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 60034-6
KC 60034-6
KC 60034-6
(개정 : 2015-09-23)
IEC Ed2.0 1991-10
전기용품안전기준
Technical Regulations for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Products and Components
회전기기
제6부 :냉각방법(IC코드)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
목 차
서 문 ····················································································································································· 2
부 속 서 A (Annex A) ······························································································································· 9
부 속 서 B (Annex B) ····························································································································· 13
해 설 1 ···················································································································································· 15
해 설 2 ···················································································································································· 16
전기용품안전기준 제정, 개정, 폐지 이력 및 고시현황
- 1 -
KC 60034-6
전기용품안전기준
회전기기
제6부 :냉각방법(IC코드)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Part 6: Methods of cooling (IC Code)
이 안전기준은 1991년에 발행된 IEC 60034-6, Methods of cooling (IC Code)를 기초로, 기술적
내용 및 대응 국제표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KS C IEC 60034-6(2002.05)을 인용 채택
한다.
- 2 -
회전 기기-제6부:
냉각 방법(IC 코드)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Part 6:Methods of cooling(IC Code)
- 3 -
비 고 냉각제는 이 환경으로부터 꺼내거나 또는 이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다.
2.7 원격 매개물 기기와 먼 곳이고, 냉각제가 꺼내지는 곳에서도 먼, 및/또는 냉각제가 입구 및/또
는 출구 파이프나 덕트를 통해 방출되거나 개별적인 열 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는 환경 내에 있는 액
체나 기체 상태의 매개물
2.8 직접 냉각 권선(내부에서 냉각된 권선) 주절연 내부에서 냉각제가 권선의 전체 부분을 형성하
는 속이 빈 도체, 튜브 또는 채널을 통해 흐르는 권선
- 4 -
회로 속의 구성 요소
- 5 -
비 고 다음 법칙이 완전한 표시와 간략화된 표시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적용된다.
-완전한 표시는 IC 문자 뒤에 3개 또는 5개의 숫자와 문자가 규칙적인 순서 숫자, 문자,
숫자(문자, 숫자)로 인식된다.
보 기 IC3A1, IC4A1A1 또는 IC7A1W7
-간략화된 표시는 2개 또는 3개의 연속적인 숫자, 또는 마지막 위치에 하나의 문자를
갖는다.
보 기 IC31, IC411 또는 IC71W
3.2 표시의 적용 간략화된 표현이 선호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즉 완전한 표현 체계는 간략화된 체
계가 불가능할 때 주로 쓰도록 한다.
- 6 -
3.9 표시와 그림의 예 부속서 A에 적절한 그림과 함께, 회전 기기의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종류
의 일부를 나타내는 다른 표시들이 주어져 있다.
표 1 회로 배치
특성 숫자 간단한 설명 정 의
0 자유 순환 냉각제는 자유로이 주위 매개물로부터 직접 들어오고, 기기를 냉각시킨
(비고 1 참조) 후 자유로이 매개물로 직접 들어간다(개방 회로).
냉각제는 기기로부터 먼 매개물로부터 들어와서 입력 파이프나 덕트를
1 순환되는 입력 파이프
통해 기기로 유도되고, 기기를 지나 주위 매개물로 직접 들어간다(개방
(비고 1 참조) 또는 입력 덕트
회로).
2 순환되는 출력 파이프 냉각제는 주위 매개물로부터 직접 들어오고, 기기를 통과한 후 방출 파이
(비고 1 참조) 또는 출력 덕트 프나 덕트를 통해 기기로부터 먼 매개체로 기기에서 방출된다(개방 회로).
3 순환되는 입력과 출력 냉각제는 기기로부터 먼 매개물로부터 들어와서 입력 파이프나 덕트를
(비고 1 참조) 파이프 또는 덕트 통해 기기로 유도되고, 기기를 통해 지나서 출력 파이프나 덕트를 통해
기기로부터 기기에서 먼 매개물로 방출된다(개방 회로).
1차 냉각제는 기기의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그 열을 기기의 외부면을
통해(고정자 코어와 다른 열 전도 부분을 통한 열 전달에 추가하여) 주
4 냉각된 구조면 위 매개물인 마지막 냉각제로 내보낸다. 표면은 열 전도를 개선하기 위
하여 외부에 있는 덮개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평평하거나
보강될 수도 있다.
5 필수적인 열 교환기(주위 1차 냉각제는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기기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비고 2 참조) 매개물을 사용한) 그 안에 설치된 열 교환기를 통해 그 열을 주위 매개물인 최후 냉각제
로 방출한다.
6 기기에 설치된 열 교환기 1차 냉각제는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기기에 직접 설치된 열 교환기를
(비고 2 참조) (주위 매개물을 사용한) 통해 주위 매개물인 최후 냉각제로 그 열을 방출한다.
7 필수적인 열 교환기(원격 1차 냉각제는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기기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비고 2 참조) 매개물을 사용한) 그 안에 설치된 열 교환기를 통해 그 열을 원격 매개물인 2차 냉각제로
방출한다.
기기에 설치된 열 교환
8 1차 냉각제는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기기에 직접 설치된 열 교환기를
기(원격 매개물을 사용
(비고 2 참조) 통해 원격 매개물인 2차 냉각제로 그 열을 방출한다.
한)
9
분리된 열 교환기(주위와 1차 냉각제는 폐쇄 회로를 순환하고, 기기로부터 분리된 열 교환기를 통
(비고 2와 3
원격 매개물을 사용한) 해 주위 또는 원격 매개물 중 하나인 2차 냉각제로 그 열을 방출한다.
참조)
비 고 1. 먼지를 분리하거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등의 필터나 미로는 프레임이나 덕트 안에 설치된
다.
0~3의 특성 숫자는, 냉각 매개물이 주위 매개물보다 더 낮은 온도의 매개물을 공급하
기 위해 열 교환기를 통해 주위 매개물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또는 주위 대기 온도를
더 낮게 유지하기 위해 열 교환기를 통해 냉각 매개물이 방출되는 경우의 기기에도 적
용된다.
2. 열 교환기의 성질은 정해지지 않았다(보강된 또는 보통의 튜브 등).
3. 분리된 열 교환기는 기기 옆이나 기기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기체성의 2차
냉각제는 주위 매개물이나 원격 매개물이 될 수 있다(부속서 A의 표 A.3 참조).
5. 냉각제에 대한 특성 문자
- 7 -
5.1 냉각제(3.1.3과 3.1.5 참조)는 표 2에 따른 특성 문자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된다.
표 2 냉 각 제
특성 문자 냉 각 제
A(5.2 참조) 공 기
F 프 레 온
H 수 소
N 질 소
C 이산화탄소
W 물
U 기 름
S(5.3 참조) 다른 냉각제
Y(5.4 참조) 아직 선택되지 않은 냉각제
5.2 단일 냉각제가 공기이거나 두 냉각제 중 하나만 또는 둘 모두가 공기인 경우, 냉각제를 표시하
는 이 문자들 “A”는 간략화된 표시에서 생략된다.
5.4 냉각제가 선택되었다면, 임시로 쓰인 문자 “Y”는 적당한 마지막 특성 문자로 대체되어야 한다.
표 3 이동 방법
특성 문자 간단한 설명 정 의
0 자유 대류 냉각제는 온도차에 의해 움직인다. 회전자의 송풍기 같이 도는 동작은 무시한다.
냉각제는 회전자만의 운동, 또는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되고 주기기의 회전자에 직
1 자가 순환 접 설치된 요소, 또는 회전자나 주기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송풍기나 펌
프에 의한 주기기의 회전 속도에 의하여 움직인다.
2, 3, 4 이후의 사용을 위해 비워둔다.
5 냉각제는 그 자체의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내부 송풍기나 펌프와 같이, 주기기의
필수적 독립 요소
(비고 참조) 회전 속도와 상관없는 방법으로 그 힘이 얻어지는 필수 요소에 의해 구동된다.
냉각제는 그 자체의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기기에 설치된 송풍기 유닛이나 펌프
6 기기에 설치된 독
유닛과 같이, 주기기의 회전 속도와 상관없는 방법으로 그 힘이 얻어지는 기기에
(비고 참조) 립 요소
설치된 요소에 의해 구동된다.
분리되고 독립된 냉각제는 기기에 설치되지 않고 기기로부터 독립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요소에
7
요소 또는 냉각 의해 움직이거나, 물 배급 시스템 또는 압력을 가진 기체와 같이 냉각 순환 시스
(비고 참조)
시스템 압력 템 내부의 압력에 의해 순환된다.
냉각제의 이동은 냉각제를 통해 기기를 움직이거나 주위 냉각제(공기나 액체)를
8
상대적 변위 기기 주위로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기기와 냉각제 사이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생
(비고 참조)
긴다.
모든 다른 구성 냉각제의 이동은 위에 정의되지 않은 다른 방법으로 생기고 충분히 설명되어야
9
요소들 한다.
- 8 -
부속서 A(참고) 주로 사용되는 표시들
1. 회로 배치
표
특성 숫자 0, 1, 2, 3 A.1
(주변 매개물이나 원격 매개물을
사용하는 개방 회로)
특성 숫자 4, 5, 6 A.2
(1차 회로 폐쇄,
주변 매개물을 사용하는 2차 회로 개방)
특성 숫자 7, 8, 9 A.3
(1차 회로 폐쇄,
원격 또는 주변 매개물을 사용하는 2차 회로 개방)
2. 표에 대한 일반 정보
표 A.1, 표 A.2, 표 A.3의 표에서 열은 회로 배치를 보이고, 행 숫자는 냉각제의 이동에 대한 특성 숫
자를 보인다.
도표는 냉각 공기가 비구동쪽에서 구동쪽으로 흐르는 예를 보여 주고 있다. 기기의 설계를 송풍기의
배치와 숫자, 송풍기 유닛, 흡입구와 방출 파이프 또는 덕트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반대의 방향이
될 수도 있고, 공기 흡입구가 양끝에 있으면서 방출구가 중앙에 있을 수 있다.
각 상자의 윗선은 공기 및/또는 물을 냉각제로 하여(3.2 및 5.1 참조) 왼쪽에 간단한 표시, 오른쪽에
완전한 표시를 주고 있다.
3. 도표에서 사용되는 기호
독립 순환 요소
- 9 -
*
표 A.1 주위 원격 매개물을 사용한 개방 회로의 예
회로 배열을 위한 특성 숫자(4. 참조) 냉각제의 이동 방법
0 1 2 3
에 대한 특성 숫자
자유 순환(주위 매개 입력 파이프나 입력 출력 파이프나 출력 순환하는 입력, 출력
(6. 참조.)
물을 사용함.) 덕트(원격 매개물을 덕트(주위 매개물을 파이프나 덕트(원격
사용함.) 둘러 쌓아서 사용 매개물을 사용함.)
함.)
IC00 IC0A0 0
자유 대류
- 10 -
표 A.2 1차 회로가 폐쇄, 2차 회로가 주위나 원격 매개물을 사용한 개방 회로일 때의 예*
회로 배열을 위한 특성 숫자(본체 4. 참조) 냉각제의 이동 방법에 대한 특성 숫자
(본체 6. 참조)
4 5 6 1차 냉각기 2차 냉각기
냉각된 구조면(주위 필수적인 열 교환기 기기에 설치된 열 (비고 참조)
매개물을 사용) (주위 매개물을 사 교환기(주위 매개물
용) 을 사용)
IC410 IC4A1A0 IC510 IC5A1A0 IC610 IC6A1A0 0
자유 대류
5
필수적 독립 요소에
의한 순환
IC416 IC4A1A6 IC516 IC5A1A6 IC616 IC6A1A6 6
기기에 설치된 독립
요소에 의한 순환
7
분리되고 독립된 요
소 또는 냉각 압력
시스템에 의한 순환
- 11 -
표 A.3 1차 회로가 폐쇄, 2차 회로가 주위나 원격 매개물을 사용한 개방 회로일 때의 예*
회로 배열을 위한 특성 숫자(4. 참조) 냉각제의 이동 방법에 대한
특성 숫자(6. 참조)
7 8 9 1차 냉각제 2차 냉각제
필수적인 열 교환 기기에 설치된 열 열 교환기의 분리
(2차 냉각제:액체, (2차 냉각제:기체, (비고 참조)
기(원격 매개물을 교환기(원격 매개
원격 매개물을 사용) 원격 매개물이나 주
사용) 물을 사용)
위 매개물을 사용)
IC70W IC7A0W7 0
자유 대류
8
상대적 변위
주* IC 코드의 배치는 3.1 참조
비 고 이 표에 보여진 예는 1차 냉각제의 움직임과 연관되어 있다. 이 표의 1차 냉각제의 이동에 대한 특성 숫
자는 “7”로 가정되었다. 2차 냉각제를 위한 기기에 설치된 독립 송풍기 유닛으로 설계된 것과 같이 IC 코
드를 사용해서 보여지지 않는 다른 설계도 분명히 정해질 수 있다:
IC71W(IC7A1W7) 대신에 IC71W6(IC7A1W6)
- 12 -
- 13 -
- 14 -
해설 1 전기용품안전기준의 한국산업표준과 단일화의 취지
1. 개요
이 기준은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 전기제품의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국가표준
인 한국산업표준(KS)을 최대한 인용하여 단일화한 전기용품안전기준이다.
2. 배경 및 목적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 전기제품의 인증을 위한 시험의 기준은 2000년부터 국제표
준을 기반으로 안전성 규격을 도입․인용하여 운영해 왔으며 또한 한국산업표준도 2000년부터 국제표
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규격의 내용은 양자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기준과 한국산업표준의 중복인증이 발생하였으며, 기준의 단
일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기용품 안전인증기준의 단일화는 기업의 인증대상제품의 인증시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
이며, 국가표준인 한국산업표준과 IEC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단일화를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용품 안전인증기준을 한국산업표준을 기반으로 단일화 함으로써 한국산업표준의 위상을
강화하고, 우리나라 각 부처별로 시행하는 법률에 근거한 각 인증의 기준을 국제표준에 근거한 한국
산업표준으로 일원화할 수 있도록 범부처 모범사례가 되도록 하였다.
3. 단일화 방향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서 적용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동일한 한국산업표준으로 간단히 전기용품안전
기준으로 채택하면 되겠지만, 전기용품안전기준은 그간의 전기용품 안전관리제도를 운용해 오면서
국내기업의 여건에 맞추어 시험항목, 시험방법 및 기준을 여러번의 개정을 통해 변경함으로써 한국
산업표준과의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의 단일화 방향을 두 기준 모두 국제표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전기용품안전기준에서 한국산업표준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
고자 한다.
안전기준에서 그간의 전기용품 안전관리제도를 운용해 오면서 개정된 시험항목과 시험방법, 변경된
기준은 별도의 항을 추가하도록 하였다.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을 비교하여 한국산업표준의 최신판일 경우는 한국산업표준의 내
용을 기준으로 전기용품안전기준의 내용을 개정키로 하며, 이 경우 전기용품안전기준의 구판은 병행
적용함으로서 그간의 인증받은 제품들이 개정기준에 맞추어 개선할 시간적 여유를 줌으로서 기업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제표준이 개정되어 판번이 변경되었을 경우는 그 최신판을 한국산업표준으로 개정 요청을
하고 그리고 전기용품안전기준으로 그 내용을 채택함으로써 전기용품안전기준을 국제표준에 신속하
게 대응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기용품안전기준에서만 규정되어 있는 고유기준은 한국산업표준에도 제정요청하고, 아울러
필요시 국제표준에도 제안하여 우리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고자 한다.
4. 향후
한국산업표준과 전기용품안전기준의 중복시험 항목을 없애고 단일화 함으로써 표준과 기준의 이원화
에 따른 중복인증의 기업부담을 경감시키고, KS표준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각 부처별로 시행하는 법률에 근거한 각 인증의 기준을 국제표준에 근거한 한국산
업표준으로 일원화할 수 있도록 범부처 모범사례가 되도록 한다.
또한 국제인증기구는 국제표준 인증체계를 확대하는 추세에 있으며, 표준을 활용하여 자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가표준과 안전기준이 국제표준에 신속히 대응함으
로서 우리나라의 수출기업이 인증에 애로사항을 감소하도록 한다.
- 15 -
해설 2 전기용품안전기준의 추가․대체항목 해설
- 16 -
심 의 : 전동공구 분야 전문위원회
구 분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 원 장) 이원재 가천대학교 교 수
(위 원) 조경록 한국소비자원 팀 장
조주희 전자부품연구원 팀 장
이기선 계양전기(주) 부 장
임민수 서울기연(주) 과 장
주병권 (주)아임삭 선 임
이병태 한국로버트보쉬(주) 부 장
모성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팀 장
전희득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선 임
양희영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대 리
신동희 국가기술표준원 전자정보통신표준과 연구관
(간 사) 조영원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 전기통신제품안전과 사무관
원안작성협력 :
구 분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원)
ICS 33.1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