSB500W -5℃ 47J이상 85 70 60
구조 HSB600 -5℃ 47J이상 70 60 50
용 HSB600L -20℃ 47J이상 95 80 65
압연
강재 HSB600W -5℃ 47J이상 70 60 50
HSB800 -20℃ 47J이상 55 45 40
HSB800L -40℃ 47J이상 80 70 60
주 : 1) 선형 보간법에 따라 최대 허용 판두께를 결정할 때 사용되는 각 구역별 기준 공용온도.
2)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T)을 알고 있는 경우, 주 1의 기준 공용온도에 따른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SM520C의 경우, 어느 지역의 최저기
온(T)이 -20℃라면 구역 Ⅰ의 -15℃와 구역 Ⅱ의 -25℃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는 77.5 mm
(≒78 mm)로 된다. 단, 최저기온의 범위가 -35℃≤T≤-15℃일 때만 선형 보간을 적용할 수 있다.
3) KS B 0810 “금속 재료 충격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며 강재의 인성을 충격에 대한 에너지 흡수능력
으로 표현하는 값임.
3-32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3-33
제 3 장 강교
여기서,
l : 인장부재의 경우 골조길이, 압축부재의 경우 유효좌굴길이(mm)
r : 부재 총단면의 회전반경(mm)
주요부재란 주구조와 바닥틀을 말하며, 2차부재란 주요부재 이외의 2차적인 기능을 가진
부재를 말한다. 수직브레이싱이나 수평브레이싱은 주요부재로서의 기능을 부여하지 않을 때
는 2차부재로 보아 설계해도 된다.
3.4.2 압축응력을 받는 판 및 보강판
3.4.2.1 압축응력을 받는 양연지지판
축방향압축력 또는 축방향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에서 압축응력을 받는
양연지지판의 두께 및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은 다음 규정에 따른다. 다만, 플레이트거더
의 복부판에는 적용시키지 않는다.
(1) 압축응력을 받는 양연지지판의 두께는 표 3.4.2에 표시한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
만, 가설시에만 일시적으로 압축응력을 받는 경우의 판두께는 식 (3.4.1)을 만족시켜야
}
한다.
t ≥ 80b i
(3.4.1)
다만, t ≥
b
220
여기서,
t : 판두께(mm)
: 판의 고정연 사이의 거리(mm)(그림 3.4.1)
: 응력구배계수,
: 응력구배,
, :
각각 판의 양연에서의 응력(MPa)
3-34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강종
강재 SM490C-TMC SM520C-TMC SM570-TMC
판두께(mm)
100 이하
강종
강재 HSB500 HSB600 HSB800
판두께(mm)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
3-35
제 3 장 강교
SMA400 :
≤
40 초과 100 이하
:
≤
:
≤
40 이하
:
≤
:
≤
40 초과 100 이하
:
≤
:
≤
40 이하
:
≤
SM490Y :
≤
SM520 40 초과 75 이하
SMA490
:
≤
:
≤
75 초과 100 이하
:
≤
:
≤
40 이하
:
≤
SM570 :
≤
SMA570 40 초과 75 이하
:
≤
:
≤
75 초과 100 이하
:
≤
3-36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
≤
SM520C-TMC 100 이하
:
≤
:
≤
SM570-TMC 100 이하
:
≤
:
≤
HSB500 100 이하
:
≤
:
≤
HSB600 100 이하
:
≤
:
≤
HSB800 80 이하
:
≤
그림 3.4.3 자유돌출폭
3-37
제 3 장 강교
SS400 40 이하
: ≤
SM400
SMA400 40 초과 100 이하
:
≤
:
≤
≤
40 이하
:
:
≤
SM490
: ≤
40 초과 100 이하
: ≤
: ≤
40 이하
: ≤
SM490Y :
≤
SM520 40 초과 75 이하
SMA490
:
≤
: ≤
75 초과 100 이하
: ≤
≤
40 이하
:
:
≤
SM570
: ≤
SMA570 40 초과 75 이하
: ≤
: ≤
75 초과 100 이하
: ≤
3-38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
≤
HSB500 100 이하
:
≤
:
≤
HSB600 100 이하
:
≤
:
≤
HSB800 80 이하
:
≤
3-39
제 3 장 강교
40 초과 75 이하
75 초과 100 이하
≥ (3.4.2)
여기서,
: 보강된 판의 두께(mm)
: 보강된 판의 폭(mm)(그림 3.4.4)
: 종방향보강재에 의해서 구분되는 패널의 수( ≥ )
3-40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
: 각각 보강된 판의 양연의 응력(MPa)
다만, ≥ 이며 압축응력을 정(+)으로 한다(그림 3.4.5).
3-41
제 3 장 강교
40
이하 : ≤
: ≤
: ≤
: ≤
: ≤ : ≤ : ≤ : ≤
≤ ≤
40
초과
≤
≤
: ≤ : ≤
75
이하
: ≤
: ≤
: ≤ : ≤
≤ ≤
75
초과
: ≤
: ≤
100
: ≤
: ≤
이하
: ≤ : ≤
3-42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100
이하 : ≤
: ≤
: ≤
: ≤ : ≤ : ≤
강종
판두께 HSB500 HSB600 HSB800
(mm)
≤
80
이하
≤
≤
: ≤
: ≤ : ≤ : ≤
80
초과
: ≤
: ≤
-
100
이하
3-43
제 3 장 강교
3.4.2.4 보강재
3.4.2.3에 의해 설계되는 보강판의 보강재는 다음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1) 보강재의 강종은 보강되는 판의 강종과 동등 이상의 것이라야 한다.
(2) 종방향보강재는 가급적 등간격으로 배치해야 한다.
(3) 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는, 보강재가 판의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강되는
판의 보강재쪽 표면에 대하여, 양쪽에 다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강되는 판의 중립
면에 대하여 구한다.
(4) 종방향보강재의 한 개의 단면2차모멘트 및 단면적 은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
(3.4.3)
≥
≥
(3.4.4)
여기서
: 보강된 판의 두께(mm)
: 보강된 판의 폭(mm)
: 종방향보강재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패널의 수
: (5)항에 의하여 계산되는 종방향보강재의 소요강비
(5) 종방향보강재의 소요강비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3.4.5)
≥
(3.4.6)
3-44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3.4.7)
여기서,
: 보강판의 형상비,
: 한계 형상비,
: 횡방향보강재의 간격(mm)
: 종방향보강재 1개의 단면적비,
: 사용된 종방향보강재의 강비,
: 표 3.4.7에 표시된 보강되는 판의 두께(mm)
여기서,
: 3.4.2.3에 표시된 응력구배계수
3-45
제 3 장 강교
(1 - f ) (1 - f )
f + f f + f f ≤f
c
bcy
c
Ey
bcz
c
Ez
ca l (3.4.12)
여기서,
,
: 각각 단면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에 의한 인장 및 압축응력 단, 축방
향 인장응력 계산시는 순단면적, 압축응력 계산시는 총단면적 사용
(MPa)
,
: 각각 강축(y축)및 약축(z축)둘레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의한 휨인장
응력(MPa)
,
: 각각 강축(y축)및 약축(z축)둘레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의한 휨압축
응력(MPa)
: 표 3.3.1의 허용축방향 인장응력(MPa)
: 식 (3.3.1)에 의해 계산되는 약축(z축)방향의 허용응력(MPa)
: 표 3.3.4의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강축(y축)둘레의 허용휨압축응
력(MPa)
: 표3.3.3의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허용휨압축응력의 상한 값(MPa)
3-46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3.4.13)
(3.4.14)
: 각 장에 규정되어 있는 유효좌굴길이(mm)
, : 각각 y축 및 z축 둘레의 단면2차반경(mm)
3.4.4 구멍 뚫린 판
SM570-TMC
HSB600
HSB800
3-47
제 3 장 강교
그림 3.4.7 구멍 뚫린 판
여기서,
: 구멍 뚫린 판의 두께(mm)
: 안쪽 용접선간의 거리(mm)
: 안쪽 용접선으로부터 구멍까지의 폭(mm)
(2) 응력방향으로 잰 구멍의 길이는 구멍 폭의 2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응력 방향으로 잰 구멍과 구멍 사이의 판의 길이는 보다는 커야 한다.
다만, 단부 구멍의 연에서 구멍뚫린 판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1.25 보다 커야 한다.
(4) 구멍 연의 곡률반경은 40 mm 이상이라야 한다.
3-48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 유효좌굴길이(mm)
: 단면의 중심을 지나고 거셋판면에 평행한 축(그림 3.4.8의 x축)에 관한 단면
회전반경(mm)
(2) (1)항에 따르지 않는 경우에는, 그 부재단면의 중심을 지나 거셋판면에 평행한 축에 대
한 편심으로 생기는 휨모멘트 및 축방향 압축력을 받는 부재로서 3.4.3의 규정에 따라
부재를 설계한다. 다만, 는 허용압축응력의 상한치를 사용한다.
3-49
제 3 장 강교
3-50
3.4 부재에 관한 일반사항
3-51
제 3 장 강교
3.5 연결
3.5.1 부재의 연결
3.5.1.1 일반
(1) 부재의 연결은 작용응력에 대하여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주요부재의 연결은 (1)의 규정을 따르는 외에 적어도 모재의 강도의 75%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전단력에 대해서는 작용응력을 사용하여 설계해도 좋다.
(3) 부재의 연결부 구조는 다음 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① 연결부의 구조가 단순하여 응력의 전달이 확실할 것.
② 구성하는 각 재편에 있어서 가급적 편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
③ 응력집중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④ 해로운 잔류응력이나 2차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4) 연결부에서 단면이 변하는 경우 작은 단면을 기준으로 연결의 제규정을 적용하여야
한다.
3.5.1.2 용접, 고장력 볼트의 병용
부재의 연결에 용접과 고장력 볼트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한다.
(1) 그루브용접을 사용한 맞대기이음과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의 병용 또는 응력방향에 평행
한 필릿용접과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각각 응력을 분담하
는 것으로 본다. 다만, 이들의 분담 상태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를 하여야 한다.
(2) 응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필릿용접과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을 병용해서는 안된다.
(3) 용접과 고장력볼트 지압이음을 병용해서는 안된다.
3-52
3.5 연결
3.5.2 용접 이음
3.5.2.1 용접의 종류와 적용
(1) 응력을 전달하는 용접이음에는 전단면용입 그루브용접, 부분용입 그루브용접 또는 연
속 필릿용접을 쓰도록 한다.
(2) 용접선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인장응력을 받는 이음에는 전단면용입 그루브용접을 사
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부분용입 그루브용접을 써서는 안된다.
(3) 플러그용접과 슬롯용접은 주요 부재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부득이 쓸 경우에는 응력의
전달을 고려하여야 한다.
3.5.2.2 용접부의 유효 두께
응력을 전달하는 용접부의 유효두께는 이론상의 목두께로 하고 다음의 규정에 따른다.
(1) 전단면용입 그루브용접의 목두께는 그림 3.5.1과 같이 취하고 두께가 서로 다를 경우에
는 얇은 부재의 두께로 한다.
3-53
제 3 장 강교
3-54
3.5 연결
3.5.2.4 필릿용접의 치수
(1) 필릿용접은 등치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주요부재의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의 치수는 표 3.5.1의 최소치수 이상, 용접부의 얇
은 쪽 모재 두께 미만의 범위로 한다.
표 3.5.1 필릿용접의 최소치수
두꺼운 쪽 모재 두께 최소 필릿용접 치수 비고
20 mm 이하 6 mm 1 패스 용접 적용
20 mm 초과 8 mm
3-55
제 3 장 강교
(2) 필릿용접
(3.5.6)
≤
3-56
3.5 연결
여기서,
: 축방향력과 휨모멘트에 의한 수직응력(MPa)
: 축방향력과 휨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MPa)
: 전단력에 의한 전단응력(MPa)
: 허용인장응력(MPa)
: 허용전단응력(MPa)
3.5.2.9 맞대기 이음
단면이 서로 다른 주요부재의 맞대기 이음에 있어서는 두께 및 폭을 서서히 변화시켜, 길이
방향의 경사가 1:2.5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5.2.10 겹침이음
(1)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에는 두 줄 이상의 필릿용접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얇은
쪽의 강판두께의 5배 이상 겹치게 하여야 한다(그림 3.5.4(a)).
(2)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의 겹침이음에서 측면 필릿용접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의 규
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① 용접선의 간격은 얇은 쪽의 강판두께의 16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인장력
만을 받는 경우에는 위의 값을 20배로 한다. 부득이 이것을 넘을 때는 강판이
솟아오르는 것을 막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그림 3.5.4(b)).
② 필릿용접의 길이는 용접선의 간격보다 크게 하여야 한다.
3-57
제 3 장 강교
> 5t >b
: 부재의 겹침길이 b < 16t(또는 20t)
t : 얇은 쪽의 강판두께 : 부재의 겹침길이
t : 얇은 쪽의 강판두께
(a) (b)
그림 3.5.4 겹침이음의 필릿용접
3.5.2.11 T이음
(1) T이음에 쓰이는 필릿용접 또는 부분용입 그루브용접은 이음의 양쪽에 배치하여야 한
다. 다만, 횡방향의 변형에 대해서 저항할 수 있는 구조일 때는 한쪽만으로도 좋다.
(2) 재편의 교각이 60˚미만이거나 또는 l20˚를 초과하는 T이음에서는 전단면용입 그루브용
접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필릿용접 또는 부분용입 그루브용접을 사용하는 경우에
는 응력의 전달을 기대할 수 없다.
3.5.3 고장력볼트 이음
3.5.3.1 일반
(1) 고장력볼트 이음은 마찰이음, 지압이음 및 인장이음으로 하며 주요부재의 연결은 마찰
이음을 원칙으로 한다.
(2) 고장력볼트 지압이음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그 적용할 곳의 시공성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하여야 하며 압축부재 및 2차부재 연결 등 부득이한 경우에 한한다.
3-58
3.5 연결
3.5.3.5 볼트의 설계
고장력볼트 이음에서 볼트의 설계는 다음 규정에 의한다.
(1) 축방향력 또는 전단력을 받는 판을 연결하는 경우의 볼트는 식 (3.5.7)을 만족하도록 설
계하여야 한다.
≤
(3.5.7)
3-59
제 3 장 강교
여기서,
: 볼트 l개에 작용하는 힘(kN)
: 볼트 l개의 허용력(kN)
: 축방향력(kN)
: 볼트의 개수
(2)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판을 연결하는 경우의 볼트는 식 (3.5.8)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
야 한다.
≤
(3.5.8)
여기서,
: 볼트 l개에 작용하는 힘(kN)
: 볼트 l개의 허용력(kN)
: 휨모멘트(kN-mm)
: 볼트로부터 중심축까지의 거리(mm)
Σ : 접합선의 한쪽 편에 있는 볼트군의 집합
: 가장자리의 볼트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 다만, 같은 연결부의 플랜지를 볼트
로 연결한 경우에는 중심축으로부터 플랜지의 압축연 또는 인장연까지의 거리
(mm)
(3) 축방향력, 휨모멘트 및 전단력이 함께 작용하는 판을 연결할 경우의 볼트는 식 (3.5.9)
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3.5.9)
여기서,
: 축방향력에 의한 볼트 l개의 작용력(kN)
: 휨모멘트에 의한 볼트 l개의 작용력(kN)
: 전단력에 의한 볼트 l개의 작용력(kN)
: 볼트 l개의 허용력(kN)
3-60
3.5 연결
3.5.3.6 이음판의 설계
고장력 볼트이음에 있어서 이음판의 설계는 다음 규정에 의한다.
(1) 인장력이 작용하는 판의 이음판은 3.5.3.7에 규정된 순단면에 생기는 응력이 허용인장
응력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압축력이 작용하는 판의 이음판은 총단면에 생기는 응력이 3.3.2.1에 규정된 허용압축
응력의 상한값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판의 이음판은 식 (3.5.11)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3.5.11)
여기서,
: 이음판의 연단에 생기는 응력(MPa)
: 이음판에 작용하는 휨모멘트(N-mm)
: 부재의 중립축에 관한 이음판의 총단면의 단면2차모멘트(mm4)
3-61
제 3 장 강교
3.5.3.7 순단면적의 계산
(1) 인장재의 순단면적은 재편의 순폭과 판두께의 곱으로 한다. 이 경우, 재편의 순폭은 그
총폭으로부터 볼트구멍에 의해 잃은 폭을 뺀 값으로 한다.
(2) 부재의 순단면적을 결정할 때의 볼트구멍의 지름은 M20, M22, M24에 대해서는 볼트
의 공칭 지름에 3 mm를 더한 값으로 하고, M27 및 M30의 경우에는 4 mm를 더한 값
으로 한다.
(3) 볼트를 엇갈리게 체결한 재편의 순폭은, 총폭으로부터 고려하는 단면의 최초의 볼트구
멍에 대해 그 볼트구멍의 지름을 공제하고, 이하 순차적으로 각 볼트구멍에 대해 다음
식으로 구한 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mm
(3.5.12)
여기서,
: 순단면적 결정시의 볼트구멍 지름(mm)
: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엇갈린 볼트의 중심간격(mm)
: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의 간격(mm)
3-62
3.5 연결
′
3-63
제 3 장 강교
볼트의 호칭 최대중심간격
M30 210
M27 190
하중작용방향
하중작용방향
3-64
3.5 연결
3.5.3.10 연단거리
(1) 볼트구멍 중심으로부터 판의 연단까지의 최소거리는 표 3.5.4에 표시한 값으로 한다. 모
재 두께가 50 mm 이상인 경우, 접합되는 모재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모재 연단거리는
인장의 경우 모재 두께 이상, 압축의 경우 모재 두께의 0.75배 이상 확보하도록 한다.
표 3.5.4 볼트구멍의 중심에서 판의 연단까지의 거리
최소연단거리(mm)
볼트의 호칭 전단연, 수동개스절단연 압연연, 다듬질연,
자동개스 절단연
M30 55 50
M27 48 43
M24 42 37
M22 37 32
M20 32 28
(2) 볼트구멍 중심으로부터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표면의 판두께의 8배로 한다. 다만 l50mm
를 넘어서는 안된다.
(3) 지압이음에 있어서 응력방향의 볼트 수가 2개 이하의 경우 응력방향의 최소연단거리는
표 3.5.4에 의하되 식 (3.5.13)을 만족하여야 한다.
면 전단의 경우 ≥ ⋅
(3.5.13)
면 전단의 경우 ≥ ⋅
여기서,
: 응력방향으로 잰 최소연단거리(mm)
: 볼트와 모재와의 허용전단응력의 비
: 나사부 바깥지름을 기준으로 계산한 볼트의 공칭단면적(mm2)
: 1면 전단의 경우에는 얇은 쪽 판의 두께(mm)
2면 전단의 경우에는, 모재의 두께와 거셋판의 두께의 합계 중 얇은 쪽의 값(mm)
3-65
제 3 장 강교
3-66
3.5 연결
3.5.4 핀이음
(1) 핀으로 부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그 연결부에서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적절한 방법으로 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핀의 설계는 다음 사항을 따라야 한다.
① 핀의 지름은 75 mm 이상으로 한다.
② 핀의 마무리부의 길이는 부재의 외면 사이의 거리 보다 6 mm 이상 길게 하고
핀의 양 끝에는 로마스너트 또는 와셔가 달린 보통의 너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3) 핀구멍을 갖는 부재는 다음 사항을 따라야 한다.
① 핀과 핀구멍의 지름의 차는 핀 지름이 130 mm 미만인 것은 0.5 mm, 130 mm 이
상인 것은 1 mm를 표준으로 한다.
② 인장부재에서 핀구멍 횡단면에서의 순단면적은 부재 계산상 필요한 순단면적의
140 % 이상, 핀 구멍 배후에서의 순단면적은 부재 계산상 필요한 순단면적 이상
으로 하여야 한다.
③ 핀구멍이 있는 부분의 인장부재의 복부판 두께는 그 순폭의 1/8 이상으로 하여
야 한다.
3-67
제 3 장 강교
3.6 바닥판
3.6.1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 절은 현장타설되는 철근콘크리트 교량바닥판에 대한 기존 설계법에 대한 규정이며,
바닥판 단면내에 발생되는 면내압축력을 고려한 경험적 설계법은 3.6.3절의 규정을 따른다.
3.6.1.1 적용범위
이 절은 2.3.1 및 2.3.2에 표시한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한 변장비가 2 이상의 철근콘크리
트 바닥판의 설계에 적용한다.
3.6.1.2 일반
(1) 난간 및 차량 방호울타리에 작용하는 충돌하중의 영향은 공통편의 관련조항을 따른다.
(2) 철근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는 4.2.3절에 따른다.
(3) 이 장의 규정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바닥판의 전단력에 대
한 계산을 생략할 수 있다.
3.6.1.3 바닥판의 지간
(1) 단순지지의 경우 바닥판의 지간은 지지거더의 중심간격으로 설정한다. 이때 지간은 바
닥판의 순지간에 바닥판의 두께를 더한 길이를 초과할 필요는 없다.
(2) 3개 이상의 지지거더 위에 연속인 바닥판의 경우, 하중분배와 휨모멘트의 계산에 사용
되는 바닥판의 유효지간은 인접한 상부플랜지 돌출폭 중앙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한다.
그림 3.6.1 단순판의 지간
3-68
3.6 바닥판
3-69
제 3 장 강교
3-70
3.6 바닥판
3-71
제 3 장 강교
(4) 배력철근
① 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활하중을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바닥판에는 주
철근의 직각방향으로 배력철근을 배치해야 한다.
② 배력철근의 양은 정모멘트 구간에 필요한 주철근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데 다
음과 같이 계산한다.
∙주철근이 차량진행방향에 직각인 경우
백분율 =
과 67 % 중 작은 값 이상 (3.6.8)
∙주철근이 차량진행방향에 평행할 때
백분율 =
과 50 % 중 작은 값 이상 (3.6.9)
여기서,
: 바닥판의 지간(m)
3-73
제 3 장 강교
(2) 바닥판의 지간이 길어져 (1)의 규정을 따라 계산된 바닥판의 최소두께가 지나치게 두
꺼워지는 경우 다음과 같이 균열과 처짐에 대한 사용성이 만족되도록 바닥판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①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 계산시 활하중 휨모멘트의 크기는 차량바퀴의 접지면적
을 고려한 정밀해석방법을 이용해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균열폭은 콘크리트교편 4.4.9.3절의 허용균열폭 이하가 되어야 한다.
③ 충격을 포함한 사용활하중에 의한 처짐은 콘크리트교편 4.4.9.5절의 허용치 이하
가 되어야 한다.
④ 처짐 계산시 바닥판의 헌치를 포함한 단면형상을 고려해 결정하며 캔틸레버 바
닥판의 경우에도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는 방호울타리 또는 단부보강부 등을
고려한다.
⑤ 바닥판의 캔틸레버 끝단은 방호울타리 또는 단부보강부 등과 연속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보도부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140 mm를 표준으로 한다.
3.6.1.6 철근의 지름 및 배근
(1) 철근은 이형철근을 쓰며 D10, D13, D16, D19 및 D22를 표준으로 한다.
(2) 철근의 피복두께는 4.3.3절의 조항을 따른다.
(3) 철근의 중심간격은 100 mm 이상 또 300 mm 이하로 한다. 다만, 바닥판 지간방향의 인
장주철근의 중심간격은 바닥판의 두께를 넘어서는 안된다.
(4) 철근은 단면의 압축측에 적어도 인장측 철근의 1/2을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림 3.6.5 바닥판의 배근 예
3-74
3.6 바닥판
(5) 바닥판에 배근되는 주철근과 배력철근은 겹침이음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배근하
는 것이 좋다.
(6) 사교 단부의 받침부 부근에서 바닥판 지간방향의 철근은 받침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
으로 한다.
이상으로 한다.
3.6.1.9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강재 주거더와의 합성작용을 생각하지 않는 바닥판의 현장타설된 콘크리트의 허용휨압축
력은 0.40 로 한다. 그러나 이 값은 11 MPa를 넘어서는 안된다.
3.6.1.10 바닥판의 헌치
(1) 바닥판에는 강재 주거더 위에 헌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바닥판의 헌치의 경사는 1:3 보다 완만한 것이 좋다.
(3) 높이가 80 mm 이상의 헌치에는 헌치 아래면을 따라 주거더의 직각방향으로 가외철근
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가외철근은 D10 이상으로 한다.
3-75
제 3 장 강교
× ≤
다만,
≤
× ≤
여기서,
: 가로리브의 지간(m)
: 가로리브의 간격(m)
③ 활하중에 대한 충격계수는 세로리브에 대해 0.3, 가로리브에 대해서는 식 (2.1.2)
로 계산하고, L은 가로리브 지간으로 한다.
설계는 위 ①, ②의 각각의 작용에 대해 강바닥판의 각 부분이 최대의 영향을
받는 재하상태에 대하여 실시한다.
또한, 이 경우의 응력의 합계에 대해서는 3.6.2.6에 대해 검산하여야 한다.
3.6.2.3 포장에 의한 하중분포
바닥강판 위에 재하하는 윤하중에 대해서는 여름철 포장의 연화를 감안하여 포장에 의한
하중의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다.
3-77
제 3 장 강교
구 분
여기서,
: 그림 3.6.6에서 거더인 간격(mm)
, : 그림 3.6.6에서 거더인 변곡점 사이의 거리(mm)
: 보강재의 전체 면적(mm2)
: 플랜지 판의 두께(mm)
가로보의 내민 부분에서는, 을 실제 길이의 2배로 취한다.
3.6.2.5 바닥강판의 최소두께
바닥강판의 최소두께 (mm)는 다음 식으로 구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3-78
3.6 바닥판
변곡점
등분포하중
실제응력분포
m ax
플랜지의 유효폭
변곡점 또는
단순지지점
or
3.6.2.6 허용응력의 증가
주거더의 일부로서의 작용 및 바닥판과 바닥틀로서의 작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들 응력
의 합계에 대하여 검산하는 경우의 항복응력이 기준이 되는 허용압축 및 인장응력은 표 3.6.4
에 표시한 값으로 한다. 그러나 표 3.6.4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는 별도로 고려키로 한다.
표 3.6.4 강재의 허용응력(MPa)
강 종 SM400 SM490Y SM570
강재 판두께(mm) SMA400 SM490 SM520 SMA570
SMA490
40 이하 200 270 300 380
40 초과 75 이하 280 365
180 245
75 초과 100 이하 275 350
강 종 SM490C-TMC SM520C-TMC SM570-TMC
강재 판두께(mm)
100 이하 270 300 380
강 종 HSB500 HSB600 HSB800
강재 판두께(mm)
80 이하 320 380 530
80 초과 100 이하 -
3.6.2.7 구조세목
(1) 강바닥판은 용접에 의한 변형이 작은 구조로 한다.
(2) 세로리브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로리브의 복부를 통하여 연속시키는 것이 좋
다. 한편 세로리브로부터의 전단력을 확실히 가로리브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하
여야 한다.
(3) 강바닥판의 온도차에 의한 영향은 아래 그림과 같은 온도분포를 고려하는 것으로 한다.
3-80
3.6 바닥판
3-81
제 3 장 강교
3-84
3.6 바닥판
3-85
제 3 장 강교
3.7 바닥틀
3.7.1 바닥틀의 지간
(1) 세로보의 지간은 세로보의 방향으로 잰 가로보의 중심간격으로 한다.
그림 3.7.1 세로보의 지간
그림 3.7.2 가로보의 지간
3-86
3.7 바닥틀
여기서,
: 세로보의 간격(m)
: 자동차의 후륜 또는 전륜하중
다만, 세로보의 간격이 1차선의 경우에 3.0m, 2차선의 경우에 4.2 m를 초과할 때
는 바닥판을 단순거더로 가정하여 계산한 세로보 위의 반력으로 한다.
② 외측의 세로보 또는 주거더
바닥판을 단순거더로 가정하여 계산한 세로보 위의 반력으로 한다. 4개 이상의
세로보가 있을 경우의 외측 세로보에 대한 윤하중의 반력은 다음의 값 이상이
어야 한다.
×
(3.7.2)
× ≤
여기서,
: 외측 세로보와 인접 내측 세로보 사이의 간격(m)
이 4.2 m 이상일 때에는 세로보 사이의 바닥판을 단순거더로 가정하여 계산
한 세로보 위의 반력으로 한다.
3-87
제 3 장 강교
3-88
3.7 바닥틀
3.7.5 바닥틀의 연결
(1) 연속거더로서 설계된 세로보와 가로보의 연결부는 계산 휨모멘트 및 전단력으로 설계
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연속세로보를 3.7.3의 (1)에 의해 설계하는 경우에는 3.7.3의
(1)로 구한 값을 쓰는 것으로 한다.
(2) 세로보를 가로보의 플랜지 위에 붙이는 경우에는 그림 3.7.3의 예와 같이 세로보의 가
로방향에 대한 강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3-89
제 3 장 강교
3.7.6 수직브레이싱
세로보 사이에는 3.8.8.1에 의하여 수직브레이싱을 설치한다.
3-90
3.8 플레이트 거더
3.8 플레이트 거더
3.8.1 적용범위
이 절은 형 단면, 형 단면 및 박스거더 단면의 주거더를 주구조로 하는 상부구조의 설계
에 적용한다.
3.8.2 설계일반
3.8.2.1 플레이트 거더의 휨응력
휨모멘트에 의한 플레이트 거더 단면의 휨응력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3.8.1)
여기서,
: 휨응력(MPa)
: 휨모멘트(N-mm)
: 휨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mm4)
: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mm)
그러나 인장플랜지에 볼트 등의 구멍이 뚫려 있을 경우에는 앞의 식 (3.8.1)에 의한 인장플
랜지 응력에 (인장플랜지 총단면적/인장플랜지 순단면적)을 곱해야 한다.
3.8.2.2 복부판의 전단응력
복부판의 전단응력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3.8.2)
여기서,
: 전단응력(MPa)
: 작용전단력(N)
: 복부판의 총단면적(mm²)
3-91
제 3 장 강교
=
(3.8.3)
여기서,
: 지점간의 부재길이(mm)
: 전단탄성계수(MPa)
: 순수비틀림상수(mm4)
: 탄성계수(MPa)
: 뒴비틀림상수(mm6)
3.8.2.4 합성응력의 검산
(1) 휨모멘트 및 휨에 따르는 전단력만 작용하는 단면에서 휨응력과 휨에 의한 전단응력이
모두 3.3.2.1에서 규정된 허용응력의 45 %를 초과할 경우에는 휨모멘트 및 휨에 따르는
전단력이 각각 최대로 되는 하중상태에 대하여 다음 식에 의한 검산을 거쳐야 한다.
(3.8.4)
+
≤
≤ ≤
≤ ≤
3-92
3.8 플레이트 거더
여기서,
= +
= + +
:휨응력(MPa)
:휨에 따르는 전단응력(MPa)
:순수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MPa)
:뒴비틀림에 의한 수직응력(MPa)
:뒴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MPa)
, :3.3.2.1에서의 허용인장응력 및 전단응력(MPa)
여기서,
, : 검산하는 곳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응력(MPa)
: 검산하는 곳에 작용하는 전단응력(MPa)
, : 3.3.2.1에 따른 허용인장응력과 허용전단응력(MPa)
다만, , 는 인장응력을 (+), 압축응력을 (-)로 한다.
3.8.3 플랜지
3.8.3.1 자유돌출부의 판두께
(1) 압축력을 받는 플랜지의 자유돌출부 판두께는 3.4.2.2의 규정에 따른다.
(2) 인장력을 받는 플랜지의 자유돌출부 판두께는 강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플랜지 자유돌
출부 폭의 1/16 이상으로 한다.
3-93
제 3 장 강교
b : 외측 플랜지판의 폭
t : 외측 플랜지판의 두께
그림 3.8.1 외측 플랜지
3-94
3.8 플레이트 거더
b
a ≥2
a ≥0.4t 단, a ≥7 mm
c ≥10t 단, c ≥100 mm
r ≥ 10B 단, r ≥ 10 mm
3-95
제 3 장 강교
① (지간중앙부) (3.8.7)
: =
⑤ (지간중앙부) (3.8.7)
연 : =
속 ③ (중간지점) (3.8.8)
거 : = +
더
⑦ (중간지점) (3.8.8)
: =+
: =
(3.8.7)
게 (지간중앙부)
르 ④
: =
(3.8.7)
버
거 ② (켄틸레버부) (3.8.8)
더 : =
3-96
3.8 플레이트 거더
≤ =
≤ =
여기서,
:플랜지의 한쪽 유효폭(mm)(그림 3.8.3)
:복부판 간격의 1/2 또는 플랜지 돌출폭(mm)(그림 3.8.3)
:등가지간장(mm)(표 3.8.1)
3-97
제 3 장 강교
3.8.3.5 바닥판 앵커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하는 플랜지에 전단연결재가 없을 경우에는 바닥판 앵커를 붙여야
한다.
3.8.4 복부판
3.8.4.1 플레이트거더의 복부판
플레이트거더의 복부판 두께는 표 3.8.2의 값 이상이 되어야 한다.
계산응력이 허용응력에 비해 작을 경우에는 표 3.8.2의 분모에
허용휨 압축응력의 상한치 계산휨 압축응력 값을 곱하되 이 값이 1.2배를 넘어서는 안된다.
수평보강재 2단을
사용할 때
수평보강재를 3단 이상 플레이트거더의
다만, 보강재로
최소복부판두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구분되는 패널의 국부좌굴응력은 3.4.2.3에 의하여
사용할 때 검토하여야 한다.
3-98
3.8 플레이트 거더
3-99
제 3 장 강교
3-100
3.8 플레이트 거더
강 종 HSB500 HSB600
수평보강재가 없을 때
수평보강재 1단을
사용할 때
수평보강재 2단을
사용할 때
플레이트거더의 최소복부판두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수평보강재를 3단 이상
다만, 보강재로 구분되는 패널의 국부좌굴응력은 3.4.2.3에 의하여
사용할 때
검토하여야 한다.
3-101
제 3 장 강교
3.8.5 수직보강재
3.8.5.1 수직보강재의 간격
수직보강재의 간격은 다음 식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결정하여야 한다. 다만, 지점부에서는
≤ 로 하고, 그 밖에는 ≤ 으로 한다.
3-102
3.8 플레이트 거더
[ f f ] + [ vv ] ≤ [ 1.25 (3.8.12)
2 2 2
cr cr
1
]
여기서,
a : 수직보강재의 간격(mm)
b : 상하 양플랜지의 순간격(mm)
t : 복부판의 두께(mm)
f : 복부판 연섬유 압축응력(MPa)
fcr : 복부판의 휨좌굴응력(MPa)
v : 복부판의 전단응력(MPa)
vc r : 복부판의 전단좌굴응력(MPa)
(5) 상하플랜지의 순간격이 표 3.8.5의 값 이하일 때는 수직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계산전단응력이 허용전단응력에 비해 작을 경우에는 표 3.8.5의 값에
허용전단응력 계산전단응력을 곱하되 이 값이 1.2배를 넘어서는 안된다. 이때 허용전
/
=
(3.8.13)
여기서,
:수직보강재가 없는 복부판의 허용전단응력(MPa)
:사용한 부재의 최소공칭항복응력(MPa)
표 3.8.5 수직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는 플랜지 순간격의 최댓값(mm)
SS400 SM490Y SM570
강 종 SM400 SM490 SM520 SMA570
SMA400 SMA490
상하 양플랜지의 순간격
3-103
제 3 장 강교
3.8.5.2 수직보강재의 강도
3.4.2.4 (3)항에 의해 계산한 수직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는 식 (3.8.14)로 구한 값 이상이어
야 한다.
=
⋅
(3.8.14)
여기서,
:수직보강재의 소요강비
=
:상하 양플랜지의 순간격(mm)
:수직보강재의 간격(mm)
:복부판의 두께(mm)
3.8.5.2 수직보강재의 강도
3.4.2.4 (3)항에 의해 계산한 수직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는 식 (3.8.14)로 구한 값 이상이어
야 한다.
=
⋅
(3.8.14)
여기서,
:수직보강재의 소요강비
=
:상하 양플랜지의 순간격(mm)
:수직보강재의 간격(mm)
:복부판의 두께(mm)
그림 3.8.6 수평보강재의 생략
3.8.6.4 수평보강재의 강종
수평보강재는 그 부착 위치의 복부판에 생기는 최대응력과 같은 응력이 발생한다고 보고
강재의 종류를 결정하여야 한다.
3.8.7 하중집중점의 보강재
3.8.7.1 하중집중점의 보강재
플레이트거더의 지점 및 가로보, 세로보, 수직브레이싱 등의 연결부와 같은 하중집중점에
는 반드시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지점부에 설치하는 수직보강재는 압축력을 받는 기둥
이라 보고 3.3.2.1에 규정한 허용축방향 압축응력에 따라 설계한다. 이때 보강재 전단면과
복부판 가운데 보강재 부착부에서 양쪽으로 각각 복부판 두께의 12배까지를 유효단면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유효단면은 보강재 단면의 1.7배를 넘어서는 안된다.
허용응력의 계산에 사용하는 단면회전반경은 복부판의 중심선에 대하여 구하고 유효좌굴
길이는 플레이트거더 높이의 1/2로 한다.
3.8.7.2 설계세목
(1) 보강재와 복부판과의 연결은 보강재가 집중하중 전부를 받는 것으로 보고 설계하여야
한다.
3-106
3.8 플레이트 거더
3-107
제 3 장 강교
3.8.8.2 수평브레이싱
(1) I형 단면의 플레이트거더교에서는 횡하중을 지지점에 원활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부 수
평브레이싱과 하부 수평브레이싱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로 플레이트거더
교에서 주거더가 강상판 또는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어 있어 횡방향 좌굴 등의
변형에 견딜 수 있을 때에는 상부 수평브레이싱을 생략할 수 있다. 지간이 25 m 이하이
면서 튼튼한 수직브레이싱이 있을 경우에는 하부 수평브레이싱에서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곡선교에서는 하부 수평브레이싱을 생략할 수 없다.
(2) 수평브레이싱의 뼈대선은 수평브레이싱면에 있어서 주거더의 뼈대선으로부터 현저하
게 편심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부득이 편심되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응력을 고
려하여야 한다.
3.8.9 중간다이아프램의 간격
3.8.9.1 일반
시공중 및 사용하중하에서 발생하는 단면의 뒤틀림 및 이때 발생하는 뒤틀림 응력을 억제
하기 위하여 박스거더 내부에 적절한 간격으로 중간다이아프램을 설치해야 한다.
3-108
3.8 플레이트 거더
3.8.9.2 중간다이아프램의 간격
그림 3.8.9에 주어진 형식을 갖는 중간다이아프램의 간격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
여기서,
: 중간다이아프램의 간격(m)
: 교량의 지간 길이(m)
(다) X형
그림 3.8.9 중간다이아프램의 형식
3-109
제 3 장 강교
3.8.10 기타 구조세목
3.8.10.1 솟음
지간 25 m 이상인 플레이트거더에서는 고정하중에 대하여 노면이 소정의 높이에 이를 수
있는 솟음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8.10.2 배수구멍
박스거더의 내부 온도차로 인한 결로 및 누수에 의한 물고임 방지를 위하여 배수구멍을
하부플랜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3-110
3.9 합성거더
3.9 합성거더
3.9.1 일반
3.9.1.1 적용범위
이 절은 강재 주거더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이 전단연결재에 의해 결합되어 주거더
와 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단면으로 하중에 저항하는 교량의 설계에 적용한다.
3.9.1.2 바닥판의 합성작용
(1) 주거더의 단면응력을 계산하는 경우 바닥판의 합성작용을 취급함에 있어서는 표 3.9.1
과 같이 한다. 전단연결재는 그림 3.9.1과 같이 주거더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 연속합성거더에서 표 3.9.1에 따라 설계를 하는 경우는 내부지점 부
근의 균열에 대해 방수층 등의 처리를 강구함과 동시에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의
부호가 변하는 부근에는 강한 하중분배 가로보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전단연결재의
배치 및 응력의 변동상태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그림 3.9.1 전단연결재의 배치
3-111
제 3 장 강교
표 3.9.1 합성작용의 취급
휨모멘트의 합성작용의 취급 적 용
종류
3.9.2 설계일반
3.9.2.1 바닥판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바닥판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는 27 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다만, 바닥판에
그림 3.9.2 와 를 취하는 방법
3-113
제 3 장 강교
3.9.3 허용응력
3.9.3.1 허용응력
합성거더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강재의 허용응력은 다음 규정에 따라야 한다.
(1) 바닥판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은 표 3.9.2와 같이 한다.
표 3.9.2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
하중의 조합 허용응력(MPa)
1) 바닥판으로서의 작용
1 주하중 2) 주거더 단면의 일부로서의 작용 0.4
3-114
3.9 합성거더
(3) 철근의 허용응력은 3.6.1.7의 규정에 따른다. 다만, 주거더 단면의 일부로서의 작용과
바닥판으로서의 작용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에는 허용응력을 20 % 증가할 수 있다.
(4) 강재의 허용응력은 3.2의 규정에 따르되, 하중의 조합을 고려하는 경우 강재 주거더의
허용응력은 표 3.9.4의 비율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표 3.9.4 강재 주거더의 허용응력 증가율
하중의 조합 증가율(%)
정모멘트부 부모멘트부
1 크리프의 영향과 건조수축의 영향을 0 0
제외한 주하중
압축연 15 0
2 주하중
인장연 0 0
3 주하중+바닥판 콘크리트와 압축연 30 15
강재주거더와의 온도차 인장연 15 15
압축연 25 25
4 가설시 하중
인장연 25 25
3-115
제 3 장 강교
3-116
3.9 합성거더
3.9.4 바닥판
3.9.4.1 일반
바닥판 설계는 이 절에 제시된 것 외에 3.6의 규정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3.9.4.2 전단력이 집중하는 부분의 구조
(1) 스터드와 같이 연성이 충분한 전단연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강철근을 배
치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하부 횡방향 철근이 스터드 머리 아래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2) 스터드의 배치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바닥판의 전단강도를 검토하여야 한다.
3.9.4.3 구조이음
바닥판 콘크리트에는 구조이음을 설치해서는 안된다.
3.9.4.4 합성작용을 줄 때의 바닥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바닥판 콘크리트에 합성작용을 줄 때에 바닥판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의 80% 이상 되어
야 한다.
3.9.5 전단연결재
3.9.5.1 전단연결재의 종류
(1) 전단연결재는 스터드를 표준으로 한다.
(2) 전단연결재는 전단력에 대하여 충분한 내하력을 가짐과 동시에 바닥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데 대해서도 유효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3) 피로설계시 적용할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높이/지름()비는 4.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3-117
제 3 장 강교
3.9.5.2 전단연결재의 설계
(1) 전단연결재는 각종 하중의 조합에 의한 강재 주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 사이의 전단력
이 가장 크게 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계하는 것으로 한다.
(2) 전단연결재의 설계에는 허용응력의 증가를 고려해서는 안된다.
(3) 전단연결재는 3.9.5.9에 따라 피로에 대비한 전단연결재 간격을 결정하고 3.9.5.10에 따
른 극한강도를 검토하여 설계할 수 있다.
3.9.5.3 바닥판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바닥판 콘크리트와 강재 주거더의 온도차에
의해서 생기는 전단력
(1) 바닥판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바닥판 콘크리트와 강재 주거더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생기는 전단력은 바닥판의 단부에서 주거더 간격 (가 /10 보다 큰 때에는 /10으
로 한다)의 범위에 있는 전단연결재에 부담시켜야 한다.
(2) 전단연결재의 계산에서 그림 3.9.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단력의 전부를 지점상에서 최
대로 되는 삼각형분포로 가정한다.
3-118
3.9 합성거더
3-119
제 3 장 강교
(3.9.4)
여기서,
: 스터드의 지름(mm)
: 반복회수 100,000에 대해 91
반복회수 500,000에 대해 74
반복회수 2,000,000에 대해 55
반복회수 2,000,000 이상에 대하여 39
(4) 전단연결재의 간격은 주거더 위의 한 단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모든 전단연결재의 허
용수평전단력범위의 합( )을 수평전단력범위 로 나누어 결정하며 다음의 식과 같
3-120
3.9 합성거더
여기서,
: 전단연결재의 간격(mm)
(N)
: 감소계수(0.85)
: 아래 주어지는 식에 따른 전단연결재의 극한강도(N)
3-121
제 3 장 강교
3-122
3.9 합성거더
여기서,
: 전단연결재의 극한강도(N)
: 전단연결재의 지름(mm)
: 설계기준압축강도(MPa)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MPa)
: 전단연결재의 단면적(mm2)
: 전단연결재의 인장강도(MPa)
3.9.5.11 스터드
(1) 합성거더에 사용되는 스터드 줄기의 지름은 19 mm, 22 mm 및 25 mm를 표준으로 한다.
(2) 스터드의 재질, 종류, 형상, 치수 및 그의 허용차 등은 표 3.9.6, 표 3.9.7, 표 3.9.8 등을
표준으로 한다.
표 3.9.6 화학성분
탈산형식 화학성분(%)
C Si Mn P S Al
Silicone chelate 0.2 이하 0.15~0.35 0.30~0.90 0.040 이하 0.040 이하 -
Aluminium chelate 0.2 이하 0.10 이하 0.30~0.90 0.040 이하 0.040 이하 0.02 이상
표 3.9.7 역학적 성질
항복점 또는 0.2% 내력(MPa) 인장강도(MPa) 신장률(%)
240 이상 410~560 20 이상
3-123
제 3 장 강교
3-124
3.10 트러스
3.10 트러스
3.10.1 적용범위
이 절은 주구조가 트러스인 상부구조의 설계에 적용한다. 스팬드럴 브레이스드 아치, 트러
스보강형 아치의 트러스부재 등은 이 장을 준용할 수 있다.
3.10.2 부재
3.10.2.1 일반
(1) 교량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반사항에 관한 것은 3.4의 규정에 따른다.
(2) 이 장은 트러스를 구성하는 부재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안전하게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계상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다.
3.10.2.2 부재 단면의 구성
(1) 단면의 구성에 있어서는 단면의 도심이 가능한 한 단면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고, 또
한 골조선에 일치하도록 배려하는 등, 2차응력이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부재의 조합에 있어서는 용접부가 좌우는 물론 상하로도 가급적 대칭인 위치에 오도록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으로 한다.
(3) 압축력을 받는 현재, 단부수직재 및 내부지점에 연결되는 사재 등은 원칙적으로 상자형
또는 π형 단면으로 하며, 또한 수직축에 관한 단면회전반경에 대한 세장비는 수평축에
관한 것보다 작게 하여야 한다.
(4) 상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에서 트러스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이하 복부판이라 부름)
의 단면적은 부재 총단면적의 4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3.10.2.3 부재의 길이
(1) 트러스 부재의 길이는 골조의 길이로 한다.
(2) 압축부재의 유효좌굴길이는 3.10.2.4의 규정에 따른다.
3-125
제 3 장 강교
그림 3.10.2 버팀부재가 있는 사재
(2) 트러스면 외
트러스면 외의 유효좌굴길이는 부재의 골조길이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3.10.5
에 규정된 수평브레이싱, 수직브레이싱 및 교문브레이싱에 의해 지지된 주트러스
현재 및 복부재는 그 지지점간을 유효좌굴길이로 하여도 좋다.
(3) 축력이 다른 트러스 부재의 면외 유효좌굴길이
그림 3.10.3에 표시된 부재 aa 와 같이 ab , ba 에 크기가 다른 압축력이 작용하고
트러스면 외에 버팀부재가 없는 경우, 부재 aa 의 트러스면 외에 대한 유효좌굴길
이 은 식 (3.10.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3.10.1)
여기서, , 는 부재 aa 의 각 절점간 ab , ba 에 작용하는 압축력이며
≥ 이다.
3.10.3 절점
3.10.3.1 일반
(1) 트러스의 절점은 힘의 전달이 합리적이면서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야 할 뿐
만 아니라, 가능하면 단순한 구조로 설계하여 각 부재의 연결이 쉽고, 또한 검사나 배
수, 청소 등의 유지작업이 지장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2) 부재로 강관을 쓰는 구조일 경우에는 3.13의 규정에 따른다.
3-128
3.10 트러스
3.10.3.2 거셋판
(1) 부재를 연결하는 거셋판의 고장력볼트는 가급적 부재축에 대칭이 되게 배치하여야 하
며, 또한 부재와 거셋판의 접촉면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야 한다.
(2) 주트러스 절점에서 현재의 복부판에 거셋판을 겹쳐 붙이는 구조로서 부재 양면에 거셋
판을 사용하는 경우, 그 거셋판의 두께는 강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음 식에 의해 계산
된 값을 표준으로 한다.
×
(3.10.3)
여기서,
: 거셋판의 두께(mm)
: 거셋판으로 연결되는 단주 또는 복부재에 작용하는 최대부재력(kN)
: 거셋판으로 연결되는 단주 또는 복부재의 거셋판 면에 접하는 부분의 폭(mm)
(3) 거셋판과 현재 또는 단주의 복부판을 일체로 하는 구조에서는 거셋판의 두께는 복부판
보다 얇게 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이 경우 식 (3.10.3)으로 계산되는 값 및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인장력을 받는 현재의 경우
(3.10.4)
≥
여기서,
: 거셋판 두께(mm)
: 거셋판과 일체가 되는 현재 또는 단주의 복부판의 두께(mm)
: 거셋판과 일체가 되는 현재 또는 단주의 복부판의 높이(mm)
: 그림 3.10.5에 표시된 필릿의 반지름(mm)
② 압축력을 받는 현재의 경우
이 경우에 식 (3.10.4)에 따르지 않아도 좋으나, 는 의 1/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129
제 3 장 강교
필릿반경
그림 3.10.5 필릿
3.10.4 다이아프램
(1) 트러스의 절점, 트러스 부재의 중간부에서 수평브레이싱 등을 연결하는 곳과 현장 이음
부의 양쪽에는 다이아프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현장이음부의 양쪽의 다이아프램
은 밀폐형으로 한다.
(2) 트러스의 받침부, 가로보의 연결부와 같이 집중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현재 및 거셋판에
는 다이아프램을 설치하여 힘의 전달이 확실히 되도록 하여야 한다.
3.10.5 브레이싱
3.10.5.1 일반
(1) 수평브레이싱, 수직브레이싱 및 교문브레이싱은 주트러스와 함께 교량이 입체적인 기
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고 그 배치가 적당해야 한다.
(2) 수평브레이싱이나 수직브레이싱에서 부재를 서로 교차시킬 경우에는 부재의 교점은 연
결되어야 한다.
3.10.5.2 수평브레이싱
(1) 트러스의 상현과 하현에는 각각 안정된 수평브레이싱을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3-130
3.10 트러스
3.10.5.3 수직브레이싱
(1) 트러스의 각 절점에는 수직브레이싱을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상로 트러스는 가로보와 하현재 사이의 전 높이에 걸쳐서 트러스로 엮어야 함을 원칙
으로 한다. 상로 트러스의 지점상의 수직브레이싱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트러스로
엮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또한 상현에 작용하는 횡하중의 전 반력을 지점에 전달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3.10.5.4 교문브레이싱
(1) 하로 트러스교의 교문브레이싱은 상현에 작용하는 횡하중의 모든 반력을 지점에 전달
하는 구조로서 가능한 한 상자형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여 단주 및 상현재의 플랜지에
직접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2) I형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주의 도심의 위치에 연결하고 다이아프램 등
을 이용하여 응력전달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131
제 3 장 강교
3.10.7 포니트러스
(1) 포니트러스의 수직재, 가로보 및 수직재와 가로보의 연결은 식 (3.10.5)에 의해 계산된
횡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 횡력은 트러스의 각 상절점에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3.10.5)
여기서,
: 횡력(kN)
: 상현재에 작용하는 최대 축방향 압축력(kN)
(2) 포니트러스 상현재의 수직축에 대한 단면회전반경은 수평축에 대한 단면회전반경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3-132
3.10 트러스
3.10.9 솟음
트러스에는 고정하중에 대하여 노면이 소정의 높이에 이를 수 있는 솟음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10.10 전체좌굴에 대한 검사
주트러스의 지간길이에 비하여 그 간격이 대단히 좁은 트러스교에서는 전체좌굴에 관하여
합리적인 방법으로 검사하는 것이 좋다.
3-133
제 3 장 강교
3.11 아 치
3.11.1 적용범위
이 절은, 아치교의 주구조의 설계에 적용한다. 아치교의 수평브레이싱, 교문브레이싱, 수직
브레이싱의 설계에는 3.4와 3.10에 정해진 각각의 항을 준용한다.
휨과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 또는 축방향력만을 받는 부재로서의 설계는 각각 해당하는
항에 정하여진 바에 의한다.
3.11.2 일 반
(1) 아치교의 아치부분의 부재축선은 골조선과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아치교의 구조해석에서 활하중에 의해 생기는 골조선의 모양의 변화는 이를 배려한
3.11.3의 규정에 의해 검사하여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아치의 모양과 부재 단면의 모양을 선정할 때에 아치로서의 면 내외의 전체좌굴이 생
기지 않도록 배려함과 동시에 부재는 휨모멘트와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로서도 안전하
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11.3 변위의 영향
1개의 아치구조당 고정하중 강도가 식 (3.11.1)으로 계산되는 보다 큰 아치교에서는 고정
하중과 활하중을 재하함에 따라 생기는 골조선의 변위 영향을 고려하여 주구조를 설계하여
야 한다. 그러나 보강 거더에 축방향력이 생기는 아치교에서는 이를 무시해도 좋다.
= ․ ․
(3.11.1)
여기서,
: 탄성계수(MPa)
: 아치면내의 휨에 대한 편측 아치부재의 단면2차모멘트의 평균치( ), 보강
3-134
3.11 아 치
여기서,
(1) = + (3.11.2)
:보강거더 측경간의 지간길이(mm)
:아치의 지간길이(mm)
:아치 면내의 휨에 대한 편측 아치부재의 단면2차모멘트의 평균치( mm )
3-135
제 3 장 강교
3-136
3.11 아 치
여기서,
:편측 아치부재의 연직축 주위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의 평균값(mm4)
:편측 아치부재의 총단면적의 평균값(mm²)
:아치축선의 간격(mm)
:표 3.11.2에 표시한 값, 여기서 f / L 의 중간값에 대해서는 직선적으로 보
간한다.
표 3.11.2 의 값
아치높이의 비
0.05 0.10 0.20 0.30 0.40
단 면
i 하로보강아치
k
ii 상로보강아치
(3.11.5)
k
iii 중로보강아치
3-137
제 3 장 강교
3.11.5 아치부재의 설계
아치부재는 축방향력과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로서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휨모멘트와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의 설계는 3.4.3에서 정한 규정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2) 3.3.2.1에 규정한 환산 휨모멘트의 계산에 있어서는 부재 단면의 도심 골조선에 대한 편
심량 및 부재축선이 곡선을 이루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절점을 잇는 직선과 부재축선
과의 간격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절점의 휨모멘트보다 절점간 중앙점의 휨모멘트
가 크다면 큰 것을 환산 휨모멘트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아치 곡선이 연속 곡선인 경
우 서로 인접하는 절점을 잇는 직선과 아치축선과의 절점간 중앙점에 있어서의 간격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
(3.11.6)
여기서,
:아치축선과 서로 인접한 절점을 잇는 직선과의 간격(mm)
:아치의 높이(mm)
:절점수
3.11.6 극한강도의 검사
3.11.3의 규정에 의하여 변위의 영향을 고려할 경우 고정하중의 1.7배 및 충격을 포함한
활하중의 1.7배에 의해 생기는 응력은 식 (3.11.8)에 나타낸 응력 를 넘어서는 안된다.
= 인장응력의 경우
(3.11.8)
압축응력의 경우
여기서,
:표 3.3.1에 나타낸 허용축방향인장응력(MPa)
: 표 3.4.3, 표 3.4.4 및 표 3.4.6에 나타낸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MPa)
3.11.7 행어 또는 지주
행어 또는 지주의 단면력을 계산할 때는 이들 양단에서 아치면내의 변형에 대해서는 핀이
라고 가정해도 된다. 행어 또는 지주를 보강거더 또는 아치리브에 연결시키는 세부구조의
설계에 있어서는 연결부에 응력집중이나 2차응력의 발생으로 인한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11.8 처 짐
처짐의 허용량은 3.2.3에 의한다. 처짐의 계산에 있어서는 3.11.3에 규정된 활하중에 의해
생기는 골조선 형상의 변화를 무시해도 좋다.
3-139
제 3 장 강교
3.12 케이블
3.12.1 적용범위
(1) 이 절은 사장교, 현수교 및 아치교 등의 교량구조물에 사용하는 강선 또는 강봉으로 구
성된 주케이블과 행어에 적용된다.
(2) 이 절은 주케이블 및 행어를 설계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설계사항을 규
정한 것으로서 각종 실험과 연구 등의 합리적인 방법으로 상세검토를 시행하는 경우에
는 이 절에 규정된 사항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3.12.2 주케이블 및 행어의 종류
(1) 주케이블 및 행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① 스트랜드 로프
② 록코일 로프(LCR)
③ 평행강선 케이블
④ PS 강연선 케이블
⑤ PS 강봉 케이블
(2) 스트랜드 로프는 현수교 및 사장교의 주케이블로는 사용할 수 없다.
3.12.3 강선 및 강봉
로프 및 케이블용 강선 및 강봉은 다음의 KS 규격을 따른다.
(1) 로프 : KS D 3510 경강선, KS D 3559 경강선재, KS D 3514 와이어로프
(2) 평행강선 케이블 : KS D 3509 피아노선재, KS D 3556 피아노선
(3) PS 강연선 케이블 : KS D 7002 PC 강선 및 PC 강연선
(4) PS 강봉 케이블 : KS D 3505 PC 강봉
3-140
3.12 케이블
3.12.4 탄성계수
(1) 설계에 사용하는 로프 및 케이블의 재료적인 탄성계수는 표 3.12.1에 표시된 값을 표준
으로 한다.
표 3.12.1 로프 및 케이블의 재료적인 탄성계수
종 류 탄성계수(MPa)
스트랜드 로프 ×
록코일 로프(LCR) ×
평행강선 케이블 ×
PS 강연선 케이블 ×
PS 강봉 케이블 ×
3.12.5 허용응력
(1) 주케이블 및 행어의 허용응력은 강선 또는 강봉의 인장강도 에 대해 다음 값으로 규
정한다.
① 사장교용 주케이블 0.45
③ 행어 - 직선부 0.33
- 곡선부 0.25
(2) 가설시의 주케이블 및 행어의 허용응력은 (1)항에 규정한 허용응력에 증가계수 1.25를
곱한 값으로 한다.
3-141
제 3 장 강교
3.12.6 피로설계
(1) 케이블의 피로설계는 트럭하중 또는 풍하중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트럭하중 재하시에
는 충격계수를 고려하여야 하며 충격계수 결정시 식 (2.1.2)의 L은 케이블에 최대인장응력
을 발생시키는 재하길이로 한다. 다만 현수교의 주케이블에는 충격을 고려하지 않는다.
(2) 케이블의 피로검토시 하중재하에 의한 최대변동응력범위가 표 3.12.2에 표시된 허용피
로응력범위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때 하중반복횟수는 트럭하중 조합시 2
백만회, 풍하중 조합시 10만회로 한다.
(3) 케이블 정착구의 허용피로응력범위는 사용하고자 하는 케이블 정착구에 대해서 국제적
으로 공인된 시험기관의 피로시험을 통하여 그 값이 인증되어야 한다.
표 3.12.2 케이블 및 정착구의 허용피로응력범위
케이블 종류 반복횟수 허용피로응력범위(MPa)
• 스트랜드 로프 91
• 록코일 로프(LCR) ✕
250
(상세범주 'C') ✕
• 연결부가 있는 PS 강봉 케이블 2)
✕ 70
(상세범주 'D') ✕ 196
주 : 1) PS 강봉이 전 길이에 걸쳐 일체로 제작되어 연결부가 없는 경우
2) PS 강봉의 연결을 위하여 커플러(coupler)를 사용하는 경우
3-142
3.12 케이블
3.12.7 케이블의 진동
(1) 케이블 또는 행어는 설계단계에서 풍우진동(rain-wind induced vibration)을 포함한
바람에 의한 진동과 주탑이나 주거더의 진동에 의한 지점가진 진동에 대해서 검토하여
야한다.
(2) 검토결과 케이블의 유해진동 가능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진동 저감방안을 수
립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3.12.8 온도하중
(1) 케이블과 주거더 및 주탑에 작용하는 온도변화의 영향은 2.1.12의 규정에 따른다.
(2) 케이블을 사용하는 구조물에서는 케이블과 주거더 또는 케이블과 주탑의 온도차에 의
한 영향을 설계에 고려하여야 하며, 그 값은 케이블의 표면이 흰색이나 밝은 색일 경우
에는 8 ℃, 검정색일 경우에는 22 ℃를 표준으로 한다.
3-143
제 3 장 강교
(3) 방식
주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해서 적절한 방식방안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밴드 부
분, 새들 부분, 정착 부분에서는 방수에 대하여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4) 케이블 밴드
케이블 밴드는 케이블을 균일하게 조이고, 조이는 힘의 감소가 가능한 한 적은 구
조로 하여야 한다.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3.5를 표준으로 한다.
3.12.10 사장교용 케이블의 구조세목
(1) 정착
① 공장에서 조립 제작되는 케이블은 소켓에 의하여 정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다만 현장에서 직접 조립 설치하는 케이블은 정착판에 의하여 정착한다.
② 주케이블의 정착부에는 가설시 또는 완공 후의 장력 또는 솟음(camber) 조정을
위한 별도의 조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방식
① 주케이블의 방식을 위해서 이를 구성하는 개개의 강선 또는 강봉에 대한 방식방
안과 주케이블의 표면에 대한 방식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② 주케이블에는 가급적 복수 이상의 방식방안을 실시하여 완벽한 방식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 진동저감장치
케이블의 진동저감장치로 댐퍼를 설치할 때 설치위치는 케이블의 새그(sag) 변화를
고려하여 충분한 유격(stroke)이 확보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설치 후 현장 검측을
실시하여야 한다.
3-144
3.13 강관구조
3.13 강관구조
3.13.1 적용범위
이 절은 강관부재를 사용하는 상부구조 및 강재교각의 설계에 적용하며 부재의 최소두께
는 3.4.1.3에 준한다.
3.13.2 강재
강관구조에 사용하는 강재는 다음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1) 기성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3.13.1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표 3.13.1 기성 강관의 규격과 종류
규격번호 및 명칭 강 종
KS D 3566 STK400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TK490
STK500
KS D 3780 STKT590
철탑용 고장력강 강관
(2) 4종 STK490의 인장강도의 상한치는 시험편을 띠강 또는 강판으로부터 채취했을 경우
620 MPa, 강관으로부터 채취했을 경우 650 MPa로 한다.
제작방법에 따르는 강관의 종류와 그 선정방법은 표 3.13.2에 의한다.
표 3.13.2 강관의 선정
부 재 제조방법에 따르는 분류 강 종
주요부재 아크 용접강관 STK400, STK490, STK500, STKT590
전기저항 용접강관
아크 용접강관 STK400, STK490, STK500, STKT590
2차부재 전기저항 용접강관
이음매 없는 강관 STK400
단접강관
3-145
제 3 장 강교
3-147
제 3 장 강교
여기서,
: 강관의 반지름(중심으로부터 연단까지의 거리)(mm)
:강관의 판두께(mm)
=+
-
= ≤ ≤
휨에 의해 강관에 압축이 발생한 쪽의 합응력(MPa)
:
다만, 부호는 압축응력을 부(-)로 한다.
:휨에 의해 강관에 인장이 발생한 쪽의 합응력(MPa)
3-148
3.13 강관구조
표 3.13.5 허용전단응력
강관의 허용전단응력(MPa)
강 종 판두께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보강재를 설치
(mm) 하지 않는 경우
SS400 40 이하
-
: ≤
- :
SM400
≤
50
SMA400
STK400
40 초과 -
: ≤
100 이하 - :
≤
40 이하
-
: ≤
- :
SM490
≤
60
STK490 -
40 초과
: ≤
100 이하 - :
≤
40 이하
-
: ≤
- :
≤
SM490Y
SM520 40 초과 -
: ≤ -
SMA490 75 이하 - :
≤
STK500
75 초과 -
: ≤
100 이하
- :
≤
- ≤
:
40 이하
- :
≤
SM570 40 초과
-
: ≤ -
SMA570 75 이하 - :
≤
75 초과 -
: ≤
100 이하 - :
≤
STKT590 40 이하
-
: ≤ -
- :
≤
3-149
제 3 장 강교
표 3.13.5 허용전단응력(계속)
강관의 허용전단응력(MPa)
강 종 판두께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보강재를 설치
(mm) 하지 않는 경우
:
SM490C-TMC 100 이하
-
≤ -
-
: ≤
: ≤
SM570-TMC 100 이하
-
-
-
: ≤
: ≤
HSB800 80 이하
-
-
-
: ≤
3-150
3.13 강관구조
여기서,
:수직응력(MPa). 압축응력과 휨압축응력의 합을 취한다.
:전단응력(MPa)
:(1)항에 규정한 수직응력에 대한 허용응력(MPa)
3.13.4 보강재
(1) 보강재의 최대간격
강관부재에는 전단 및 비틀림에 의한 좌굴 또는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환
보강재(環補剛材) 또는 다이아프램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그 최대간격은
바깥지름의 3배로 한다.
다만, ≤ 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보강재를 생략할 수도 있다.
(2) 환보강재의 강도
환보강재의 폭과 두께는 식 (3.13.2)를 만족하여야 한다.
≥ +
(3.13.2)
≥
여기서,
:환보강재의 폭(mm)
:환보강재의 두께(mm)
:강관의 바깥지름(mm)
그림 3.13.1 환보강재
3-151
제 3 장 강교
3.13.5 강관의 연결
강관과 강관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고장력볼트 또는 용접에 의한 직접 연결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2차부재로 부득이한 경우에는 플랜지 연결로 할 수도 있다.
부재축방향이 다르거나 강관과 다른 모양의 단면을 갖는 부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거셋
판 연결 또는 가지연결로 한다.
3.13.6 구조세목
3.13.6.1 직접연결
강관의 직접연결에 고장력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장력볼트의 배치는 등방성을 유지하
고 응력의 불균등한 전달을 피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해야 하며 선간거리 및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거셋판의 분할은 4개소 이내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13.6.2 플랜지 연결
플랜지 연결은 2차부재로 사용되는 지름이 작은 강관의 연결수단으로 채택하며, 연결방법
은 겹플랜지 연결(그림 3.13.2(b)) 또는 리브가 붙은 플랜지 연결(그림 3.13.2 (a))로 한다.
다만, 리브가 없는 플랜지 연결을 적용해서는 안된다.
3-152
3.13 강관구조
3.13.6.3 거셋판 연결
(1) 거셋판을 주관의 축방향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관통거셋판으로 하거나 리브를 붙여서 주
관을 보강하여야 한다(그림 3.13.3(a), (b)). 다만 수직브레이싱에서처럼 지관에서의 힘이
비교적 작고 또한 그것이 주관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거셋판
관동거셋판
거셋판
거셋판
≥
(a) (b) (c)
그림 3.13.3 거셋판 연결
≤
a ≤ ≥
b ≥
c ≥ °
3.13.6.5 절점구조
(1) 이 조항은 아치, 보강아치 등의 주구조부재나 라멘교각의 기둥 등에 지름이 큰 강관을
사용했을 경우, 그 구조물들의 절점부나 받침부에 관하여 규정한다.
(2)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절점부나 받침부에서는 강관의 국부적인 변형을 막기 위하여 환
보강재 또는 칸막이를 설치하여 보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보강재는 식 (3.13.3)을 만족할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
(3.13.3)
여기서,
:절점부의 변형량(mm)
:강관의 반지름(mm)
3-154
3.13 강관구조
(a) (b)
그림 3.13.6 환보강재의 구조
3-155
제 3 장 강교
여기서,
:강관의 유효폭(mm)
:강관의 두께(mm)
3.13.6.6 단일강관부재
(1) 강관을 세장비가 큰 행어, 지주 또는 트러스 부재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진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강관의 바깥지름이 식 (3.13.6)을 만족시켜야 한다.
다만, 특별히 진동에 대한 대책을 고려한 후 그 효과를 풍동시험 등으로 확인한 경
우나 또 수평브레이싱처럼 직접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재에 대해서는 예외로
한다.
≥
단 ≥
(3.13.6)
여기서,
:부재의 길이(m) 또는 유효좌굴길이(m)
:강관의 바깥지름(m)
:강관의 두께(mm)
(2) (1)조항의 규정에 따라서 설계된 강관부재의 단부를 용접이음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
주용접을 해야 하고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필릿용접으로 하여야 하며, 가 l/25 이하
인 것에 대해서는 그림 3.13.8과 같이 V형 용접으로 하여야 한다.
(3) 부득이 거셋판이나 리브를 붙일 경우 그 앞부분은 피로강도가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3.13.6.3의 규정에 의한 용접을 한 후 매끈하게 다듬질하여야 한다.
3-156
3.13 강관구조
:강관의 지름(m)
:직선부재의 길이(m)
:아치의 곡률반경(m)
그림 3.13.9 굴곡관
3-157
제 3 장 강교
3.14 라멘구조
3.14.1 적용범위
이 절은 라멘구조를 사용한 상부구조 및 교각의 설계에 적용한다.
3.14.2 구조해석의 기본사항
(1) 구조해석에 이용하는 골조선은 부재중심선으로 하며, 라멘의 계산에 있어서는 각 부재
마다 강도를 가정하여 단면력을 계산한다.
(2) 라멘교각의 활하중은 상부구조의 반력이 라멘의 고려하는 점에 대해서 가장 불리하게
되도록 상부구조에 재하하며, T형교각의 경우에는 상부구조의 활하중에 의한 최대반력
을 사용해도 좋다. 이때 상부구조가 라멘교각상에서 연속구조가 아닌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의한 지점반력 가운데 고려하는 점에 큰 영향을
주는 쪽을 사용한다.
(3) 강 라멘교각의 설계에서는 활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풍하중은 2.1.11
에 규정된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 결정 기준에 준하며, 기초구조의 회전이나 상대
적 이동이 예상될 때 그 영향을 고려한다.
3.14.3 설계일반
3.14.3.1 모서리부 설계
(1) 설계휨모멘트
모서리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그림 3.14.1의 A-A 단면에 대해 , B-B 단면에
3-158
3.14 라멘구조
3-159
제 3 장 강교
∙ 전단지연에 의한 수직응력
= ․ ․
(3.14.2)
×
∙ 플랜지의 최대수직응력
m ax = + (3.14.3)
여기서,
:거더 및 기둥에 작용하는 휨모멘트(N․mm)
:거더 및 기둥에 작용하는 축방향력(N)
:거더 및 기둥에 작용하는 전단력(N)
: , , , 의 응력 즉, 거더와 기둥의 외측 및 내측 플랜지의 휨
3-160
3.14 라멘구조
1.2
0.9
SI 0.6
0.3
0.0
0.0 0.5 1.0 1.5 2.0
S ( = A w /A f )
(a) 실제 단면(
)
(b) 환산 단면
그림 3.14.4 원형기둥의 모서리부
③ 복부판의 판두께는 전단응력에 의해 결정되며, 허용전단응력 이하가 되어야
3-161
제 3 장 강교
(3) 다이아프램
① 박스형단면 모서리부의 다이아프램에는 모서리부의 플랜지와 동일한 두께의 판
을 사용한다.
모서리부의 다이아프램에 맨홀을 설치할 경우 단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고 단면손실분을 리브로 보강한다. 이 리브와 다이아프램의 필
릿용접은 응력을 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를 취하여야 한다.
② 원형단면 모서리부의 다이아프램 규격은 응력검토결과에 따라 정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는 다이아프램의 응력계산을 생략해도 좋으
며, 이때 재질은 거더 플랜지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가) ≤ mm
(나) ≤ mm
(다) ≤
(라) ≥ 또는
=
(마) ․ ≥
여기서,
:원형기둥의 반경(mm)
:맨홀의 반경(mm)
:거더의 플랜지 두께(mm)
:다이아프램의 복부판 두께(mm)
:다이아프램의 플랜지 두께(mm)
:다이아프램의 플랜지 폭(mm)
:다이아프램의 복부판 높이(mm)
3-162
3.14 라멘구조
3.14.3.2 기둥 기초부의 설계
(1) 설계 기본방침
교각 기둥기초부의 설계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하면의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저
항하고, 인장력에 대해서는 앵커볼트 및 앵커프레임이 저항하는 것으로 한다.
(2) 베이스부의 설계
① 앵커볼트의 인장응력 및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은 합성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고
려하여 계산하며, 원형단면의 경우는 속빈 원형단면의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계
산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기둥기초부에 작용하는 수평력은 앵커볼트가 저항하는 것으로 하며, 그 전단력
은 모든 앵커볼트에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한다.
③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결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설계는 특별히 엄밀한 해석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식
에 의해 구하는 것으로 한다.
3-163
제 3 장 강교
그림 3.14.6 리브의 설치
= (3.14.4)
여기서,
: 베이스플레이트가 받는 휨모멘트(N-mm/mm)
: 계수
앵커볼트 구멍이 있는 구획 =
앵커볼트 구멍이 없는 구획 =
: 베이스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최대등분포압축력(MPa)
: 리브의 내측간격
: 계수(표 3.14.1)
m
(3.14.5)
여기서,
: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두께(mm) ≥25 mm
또한 앞 식에 의해 결정되는 판두께에 대해서는 전단응력에 대한 검토를 해야
한다. 베이스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전단력()는
= (3.14.6)
3-164
3.14 라멘구조
여기서,
:계수(표 3.14.2)
표 3.14.1 휨에 대한 계수
b/ a 0.6 0.7 0.8 0.9 1.0 1.25 1.5 이상
0.0728 0.0764 0.0793 0.0817 0.0834 0.0847 0.0823
표 3.14.2 전단력에 대한 계수
0.6 0.7 0.8 0.9 1.0 1.25 1.5 이상
0.750 0.717 0.685 0.656 0.628 0.570 0.527
④ 상하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리브를 설치하며, 리브의 판두께는 앵커볼트로부
터의 압축력, 전단력 그리고 편심에 의한 휨모멘트를 검토하여 결정한다.
(3) 앵커프레임의 설계
① 앵커프레임은 베이스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확실하게 기초콘크리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② 앵커빔에는 앵커볼트 위치를 지점으로 한 연속 거더로서의 응력이 작용하고 앵
커빔의 상부플랜지에는 콘크리트의 지압에 의한 판으로서의 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③ 앵커빔에 작용하는 볼트축력은 복부판과 다이아프램의 지압에 의해 받는 것으
로 한다. 이때 다이아프램의 간격은 너트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 중 작은
것을 표준으로 한다.
④ 플랜지 판두께
(가) 판구조에 대한 계산
그림 3.14.7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지압을 검토할 경우, Ⓐ부분은 4변고정으
로 Ⓑ부분은 3변고정, 1변자유인 판으로 보고 응력검토를 한다.
3-165
제 3 장 강교
(나) 거더의 휨에 대한 계산
콘크리트의 지압에 대해서 볼트위치를 지점으로 고려하여 거더의 휨모멘
트를 계산하고 그에 따른 앵커빔 단면의 휨에 대하여 응력을 검토한다. 이
때 그림 3.14.8에서와 같이 볼트구멍을 공제한 사선부분의 단면만을 고려
한다.
(다) 합응력
콘크리트의 지압을 받는 플랜지의 판두께는 (가)항과 (나)항에서 계산한
응력의 합으로 검토하여 판두께를 결정한다.
⑤ 전단저항면
인장력을 받는 앵커볼트군의 인발력에 대해서는 콘크리트의 전단저항면을 고려해
야 한다. 이때 콘크리트의 허용전단응력은 주하중에 대해서 = 0.5 MPa로 한다.
3.14.3.3 부 재
(1) 거더 및 기둥
① 부재의 판두께 변화는 그림 3.1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변
화를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더 및 기둥의 단면변화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 단면수는 거더의 경우 거더의 전장, 기둥의 경우 각 기둥의
층별 높이에 적용한다. 또한 모서리부 단면은 이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166
3.14 라멘구조
A-A
3-167
제 3 장 강교
(2) 베이스부
①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는 25 mm 이상이어야 한다.
② 와셔의 두께는 22 mm를 표준으로 한다.
③ 앵커볼트의 지름은 50 mm 이상이어야 한다.
④ 와셔의 지름은 앵커볼트 지름의 2배 정도로 한다.
⑤ 기둥의 외측 연단과 앵커볼트 중심까지의 거리는 200 mm 이상으로 한다.
(3) 앵커프레임
앵커프레임과 베이스부 사이에는 설치시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최소로 필요한 범
위내로 적절한 높이조절용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다이아프램
① 상부구조 교량받침부에는 상부반력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다이아프
램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② 교량받침부 이외의 일반부에 있어서는 5 m 이내의 간격으로 중간다이아프램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원형 단면 기둥의 경우 외경의 3배 이내로
설치한다.
③ 원형단면 모서리부의 다이아프램은 그림 3.14.5와 같이 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가) 다이아프램의 맨홀 지름은 원형단면 기둥외경의 1/2을 표준으로 한다.
(나) 다이아프램의 내측(맨홀측)에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다이아프램의 판두께
는 플랜지 두께 이상으로 한다.
(5) 종리브
① 상자형단면의 플랜지 또는 복부판에는 좌굴방지를 위한 종리브를 설치한다.
② 기둥단면에 사용하는 종리브의 재질은 플랜지 또는 복부판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③ 상자형단면의 폭 또는 높이가 1,500 mm 이하인 경우 종리브는 단면결정시 고려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이 경우 종리브는 연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이
음부에 있어서는 판의 국부좌굴에 대해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3-168
3.14 라멘구조
3.14.3.4 허용응력의 증가
라멘구조부의 허용응력증가는 3.3.1의 규정에 따른다.
3.14.4 구조세목
3.14.4.1 맨 홀
맨홀은 내부에 우수가 침투되지 않는 구조로 하고 강도 및 외관상 큰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하도록 한다.
맨홀의 위치는 기둥의 경우 지상으로부터 2 m 이상인 위치에, 거더의 경우는 거더의 선단
혹은 상부 플랜지의 단면이 여유가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맨홀의 최소치수는
400 mm × 600 mm로 한다.
3.14.4.2 교량받침의 설치
강재 교각상에 설치하는 교량받침은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교량받침의 용접은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교량받침 사이의 높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
용한다.
① H < 130 인 경우 판받침 사용
② H > 130 인 경우 상자형받침 사용
다만, 용접목두께가 12 mm를 초과하는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볼트로 연결한다.
(2) 상향력이 작용하는 교량받침부의 용접은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3-169
제 3 장 강교
2층 이상의 기둥 = ≤
(그림 3.14.11⑦-⑧) = + -⋅ ≤
여기서,
=
L L
L h ⑦ ⑧ h ⑩
h ⑨
h ① ② h ③ ④ h ⑤ ⑥
3-170
3.14 라멘구조
규정에 따라 구한다. 그러나 특수한 구조형식의 라멘이나 단면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로 엄밀한 검토를 해야 한다.
3.14.6 합성응력의 검사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이 각각 허용응력의 45% 이상인 경우, 강재교각의 경우는 식 (3.14.7),
앵커프레임이나 베이스플레이트와 같은 기둥기초부의 경우는 식 (3.14.8)에 의해 검토하여야
한다.
(3.14.7)
+ ≤
(3.14.8)
+ ≤
≤ ≤
여기서,
:휨응력(MPa)
:전단응력(MPa)
, :3.3.2.1에서의 허용 인장 및 전단 응력(MPa)
3.14.7 라멘교의 처짐
라멘교의 활하중(충격을 포함하지 않음)에 의한 최대처짐은 다음 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 (3.14.9)
여기서,
:활하중(충격을 포함하지 않음)에 의한 최대처짐(mm)
:지간(mm)(그림 3.14.12 참조)
3-171
제 3 장 강교
그림 3.14.12 라멘교의 처짐
3.14.8 라멘교각의 처짐
주거더를 라멘교각으로 받칠 경우 활하중(충격을 포함하지 않음)에 의한 라멘교각의 최대
처짐은 다음 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 또는 + 중 큰 쪽 ≤ + +
(3.14.10)
그림 3.14.13(a)의 경우
≤
(3.14.11)
≤ (3.14.12)
그림 3.14.13(b)의 경우
≤ (3.14.13)
≤ (3.14.14)
3-172
3.14 라멘구조
(a)
(b)
:라멘 가로보의 주거더 위치에서의 처짐
:주거더의 처짐
그림 3.14.13 라멘교각의 처짐
3-173
제4장 콘크리트교
제 4 장 콘크리트교
4.1 일반사항
4.1.1 적용범위
이 장은 지간이 200m 이하인 보통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교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
리트교의 상부구조에 주로 적용한다. 다만 기둥부재의 설계 규정으로부터 라멘교의 교각 등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부재의 설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4.1.2 용어의 정의
(1) 가로보(cross beam) : 주거더에 직각 또는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이며, 교량의 바
닥틀에서 주거더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보, 혹은 다주형 박스거더에서 박스
간의 원활한 횡분배를 위하여 설치하는 횡방향 보
(2) 갈고리 : 철근의 정착 또는 겹침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의 구부린 부분. l80˚ 표준갈고리,
90˚ 표준갈고리 및 135˚ 표준 갈고리가 있음
(3) 강재 : 콘크리트 구조물에 쓰이는 철근 및 PS강재
(4) 강재의 인장강도 : 한국산업규격(KS)에 규정되어 있는 인장강도의 최소값. PS강선 및
PS강연선에서는 인장하중의 최소값
(5) 강재의 항복점 : 한국산업규격(KS)에 규정되어 있는 강재의 항복점 또는 내력의 최소
값. PS강선 및 PS강연선에서는 0.2 % 영구늘음에 대한 하중의 최소값
(6) 격벽 : 단면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거더에 배치하는 횡방향 보강재, 다이아프램, 단
일 박스 또는 다중 박스거더의 받침점부나 경간 내에 비틀림 등에 저항하기 위하여 설
치하는 칸막이 벽
(7) 격자이론 : 주거더 사이에 가로보를 넣어 주거더와 가로보의 결합에 의한 격자구조로
가정하여 격점의 처짐과 비틀림각의 관계에서 격점력을 찾아내는 이론 해석방법
4-1
제 4 장 콘크리트교
4-5
제 4 장 콘크리트교
4-6
4.1 일반사항
4-7
제 4 장 콘크리트교
(96) 표피철근 : 전체 깊이가 900 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
로 인장연단으로부터 전체깊이/2 지점까지 배치하는 철근
(97) 폐쇄부(closure) : 한 경간을 완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세그먼트
(98) 프리스트레스 : 외력의 작용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할 목적으로 미리 계획적으로 콘
크리트에 준 응력
(9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킨 콘크리트를 말하며 PS 콘크리트 또는
PSC라고 약칭하기도 함
(100) 프리스트레스 힘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 단면에 작용하는 힘
(101) 프리스트레싱 :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102) 프리텐션 방식 :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내의 소정 위치에 PS강재를 긴장시켜 놓
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치며,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에 긴장력을 풀어주어 PS강재
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
(103) 프리컴프레션(precompression) 구역 : 휨부재 단면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서
압축을 받는 부분
(104) 피복(housing) : 접속구나 이음부의 필요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접속구나
이음부를 포용하여 둘러싸는 피복
(105) 피복두께 : 철근, PS강재 또는 쉬스의 표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106) 합성거동 : 2개 또는 그 이상들의 요소 또는 부재들이 그들 사이의 상대운동이 없거
나 또는 매우 작아서 함께 거동하도록 만들어진 조건
(107) 헌치 : 지지보와 바닥판의 연결부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바닥판의 두께를 증가시킨
부분
(108) 횡방향 연결부 : 구조물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바닥판
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절단 부위
(109) 횡방향철근 : 부재축에 직각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으로 기둥부재의 띠철근 혹은 나
선철근 그리고 보부재의 스터럽 등
4-8
4.1 일반사항
4.1.3 기호
: 에서 지압판의 개구부 면적을 뺀 지압판의 유효지압면적, 지압을 받는 재하면
적(mm2)
: 지지하는 콘크리트의 전면적, 전단전달에 저항하는 콘크리트의 단면적(mm2)
: 중간 정착부에서 정착판, 돌출 정착부 측면으로 연장되는 범위내에 연속되는 단
면의 면적으로 돌출부 또는 리브 면적은 단면의 일부로서 고려되지 않음(mm2)
: 콘크리트 단면의 바깥 둘레로 둘러싸인 단면적으로 뚫린 단면에서도 뚫린 면적
을 포함함(mm2)
: 브래킷이나 코벨에서 계수모멘트 에 저항하는 철근의 단면적(mm2)
4-9
제 4 장 콘크리트교
E s : 철근의 탄성계수(MPa)
4-11
제 4 장 콘크리트교
(MPa)
: 허용지압응력(MPa)
: 정착장치 앞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콘크리트의 허용휨압축응력 또는 허용압축응
력(MPa)
: 중간 정착부 후방구역에서의 압축응력(MPa)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보의 고정하중과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발생하는 PS
강재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평균 압축응력(MPa)
′ :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MPa)
: 프리스트레싱 당시 존재하는 고정하중을 제외한 모든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PS강재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평균 압축응력(MPa)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MPa)
: 콘크리트의 28일 평균압축강도(MPa)
: 외부 작용하중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단면의 최외연에서의 사용 고정하중
에 의한 응력(MPa)
: 활하중 및 충격 이외의 주하중에 의한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MPa)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으로 인한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압축응력(MPa)
: 외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단면의 최연단에서 손실 완료 후 유효 프리스
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압축응력(4.6.3.6)(MPa)
: 손실이 일어난 후 강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MPa)
: 계수하중 하에서 PS강재의 평균응력(MPa)
: 긴장재의 설계기준 인장강도(MPa)
: PS강재의 설계 항복강도(MPa)
: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파괴계수)(MPa)
: 콘크리트의 허용휨강도, 파괴계수(MPa)
4-12
4.1 일반사항
: 철근의 허용인장응력(MPa)
: 콘크리트 혹은 경량콘크리트의 평균쪼갬인장강도(MPa)
′ : 균형변형률 상태의 압축철근의 응력(MPa)
: 활하중 및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MPa)
: 콘크리트의 허용휨인장응력(MPa)
: 활하중 및 충격에 의한 바닥판으로서의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MPa)
: 활하중 및 충격에 의한 보로서의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MPa)
: 인장철근의 설계 항복강도(MPa)
: 종방향 비틀림 철근의 항복강도(MPa)
: 폐쇄된 횡비틀림 철근의 항복강도(MPa)
: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MPa)
′ : 압축철근의 설계 항복강도(MPa)
: 마찰손실을 제외한 전체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탄성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PS강재의 마찰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PS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정착장치에서의 활동(slip)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MPa)
: 콘크리트의 전단탄성계수(MPa)
: 보도 등의 폭(mm)
: 부재의총두께 또는 고려하는 방향에서의 단면의 횡방향 규격(mm)
: 슬래브의 두께(mm)
: 속빈부분상의 최소두께(mm)
: 단면 도심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mm4)
: 콘크리트로 환산된 균열단면의 단면2차모멘트(mm4)
: 철근을 무시한 콘크리트 전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mm4)
4-13
제 4 장 콘크리트교
4.8.12에서 구한다(mm2)
: 유효길이계수
: 4.7.4(표4.7.1)에 나타낸 단순판, 연속판, 및 캔틸레버 바닥판의 유효지간(m)
: PS강재 끝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deck panel) 중심까지의 거리(4.6.3.5의 (4)②
참조)(mm)
: 보 또는 슬래브의 지간, 혹은 긴장재의 길이(mm)
: 받침부 또는 반곡점에서의 추가 묻힘길이(mm)
: 국소구역에 대한 구속철근의 종방향 연장(mm)
: 정착길이, 혹은 캔틸레버 바닥판의 고정하중에 대한 지간(mm)
: 기본정착길이(mm)
: 위험단면으로부터 갈고리 외측 단부까지의 거리로 나타낸 인장을 받는 표준갈고
리의 정착길이(위험단면과 갈고리 시작점 사이의 직선 묻힘길이+ 구부린 내면
반지름+ 철근지름)(mm)
: 인장을 받는 표준갈고리의 기본정착길이(mm)
: 받침부 내면 사이의 순지간, 보 또는 슬래브의 순지간, 받침의 중심간격(mm)
: 압축부재의 비지지길이(mm)
: 사각 슬래브교의 지간(mm)
: 긴장단으로부터 임의점 x까지의 긴장재의 길이(mm)
: 정착장치에서의 활동(slip)량(mm)
: 처짐이 계산되는 단계에서의 부재의 휨모멘트(N-mm)
4-14
4.1 일반사항
으로 계산된 계수 단모멘트
: 압축부재의 계수 단모멘트 중 큰 값으로, 항상 정(+)의 값을 가짐
: 가 작용하는 압축부재의 단부에 횡변위를 일으키지 않는 하중에 의하여 탄성
으로 계산된 계수 단모멘트
: 설계 축방향력(N)
: 쪼개지는 평면을 따라 정착되어 이어지는 철근 또는 철선의 수, 탄성계수비
( ), 혹은 PS강재의 개수, 횡방향 정착구의 수
4-15
제 4 장 콘크리트교
: 임계하중(N)
: 긴장재의 잭 긴장력(N)
: 휨이 x축 방향으로만 고려되는 경우의 에 부합하는 단면의 공칭 축하중강
도 (N)
도 (N)
: 중간 정착부에서의 후방 연결 인장력(N)
: 계수 비틀림모멘트(N-mm)
: 정착부의 단부 인장력(N)
: 정착부의 파열력(N)
칭 전단강도(N)
: 복부의 과도한 주인장응력으로 인해 사인장균열이 발생할 때 콘크리트가 부담하
는 공칭 전단강도(N)
: 사용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단면의 전단력(N)
: 단면의 공칭전단력(N)
: 공칭 수평전단강도(N)
: 단면의 계수 전단력(N)
4-17
제 4 장 콘크리트교
: 설계전단응력(MPa)
: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허용전단응력(MPa)
: 해당 단면에서의 설계수평전단응력(MPa)
: 허용수평전단응력(MPa)
: 공칭 수평전단응력(MPa)
: 단위 길이 1 m당 등분포 고정하중(N/m)
: 하중재하 위치에서 지지점까지의 거리(mm)
x : 긴장단으로부터 임의점 까지의 긴장재의 길이(mm)
: 철근을 무시한 총단면의 중립축에서 인장 연단까지의 거리(mm)
: 작용하중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단면의 최외연에 대한 합성 단면계수(mm3)
: 철근배근 위치계수(4.3.11.3), 경사스터럽과 부재축 간의 사이 각(degree) (4.4.6.3),
정착단에서 임의의 점 까지의 PS강재의 총 각변화(radian) (4.6.3.4), 부재 중심
선에 대한 긴장력의 합력의 경사각(degree)(4.6.3.9)
: 블록 이음위치에서의 강재의 휘어 올린 혹은 휘어 내린 각도(degree)
: 전단마찰철근과 전단면 사이의 각(degree)
: 에폭시 도막계수
: 전체 인장 철근량에 대한 절단된 철근량의 비
: 집중하중이나 반력면의 짧은 변에 대한 긴 변의 비
: (1) 횡변위가 지지된 경우
전체 계수축하중에 대한 최대 계수축고정하중의 비
(2) 횡변위가 지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층의 전체 계수전단력에 대한 해당 층의 최대 계수지속전단력의 비
(3) 안정성 검토의 경우
전체 계수축하중에 대한 최대 계수지속축하중의 비
: 최대 압축변형률이 발생하는 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와 0.85 의 압축응
4-18
4.1 일반사항
횡변위(mm)
∆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반력의 변화량(N)
: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률
: PS강재의 단위 길이 당 파상마찰 계수 또는 인접 배치된 정착구에 대한 수정계수
: 포아송 비
: 지속하중의 재하기간에 따라 달라지는 계수이다.
: 마찰계수, 혹은 곡률마찰계수
: 철근비( )
: 균형철근비
: 철근비( )
: PS강재 비(=
)
′ : 압축철근 비, 혹은 단순 및 연속 경간에서는 경간 중앙단면, 캔틸레버에서는 받
침부에서의 단면의 압축철근비 ′
4.1.4 참고 기준
(1)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 건설교통부, 2003년, 2007년
(2) 콘크리트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 2009년
(3) 도로교표준시방서 - 건설교통부, 2005년
4-19
제 4 장 콘크리트교
4.1.5 설계일반
구조의 각 부분은 단순한 구조로 하고, 시공, 검사, 배수, 유지관리 등에 편리하도록 설계하
여야 한다.
4.1.6 설계계산의 정밀도
설계계산에 있어서는 최종단계에서 유효숫자 3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콘크리트의 응력은 휨응력 계산에서는 0.1 MPa, 전단응력은 0.0l MPa, 강재의 응력은
1.0 MPa의 단위까지 계산하면 충분하다.
4.1.7 설계의 전제가 되는 시공조건
4.15까지의 규정은 도로교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시공조건이 지켜진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도로교표준시방서 1장의 규정을 따르기 어려울 때에는 이 점을 설계에서 고려
하여야 한다.
4.1.8 사용재료
(1) 강재 및 콘크리트는 2.3의 규정에 따른다.
(2) PS강재의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는 정착 또는 접속되는 PS강재가 KS D 7002 혹은 KS
D 3505에 규정된 인장강도를 발휘하기 전에 유해한 변형을 발생시킨다든지 파괴되어
서는 안 된다.
(3) 그라우트는 재령 28일에서의 압축강도가 21 MPa 이상으로 PS강재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사이에서 충분한 부착이 있어야 한다.
(4) 프리캐스트 부재의 접합에 쓰이는 접착제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갖고, 접합부
의 시공조건에 적합하여야 하며 다음에 열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① 시공 가능한 시간은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 시간을 선택하여야 한다.
② 취급이 쉬워야 한다.
③ 흡수율, 수축률이 작고,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커야 한다.
④ 접합면에 어느 정도의 수분이 있어도 경화나 접착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4-20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4-21
제 4 장 콘크리트교
4-22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②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의 영향
4.2.3.4의 규정에 의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건조수축에 의한 부정정력을
엄밀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조계에 대해 각 시공기간에 따른 부정정
력을 산출해서 합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조수축에 의한 부정정력이 그리 크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근사적으로 최종 구조계에 대한 건조수축에 의한 부
정정력을 사용해도 좋다.
4.2.2.4 처짐제어 및 계산
교량구조물의 휨부재는 사용하중과 충격으로 구조물의 강도나 실제 사용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처짐 또는 그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게 설계하여야 한다.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처짐 계산 및 제어를 위한 상세한 방안은 4.4.9.5에 규정되어 있다.
4.2.2.5 교량의 신축
(1) 일반적으로 단순경간에서는 경간길이가 12 m를 초과할 때는 온도변화에 대해 고려하
여야 한다.
(2) 보통콘크리트에 대한 온도팽창계수는 1 ℃당 × 으로 취해도 좋다.
작은 값으로 한다.
4-23
제 4 장 콘크리트교
② 반 T형거더의 경우
유효폭 b는 , 거더지간의
, (인접거더와의 내측거리의 가
운데 가장 작은 값으로 한다.
③ 독립 T형거더의 경우
독립 T형거더의 플랜지 두께는 거더의 복부폭의 1/2 이상, 플랜지의 유효폭은
거더의 복부폭의 4배 이하라야 한다.
(2) 박스거더의 압축 플랜지의 유효폭
전체 슬래브폭이 압축에 유효하다고 가정하여야 한다.
4.2.2.7 슬래브 및 복부의 최소두께
(1) 바닥판의 두께는 4.7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나, 4.2.2.4에 규정된 값 이상이라야
한다.
(2) 박스거더의 하부 슬래브 두께는 거더 복부 순지간의 1/16 이상이어야 하고 140 mm 이
상이라야 한다.
(3) 거더 복부의 두께를 높이에 따라 변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복부 두께의 차의 12배
이상의 길이로 변하게 하여야 한다.
4.2.2.8 격벽
(1) T형거더와 박스거더의 단부에는 다른 방법에 의해 횡방향력에 저항 못하거나 단면 형
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격벽이 사용되어야 한다.
(2) T형거더에는 중간 격벽을 1경간에 1개소 이상 또 15 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3) 박스거더에는 1경간에 1개소 이상의 격벽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그러나, 격벽은 실험이나 구조해석에 의해 충분한 강도가 있다고 확인될 경우에는 두
지 않아도 좋다.
4-24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4.2.2.9 지간
(1) 받침부와 일체로 되어 있지 않는 부재에서는 순지간에 부재의 두께를 더한 값을 지간
으로 한다. 그러나 그 값이 받침부의 중심간 거리를 넘을 수 없다.
(2) 연속구조물과 골조구조물 해석에서 휨모멘트를 구할 때 사용하는 지간은 받침부 중심
간 거리로 한다. 그러나 받침부 내면에서의 모멘트를 부재설계에 사용해도 좋다. 헌치
가 부재의 받침부와 일체로 만들어지고, 그 기울기가 연속부재나 구속부재의 축과 45°
이상인 경우에는 받침부 내면은 부재와 헌치 부분이 결합된 높이가 적어도 부재 두께
의 l.5배되는 단면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 받침부 내면의 헌치 부분이 유효높이에
더해지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4.2.2.10 합성휨부재
(1) 합성휨부재는 별개로 분리 시공되었으나 외력에 일체로 작용하도록 상호 연결된 프리
캐스트나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요소로 구성된다. 동바리를 제거하였을 때 모든 하
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구되는 처짐 및 균열한계 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동바리를 제거하지 말아야 한다.
(2) 전체 합성부재 또는 그 일부만이 전단 및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각각
의 요소를 각 재하단계에서의 모든 위험한 하중조건에 대해 검사하여야 하고 또 합성
부재로서의 설계강도를 완전히 발휘하기 전에 걸리는 모든 작용외력을 지지할 수 있도
록 설계하여야 한다. 합성부재의 각 요소들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을 사
용하여야 한다.
(3) 여러 요소 간의 강도나 단위중량 또는 그 밖의 성질 등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설계할 때
각 요소들의 성질을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중 가장 불리한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4) 합성부재의 강도계산에서는 동바리를 받쳐 시공한 부재와 동바리 없이 시공한 부재간
의 구분은 하지 않도록 한다.
(5) 전체 합성부재가 수직전단에 저항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전단설계는 동일한 단면 형상
으로서 일체로 사용된 부재에 관한 4.4.6 또는 4.5.5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4-25
제 4 장 콘크리트교
4.2.2.11 설계방법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원칙적으로 이 도로교설계기준에서 규정한 강도설
계법에 따라 하중계수와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부재 단면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부재단면은 사용성 요구조건도 만족하여야 한다.
한편, 4.5의 허용응력설계법의 규정에 따라 설계할 수도 있다.
(2) 도로교설계기준의 적용 가능한 규정은 모두 두 설계방법에 적용시켜야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부재는 4.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규정에 따라 설계하여야 한다.
4-26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4.2.3.3 크리프
(1)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률은 식 (4.2.2)로 표시된다.
′
′
(4.2.2)
(2)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 및 부정정력을 계산할 경우의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는 표
4.2.1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표 4.2.1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
지속하중을 재하할 때의 콘크리트의 4∼7 14 28 90 365
재령(일)
조강시멘트사용 3.8 3.2 2.8 2.0 1.1
크리프계수
보통시멘트사용 4.0 3.4 3.0 2.2 1.3
4-27
제 4 장 콘크리트교
(4.2.7)
′
′
(4.2.8)
(4.2.9)
′
′
′
≤ 일 (4.2.10)
이다.
는 개념적인 부재치수(mm)이고, 는 단면적(mm2), 는 외기와
축강도(MPa)이다.
③ 작용하중의 크기, 온도 및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식 (4.2.4)의 크리프계수는 다음
과 같이 보정하여야 한다.
4-28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
exp
∆ (4.2.11)
′
≥ 일 (4.2.12)
종 시멘트
종 종 시멘트
종 시멘트
′
exp
′
(4.2.13)
4-29
제 4 장 콘크리트교
(4.2.18)
(4.2.19)
exp
(4.2.20)
종 시멘트 습윤 양생
종 시멘트 증기 양생
종 시멘트 습윤 양생
종 시멘트 증기 양생
종 시멘트
4-30
4.2 설계계산에 관한 일반사항
며 는 식 (4.2.20)과 같다.
(4.2.22)
⑥ 크리프에 대한 실험은 KS F 2453(콘크리트의 압축 크리프 시험방법)에 따른다.
4.2.3.4 건조수축
(1)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계산할 경우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률은 표 4.2.2의 값을 표
준으로 한다.
표 4.2.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의 4~7 28 90 365
콘크리트의 재령 (일)
건조수축률 27 × 10-5 20 × 10-5 14 × 10-5 7 × 10-5
(2) (1)항에 따르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음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①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대기의 평균상대습도, 부재의 크기 등을 고려하
여 다음 식 (4.2.23)에 따라 구할 수 있다.
(4.2.23)
여기서 는 개념적인 건조수축 계수, 는 수축이 시작된 후의 경과
4-31
제 4 장 콘크리트교
≤
(4.2.26)
≥
(4.2.27)
종 시멘트
종 시멘트
종 시멘트
는 개념적인 부재치수(mm), 는 단면적(mm2), 는 외기와 접촉하는
4-32
4.3 구조상세
4.3 구조상세
4.3.1 일반사항
4.3.1.1 적용범위
이 절은 콘크리트교를 설계할 때 공통적인 구조상세에 관하여 규정한 것이다. 다만, 각
절에 별도로 구조상세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규정도 따라야 한다.
4.3.2 형상 및 부재치수
(1) 복부의 폭은 철근, PS강재 및 PS강재의 정착구를 배치하기에 충분하도록 표 4.3.1의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표 4.3.1 복부의 최소폭
보의 종류 복부의 최소폭(mm)
현장치기 철근콘크리트 보 250
현장치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150
프리캐스트 보 150
4-33
제 4 장 콘크리트교
4-35
제 4 장 콘크리트교
D29 ∼ D35 4
D38 이상
5
② 스터럽과 띠철근
(가) D16 이하의 스터럽과 띠철근의 표준갈고리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2d b 이
상이어야 한다.
(나) D19 이상의 스터럽과 띠철근의 표준갈고리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표 4.3.2
에 따라야 한다.
③ 용접철망
스터럽 또는 띠철근으로 사용되는 용접철망(원형 또는 이형)의 표준갈고리 구부
림 내면반지름은 이형철선 지름이 7 mm 이상인 경우에는 2d b , 그 밖에는 d b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4d b 보다 작은 내면 반지름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는 가장
가까이 위치한 용접 교차점부터 4d b 이상 떨어져서 철망을 구부려야 한다.
(2) 표준갈고리 이외에서의 최소 내면 반지름
① 스터럽이나 띠철근에서 철근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그림 4.3.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지름 이상이어야 한다.
② 굽힘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그림 4.3.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5d b 이
상이어야 한다.
③ 라멘구조의 모서리 부분의 외측에 연하는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그림
4.3.2(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d b 이상이어야 한다.
④ 기타 철근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표 4.3.2의 값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큰 응
4-36
4.3 구조상세
4-37
제 4 장 콘크리트교
4.3.5 철근의 간격 및 배치
4.3.5.1 철근의 간격
(1) 현장타설 보의 정철근 또는 부철근의 수평 순간격은 40 mm,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l.5
배, 철근 공칭지름의 l.5배 중 가장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2) 프리캐스트 부재에서 철근의 수평 순간격은 25 mm,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철근
의 공칭지름 중 가장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3) 보의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그 연직 순간격을 25 mm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어야 한다.
(4) 철근의 순간격에 대한 제한은 접촉된 겹침이음과 인접이음철근 또는 연속철근 사이의
순 간격에도 적용하여야 한다.
(5) 철근간격을 철근지름으로 나타내는 경우 철근 다발의 지름은 등가단면적으로 환산된 l
개의 철근지름으로 보아야 한다.
4.3.5.2 주철근의 배치
(1) 주철근은 Dl0 이상의 철근으로 하여야 한다.
(2) 주철근은 2단 이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3.5.3 다발철근의 배치
(1) 여러 개의 철근을 묶어서 다발로 사용할 경우에는 한 다발 내에 4개 이하의 이형철근
이어야 하고, 이러한 다발철근은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2) 각 다발철근의 철근단은 모든 철근을 받침점에서 끝나게 하지 않고, 부재의 경간 내에
서 절단되는 경우에는 철근지름의 40배 이상 서로 엇갈리게 다발 내의 철근을 절단하
여야 한다.
(3) 보에서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
4-38
4.3 구조상세
4.3.5.4 스터럽의 배치
(1)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부재를 제외하고는 복부에 배치되는 스터럽 및 굽힘철근은 Dl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계산상 스터럽이 필요한 경우 스터럽의 간격은 4.4.6.3 (4)에 따라야 한다.
(3) 굽힘철근을 사인장철근으로 사용할 때 그 간격은 식 (4.3.1)에 따라 계산된 값 이하로 하
여야 한다.
cot
(4.3.1)
여기서, 는 사인장철근의 부재축방향 간격(mm)이다.
4.3.5.5 띠철근의 배치
띠철근의 배치는 휨부재의 횡철근인 경우에는 4.3.6.3을 따르고, 압축부재의 횡철근인 경우
에는 4.3.7.2(3)을 따라야 한다.
4.3.5.6 개구부 주위의 철근
박스거더의 하부플랜지나 격벽 등의 개구부 주변에는 응력집중 등에 대하여 철근을 배치
하여야 한다.
4.3.5.7 헌치에 연한 철근
그림 4.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헌치에는 그 안쪽에 연하여 철근을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림 4.3.3 헌치에 연한 철근
4-39
제 4 장 콘크리트교
4.3.5.8 가외철근
(1)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에서 복부 양측면의 축방향 가외철근은 D10 이상, 철근간격은
300 mm 이하이어야 한다.
(2) 시공이음부에서는 신구 콘크리트 사이의 온도차, 건조수축의 차 등에 의하여 생기는
인장응력에 대하여 가외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3) 바닥판 등에서 PS강재를 그림 4.3.4와 같이 배치할 때에는 PS강재 인장력의 분력에 의
하여 콘크리트가 파손되지 않도록 가외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4.3.6 휨부재의 철근
4.3.6.1 최소 철근량
(1) 해석에 의하여 인장철근 보강이 요구되는 휨부재의 모든 단면에 대하여 4.3.6.1(2)에 규
정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철근의 단면적 A s는 아래 식 (4.3.2)와 식 (4.3.3)에 의해 계산
된 값 중에서 큰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A s,min = 0.25f y f ck b wd (4.3.2)
A s,min = 1.4
f y b wd (4.3.3)
(2) 플랜지가 인장상태인 정정구조물에 대하여 철근의 단면적 은 위의 식(4.3.2)와
m in
4-41
제 4 장 콘크리트교
4-42
4.3 구조상세
(4) 구조물에 주요한 손상을 일으킬 정도의 큰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지진구역에서는
예상한 지진운동을 저항할 충분한 강도와 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횡철근을 설계하여
야 하고 배근상세를 제시하여야 한다.
4.3.7 압축부재의 철근
4.3.7.1 축방향 철근
(1) 압축부재의 축방향 철근량은 기둥 전체 단면적의 1 % 이상 6 % 이하이어야 한다. 그리
고 축방향 철근은 철근배치가 원형일 경우에는 6개 이상, 사각형일 경우에는 4개 이상
으로 배근하여야 한다. 이 때 철근의 크기는 D16 이상이어야 한다.
(2) 하중에 의해 요구되는 단면보다 큰 단면으로 설계된 압축부재에서는 감소된 유효 단면
적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때 감소된 유효 콘크리트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2 이상이고,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1 %의 축방향 철근을 요구하는 단면적 이상이어야 한다.
4.3.7.2 횡철근
(1) 일반사항
하중재하조건에 의해 요구되는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압축부재에서 횡철근 요
구조건은 구조해석이나 시험에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는 것을 보여주
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2) 나선철근
① 나선철근은 지름이 9 mm 이상으로 그 간격이 균일하고 연속된 철근이나 철선으
로 구성되어야 한다.
② 나선철근비 는 식 (4.3.4)에 의해 계산된 값 이상이어야 한다.
(4.3.4)
여기서, f y 는 나선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로 500 MPa 이하이어야 한다.
4-43
제 4 장 콘크리트교
4-44
4.3 구조상세
사각형단면
사각형단면 원형단면
최대 600mm
원형단면
최대 600mm
최대 600mm 최대 600mm
구속된 종방향 철근
최대 600mm
구속된 종방향 철근
횡방향철근
횡방향철근 횡방향철근
횡방향철근
최대 600mm
구속된 종방향 철근
구속된 종방향 철근
(4) 구조물에 주요한 손상을 일으킬 정도의 큰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지진구역에서는
예상한 지진운동을 저항할 충분한 강도와 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둥교각에 대하여
횡철근을 배근하여야 하고 또한 배근상세를 제시하여야 한다.
4.3.8 기둥철근의 특별 배근상세
기둥 연결부에서 단면치수가 변하는 경우 다음 규정에 따라 옵셋 굽힘철근을 배근하여야
한다.
(1) 옵셋 굽힘철근의 굽힘부에서는 경사는 1/6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옵셋 굽힘철근의 굽힘부를 벗어난 상하부 철근은 기둥축에 평행하여야 한다.
(3) 옵셋 굽힘철근의 굽힘부에는 띠철근, 나선철근 또는 바닥구조에 의해 수평지지가 이루
어져야 한다. 이때 수평지지는 옵셋 굽힘철근의 굽힘부에서 계산된 수평분력의 1.5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4) 옵셋 굽힘철근은 거푸집 내에 배근하기 전에 구부려야 한다.
(5) 기둥 연결부에서 상하부의 기둥면이 75 mm 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축방향 철근을 굽힘
시켜 옵셋 굽힘철근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철근을 축방향
4-45
제 4 장 콘크리트교
4-46
4.3 구조상세
의 비로 나타낸다.
③ D35 이하의 철근에 대해서는 연속철근이 절단점에서 휨에 필요한 철근량의 2배
가 되고 계수전단력이 전단강도의 3/4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5) 철근응력이 모멘트와 비례하지 않는 휨부재의 인장철근에 대해서는 충분한 단정착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부재는 경사형, 계단형 또는 변단면 확대기초, 브래킷, 깊
은 휨부재 또는 인장철근이 압축면에 평행하지 않는 부재들이다.
(6) 이 장에서 사용하는 는 8.4 MPa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3.10.2 정철근의 정착
(1) 단순부재에서는 정철근의 1/3 이상, 연속부재에서는 정철근의 1/4 이상을 부재의 같은
측에 연하여 받침부내에 연장하여야 한다. 보에서는 이러한 철근을 150 mm 이상 받침
부내에 연장하여야 한다.
(2) 휨부재가 횡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한 요소라면 위의 (1)에 의해 받침부내로 연장되는
정철근은 받침부의 전면에서 설계기준 항복강도 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하여야 한다.
4-47
제 4 장 콘크리트교
4.3.10.3 부철근의 정착
(1) 연속되거나 구속된 부재, 캔틸레버 부재 또는 강결된 골조구조에 배근된 부철근은 묻
힘길이, 갈고리 또는 기계적 정착에 의하여 받침부내에 정착되거나 받침부를 지나서
정착되어야 한다.
(2) 부철근은 4.3.10.1의 (1)에서 (3)까지의 규정에서 요구하는 소요 묻힘길이를 경간 내에
가져야 한다.
(3) 받침부에서 부모멘트에 대해 배근되는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은 부재의 유효깊이,
12d b 또는 순경간의 1/16 중 제일 큰 값 이상의 묻힘길이를 반곡점을 지나 연장하여
야 한다.
4.3.11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4.3.11.1 정착길이
(1) 인장 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는 설계자의 적절한 판단하에 4.3.11.2의 기본
4.3.11.2 기본정착길이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기본정착길이 는 다음과 같다.
4-48
4.3 구조상세
(4.3.6)
4.3.11.3 보정계수
(1) 철근지름의 치수, 철근 순간격 및 피복두께와 횡방향 철근의 배근 여부에 따라 보정계
수를 표 4.3.3에 의해 구하여야 한다.
표 4.3.3 보정계수
철근지름 D19 이하의 철근과 D22 이상의 철근
조 건 이형철선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 순간격이 d b 이상이
고 피복두께도 d b 이상이면서 l d 전 구간에
설계기준에 규정된 최소철근량 이상의 스터럽 0.8
또는 띠철근을 배근한 경우 또는 정착되거나 이
4-49
제 4 장 콘크리트교
≥ 1.0
(다) 보통 콘크리트 ·································································································· 1.0
④ 에폭시 도막철근이 상부철근인 경우에는 상부철근의 보정계수 와 에폭시 도막
계수 의 곱 를 1.7보다 크게 취할 필요는 없다.
4.3.11.4 공식에 의한 정착길이 산정
(1) 4.3.11.2의 기본정착길이와 4.3.11.3의 표 4.3.3의 보정계수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구하는
방법 외에 다음과 같은 식 (4.3.7)에 의해 정착길이를 구할 수 있다.
(4.3.7)
식 (4.3.7)에서
는 2.5 이하이어야 한다.
(2) 식 (4.3.7)의 계수 , c와 은 다음과 같다.
① = 철근 지름계수
(가) D19 이하의 철근과 이형철선 0.8
(나) D22 이상의 철근 1.0
② c = 피복두께 또는 철근간격
c는 철근 또는 철선의 중심으로부터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로 나타낸 피복
두께 또는 철근 또는 철선의 중심간 거리의 1/2 중 작은 값을 사용하여 mm단위
로 나타낸다.
(3) = 횡방향 철근지수 =
4-50
4.3 구조상세
4.3.12.2 기본정착길이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4.3.8)
다만, 이상이어야 한다.
4.3.12.3 보정계수
(1) 해석결과 소요되는 철근량 이상을 배근한 경우 ············································· 소요
배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