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 실험장비 KTE-1000AHU
공기조화 실험장비 KTE-1000AHU
공기조화 실험장비 KTE-1000AHU
1-1. 개요
공기조화에서 공기의 온도 조절이란 공기의 냉각과 가열을 의미하며, 습도의 조절은 공기의 감습
과 가습을, 기류의 조절은 기류의 속도, 실내압의 조절을 의미한다. 또한 공기의 청정도는 공기
중의 먼지, 세균, 냄새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상기
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를 공기조화의 중요 4요소로 취급한다. 공기조화는 사용 목적에 따
라 보건용 공기조화와 산업용 공기조화로 분류된다.
- 1 -
1-2. 공기조화 실험장비 구성
(MODEL : KTE-1000AHU)
(1) 자동 제어판 : N.F.B, Toggle Switch, 전류/전압계, 부저, 램프(Red, Green, Yellow), 고압/
저압계, 마그네틱 컨텍터, 8 pin과 11 pin 릴레이, 온도 스위치, 푸쉬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기본적인 시퀀스 자동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공기조화 자동, 수동제어를 할 수 있다.
- 2 -
여, 운전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5) KTE-DA100(PCB) : 적용되는 사양은 Pentium4 이상, Window 98 이상, RAM 256MB 이며, 온도,
압력 값을 RS232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PC에 전송되며, PC에 설치된 KTENG system 프로그램으
로 화면 출력, 온도, 습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 3 -
2. 공기조화 실험장비 구성품 세부 설명
압축기 모듈
- 4 -
(6) CM0108: 액분리기
1/2HP용, 원입형, 정체식, VERTICAL TYPE, SUS 플레이트 부착 포함 * 1EA
Test Pressure : 1.3Mpa Capacity : 0.6L
액분리기는 임시적으로 오일-액 냉매 혼합물을 수용하는 저장탱크 역할을 해주며, 이 혼합물이 압축기에 안
전한 비율로 돌아가는 기능을 한다. 액 분리기는 그 사이즈가 알맞게 선정되었을 때는 정상 운전 조건하에
서 약 65%가 채워져 있을 때마다, 장시간 운전정지 중이거나 초기 기동 중에 액 분리기는 완전히 비웠다가
거의 채울 수 있어야 한다. 액 분리기에 잡혀있는 냉동 오일은 내부 오일회수 오리피스를 통해 증기상태의
냉매가 돌아간다. 액분리기는 가급적 압축기에 가까이 하되 바이패스 라인이나 Suction 라인에 설치한다.
- 5 -
(2) 압력계
고ㆍ저압 압력계가 있으며 고압측 압력계는 보통 1~35kg/㎠ 눈금까지 표시되며 저압측 압력계
는 760mmHg.v~15kg/㎠까지 표시된다.
(3) 냉매충전니플
(4) 응축기(Condenser)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psg-3s
- Size : 3/8″(in/out)
냉동장치의 액관 중 응축기(수액기)쪽에 설치 적정 냉매 량이
충전되었는지의 여부와 냉매의 건조 상태를 색의 변화로 확인
한다. 적정 냉매량이 충전되고 응축상태가 양호해지면 거품상
태가 없어지고 맑은 액 냉매 상태로 지나가게 된다. 거품이
보여도 움직이지 않을 때와 입구 측에만 기포가 있고 출구 측
에는 안보이거나 기포가 연속적이 아니고 때때로 보일 때는
적정 냉매 량이 충전된 것으로 본다.
- 6 -
(6) 수액기(Liquid receiver)
※ 제원(specification)
- Cap. : 3/4Hp
- Design press. : 22kgf/cm2G
- 내압시험 : 33kgf/cm2G
- 기밀압력 : 22kgf/cm2G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cd35-3838
- 내압시험: 33kgf/cm2G
- 설계압력: 22kgf/cm2G
- 기밀압력: 22kgf/cm2G
- 사용온도: 120℃ 이하
- In/Out Screen : 80/120mesh
- 7 -
(8) 전자밸브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NR1
- Size : 3/8"(Welding type)
- Coil : 2B09 9w
(9) 팽창밸브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ASB20
- Capacity Range : 0.5 ~ 1.5tons
- Te : 0℉(-10℃)
- Press. Drop : 125psig
- Capacity : 1.48ton
(10) 예열기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전기Heater
- Capacity : AC220V× 1kw
- Qe : 860kcal/h
- 8 -
(11) 예냉기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EV-15
- Surface Area : 1.5㎡
- Fin pitch : 2.5mm
- Pipe pitch :
- Tube : 3/8"× 7step× 3row× 165EL
(12) 송풍기
※ 제원(specification)
- Capacity : 680 ~ 765㎥/h, 400 ~ 450CFM
- Size : Φ222㎜× 60㎜
(13) 가습기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DEH-C450
- Elec. : AC220V× 60Hz× 30w
- Head : 1000mm
- Q :13ℓ/min
- Max Cap. : 2.5ℓ/min
- Max Head : 2500mm
- 9 -
(14) 재열기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전기Heater
- Capacity : AC220V× 1kw
- Qe : 860kcal/h
(15) 재냉기
※ 제원(specification)
- Model : EV-15
- Surface Area : 1.5㎡
- Fin pitch : 2.5mm
- Pipe pitch :
- Tube : 3/8"× 7step× 3row× 165EL
(16) 습도 컨트롤러
· 습도 인디케이터 설명
(1) OUT 1 : 온도 컨트롤, OUT 2 : 습도 컨트롤
(2) PRG/reset : 편차 설정
(3) SEL : 습도 값 설정
- 10 -
(17) 습도 컨트롤러 설정 방법
Ⅰ. 습도 값 설정
① 제어판 전원 ON
② 습도 컨트롤러 습도 값 확인
③ OUT 1, OUT 2 중, OUT 2의 빨간 램프 점멸 확인
Ⅱ. 습도 값 OFF SET 설정
- 11 -
② ‘EU 1’기호가 뜨면, 우측에 화살표 버튼 (▲)을 한 번
더 눌러, ‘EU 2’로 설정한다.
③ ‘EU 2’ 확인 후, SEL 버튼을 눌러 설정한다.
- 12 -
2-2. 공기조화 실험장비 제어 판넬 및 조작부
그림. 자동제어 장치
- 13 -
그림. 메인전원부 그림. TOGGLE Switch
(3) 릴레이(Relay)
표준 냉동 실험장치의 압축기 모터, 응축기 팬모터, 전자벨브, 증발기 팬모터 등을 시퀀스 제어
할 수 있다.
① DC 전원 입력부에 빨간색에는 +를, 검정색에는 -를 투입 한다.
② DC 전원 입력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1,3번 과 8,6번 A접접은 닫히게 되어 전기가 흐르고, 그
와 동시에 1,4번과 8,5번 B접점 스위치는 열리게 되어 전기가 차단된다.
입력부
- 14 -
(4) 부저, 램프
장비 중 작동 유무와 이상 발생을 표시하기 위해 설치된 장비로 바나나 잭 중 (+)는 빨간색,
(-)는 검정색에 꽂는다.
+(양)극, 빨간색
-(음)극, 검정색
그림. 부저, 램프
(6) 열동계전기
열동계전기의 동작은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DC 전원 입력부(+,-)
Bi-metal 특성에 따라 동작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주위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하게 A접점 스위치
T.H.R
- 15 -
(7)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 16 -
※ 온도 설정을 통하여 장비의 ON, OFF를 하고자 사용되는 부품으로
① 온도 값 선택을 눌러 원하는 값을 선택한다.
② 온도 값 올리기 또는 내리기를 통해 값을 입력한다.
③ 편차 값 입력을 통해 편차 값을 입력한다.
④ com에 + 전원을 입력한다.
⑤ 제어하고자 하는 장비에 따라 H 또는 L에 장비 +극을 연결한다.
⑥ 설정 온도 값보다 온도 하락 시 COM -> L 라인 접점 연결
⑦ 설정 온도 값보다 온도 상승 시 COM -> H 라인 접점 연결
(9) 장비 전원 입력부
그림. DC 전원 입력부
각 부품에 전원을 입력해주는 부품(빨간색 +극, 검정색 –를 연결한다.)
(10) 타이머(Timer)
- 타이머의 입력부는 (+)단자와 (-)단자를 구분하여 입력한다.
- AUTO : 조정판의 위치에 On, Off에 따라 점, 소등을 한다.
- 17 -
전등꺼짐(OFF)
전등켜짐(ON)
출력부 입력부
- 18 -
3. 공기조화 실험장비 성능실험과 진단
3-1. 소프트웨어 설치
- 19 -
⑥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의 화면이 ⑦ USB TO SERIAL PORT 배선도
나타납니다.
- 20 -
⑫ 포트 설정을 클릭 ⑬ 고급 클릭
- 21 -
(2) KTE-DA100 설치 및 메뉴 설명
1) KTE-DA100 설치
① 설치 CD를 CD-ROM에 넣고, 탐색기 실행
후 CD를 열면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들이 보임. 파일 중 KTENG Setup를
실행합니다.
② 설치 마법사 시작 화면이 나오면
"다음(N) >" 버튼을 누릅니다.
③ 설치 폴더 선택 창에서는 설치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찾아보기(R)
버튼을 눌러 위치를 선택한 후
"다음(N)>" 버튼을 누릅니다.
④ 설치 완료 창이 뜨면 "닫기(C)" 버튼을
눌러 설치를 완료 합니다.
- 22 -
⑤ 바탕화면 또는 시작-프로그램에서 KTENG System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
이 나타납니다.
태양광 이용 수소 연료전지
KTE-9000AU 차량용 냉 난방 실험장비 KTE-7000SH
실험장비
- 23 -
2) Main Menu 구성
① View ② Setting
③ Control
- 24 -
(2) Setting
Menu Explain
Refrigerant Setting 냉매 선택
(3) Control
Menu Explain
- 25 -
(3) 데이터 수집 장치 활용(Model : KTE-DA100)
① 전용 프로그램 선택
(2) View창에서
원하는 장비명을 선택
(Refrigeration -
KTE-1000AHU 클릭)
(3) KTE-1000AHU
(공기조화 실습장비)
메인창이 활성화
됨
- 26 -
ⅰ) 프로그램 메인화면 구성
(2) 습공기 선도 표시 영역
ⅱ) 운전 및 데이터 저장
(1) 프로그램 실행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하단의 RUN Toggle
S/W를 위로 올림
- 27 -
(2) 데이터 저장
파일명을 입력하라는
대화 창이 활성화 되면
파일이름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으로 저장 할 수
있음(엑셀파일로 압력,
온도, 엔탈피 및
계산값을 저장)
ⅲ) 그래프 보기
(1) 실시간으로 온도,
습도 위치에 따른
그래프를 보기 위해서는
Diagram 왼쪽 상단
해당 아이콘 클릭
- 28 -
(3) 개별 온도/압력값의
그래프 보기는 모니터상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을
더블 클릭시에 하단의
그래프와 같은 창이 뜸
- 29 -
ⅳ) 캡처 기능
(2) 선택시 화면
- Diagram(Flow Chart)
캡처
- 습공기 선도 캡처
- 30 -
② 데이터 수집 장치 기능
ⅰ) 도구
(1) 도구모음에서
클릭
- 31 -
(4) 클릭
(6) 전체화면 버튼 클릭
하면 기존화면으로 돌아
가짐
- 32 -
ⅱ) View
(1) 도구모음에서 View
클릭
- 33 -
ⅲ) Setting
a) Serial setting
(1) Setting 클릭
(3) 포트 위치에 따라
COM번호가 달라진다.
COM번호를 선택하고
OK 클릭
- 34 -
b) Offset setting
(1) 도구모음에서 Setting
클릭
: 방향키를 눌러
온도 값을 보정
: 온도
보정 정도값을 나타냄
보정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
클릭 후 "Close" 클릭
- 35 -
(4) Voltage Offset
Zero는 전압을 보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 방향키를 눌러
전압 값을 보정
: 전압
보정 정도값을 나타냄
보정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
클릭 후 "Close" 클릭
(5) Temp's
Parameter는 온도계의
출력 신호를 온도로
변화하는 수식을
입력하기 위한 곳으로서
모든 항목에
Y=70X-150의 값을
입력해야한다. 적용은
“Application” 클릭 후
“Close”를 클릭
- 36 -
(8) 설정값을 저장(Start
Saving) 하고서 왼쪽 화면에서
Close 클릭
- 37 -
(3) Save interval setting
은 데이터 저장 시간 간
격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엑셀파일로 시간 간격에
맞춰 저장 가능.
(단, 단위는 초(Sec)라서
1분을 설정할 경우는
60Sec로 설정한다)
d) PH offset setting
(1) Setting 클릭
(3) 메인 화면에 있는
PH선도표의 Press,
Enthalpy의 축 값을
조정하는 기능
- 38 -
e) Refrigerant setting
(3) 냉매 선정 창이 활성
화되고 이때, 원하는 냉
매의 종류를 선택하여
“열기" 클릭하면 프로
그램에 적용됨
- 39 -
※ SAVE DATA By DA100
■ Measurement Point
- 40 -
3-2. Psy-Chart 프로그램 사용법
3-2-1. 프로그램 설치 및 실행
◆ 습공기 선도 프로그램은 .NET 플랫폼 환경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설치되고 실행 할 수 있습니다.
- 설치 환경 지원 운영체제
§ Windows XP SP3
§ Windows Server 2003 SP2
§ Windows Vista SP1 이상
§ Windows 7
§ Windows 7 SP1
§ Windows 10
- 하드웨어 최소 권장 요구 사항 : Pentium 1 GHz 이상, RAM 512 MB 이상
③ 설치 중 ④ 설치 완료
- 41 -
◆ 프로그램 실행
시작 메뉴
바로 가기 아이콘
① 도구 및 설정
② 습공기 선도 내 좌표 위치
③ 온도 습도 값 입력 / 좌표 위치
④ 습공기 선도
① 옵션 내 입력 값 설정
② 해발 고도 설정 및 건구 온도 범위 설정 가능
③ 습공기 선도 상 표시될 항목 유저 설정 가능
④ 상태점 표시 항목 설정 가능
- 42 -
3-2-2. 프로그램 구성
- 43 -
3-2-3. 프로그램 활용 및 습공기 선도 작도
① 상태점 입력 ② 습공기 선도 상 표시 입력
③ 습공기 선도 표시 ④ 선 추가
- 44 -
⑤ 가열 가습 시 습공기 선도 작도 ⑥ 습공기 선도 확인
- 45 -
3-3. 습공기 선도 작도 실무
3-3-1 공기의 성질
공기는 일종의 혼합기체이며, 주성분인 산소와 질소 외에 소량의 CO2, Ar등 비활성기
체를 포함되어 있으며, 때와 장소에 따라 수증기, 탄화수소, SO2, CO, NH3 등의 기체 또는 먼지,
꽃가루, 미생물, 염화물 등의 무기질, 타르 성분 등의 고형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제거
한 건조공기는 지상 20(km)이하에서는 그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한다.
대기 중에는 이들 공기의 구성물질 이외에 자연이나 인간이 발생하는 먼지나 가스, 증기 등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조화의 이론적인 계산에서는 건조공기와 수증기의 혼합물을 공기로
삼고 있다.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를 건조공기(dry air)라고 하고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를
습공기라고 한다.
표 1-1 건조공기
구 분 조 건
1) 건공기
① 상태식
×
- 46 -
② 엔탈피(enthalpy)
건공기의 정압비열은 1기압 전후의 압력에서는 –100 ~ 100℃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취급한다. 0℃인 건공ㄱ의 엔탈피는 0 kJ/kg으로 이를 기준으로하여 임의 온도 t의 엔탈피는
2) 습공기의 용어
① 건구온도 (dry bulb temperature : DB, t)
온도계의 감온부가 건조상태로 측정된 공기의 온도, 주위의 복사열을 받지 않게 측정하여야
오차를 방지 할수 있다.
② 습구온도 (wet bulb temperature : WB, t)
온도계의 감온부를 습윤으로 싸서 감온부를 습윤 상태로 측정한 온도, 측정시 감온부를
5m/s 이상의 기류에 두지 않으면 정확한 습구온도를 얻을 수 없다. 습구온도는 단열 포화
온도와 같다.
③ 노점온도 (dew-point temperature : DP, t)
수증기를 함유한 습공기가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여분의 수증기가 응축되며 미세한
물방울이 된다. 이 때의 온도를 노점온도라하며 어느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에 대한 수증기의
포화 온도이다.
④ 상대습도 (relative temperature : RH, Φ)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과 그 온도에 대한 포화공기의 수증기 분압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
이다.
습공기의 수증기분압
×
포화공기의수증기분압
⑤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 : x)
건공기 1kg을 포함하는 습공기 중의 수증기량 x(kg)을 말한다. 단위는 [kg/kf dry air]으로
표시한다.
- 절대습도 x[kg/kg dry air] : 습공기 (1+x)kg 가운데 1kg의 건조공기와 x kg의 수증기가
혼합된 것이다.
⑥ 비교습도 (percentage humidity : Ψ)
어떤 습공기의 절대 습도와 같은 온도인 포화 공기의 절대습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
어떤습공기의절대습도
비교스도 ×
같은온도포화공기의절대습도
⑦ 비체적 (비용적)
건공기 1kg과 수증기 x kg을 함유한 습공기(1+x)kg의 체적이 비체적이며 V 로 나타낸다.
⑧ 비엔탈피
습공기의 비엔탈피는 0℃의 건공기와 물이 비엔탈피를 기준점으로 하여 건공기 1kg당의 kJ로
표시, 절대습도 x(kg/kg dry air)의 습공기의 엔탈피는, 겅공기 1kg의 비엔탈피와 x
kg의수증기 비엔탈피의 합이다.
⑨ 수증기 분압
- 47 -
혼합기체에서 각 성분만으로 전체 체적을 채웠다고 가정할 때 예상되는 압력을 분압이라
한다. 각 성분의 분압의 총합은 혼합기체의 압력과 같다. 습공기는 건공기와 수증기와
수증기의 혼합기체로 생각 할 수 있고, 이 때의 수증기의 분압은 pw(mmHg)로 표시된다.
⑩ 포화공기 (saturated air)
공기중에 포함될수 있는 수증기 양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른데 이
한계까지 수증기를 포함시킨 공기를 포화공기라 하고 이때의 수증기압을 포화수증기압이라
한다.
⑪ 단열포화온도
기류중에 물방울을 분무하면 공기와 물방울 사이에 열전달과 물질이동(증발 또는 응축)이 일
어나서 수온과 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변한다. 그러나 물방울의 증발과 공기로부터의 열전달
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는 수온은 변화하지 않고 공기는 가습이 되는데, 공기온도는 점점
수온에 근접하게 되며 포화상태가 되면 수온과 같아진다.
이를 단열포화온도라 하며 입구공기 온도와 습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 48 -
여기서
대기압 해발의표준기압
수증기
포화수증기분압
포화공기의절대습도
절대습도
건조공기의분자량
수증기의분자량
건조공기의기체상수
수증기의기체상수
상대습도
비교습도
비체적
절대온도
건구온도 ℃
엔탈피
정압비열
건공기의정압비열
수증기정압비열
℃의물의증발열
3-3-2. 습공기 선도 작도 실무 관련 지식
습공기 선도는 노점온도(D.T:dewpoint temperature), 건구온도(D.B:dry bulb
temperature), 상대습도(R.H:relative humidity), 습구온도(W.B:wet bulb tempera -ture), 절대
습도(S.H:specific humidity) 포화도(%), 엔탈피(I) (㎉/㎏`), 건조공기(dry air), 헌열 감열비
(SHF), 습공기(moist air), 비체적(ν)(㎥/㎏`), 절대습도(χ)(㎏/㎏`), 수증기분압(Pw ) 현열,
잠열, 습공기 엔탈피, 열수분비(U) 등을 알 수 있다.
- 49 -
습공기 상태 변화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열 :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건구온도가 증가하며, 상대습도는 감소
한다.
냉각 : 습공기를 냉각하면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절대습도가 일정하고 건구온도가 감소
하지만 포화상태에 도달한 후부터는 절대습도 도 감소한다.
가습 :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가습만하는 경우는 실제적으로는 거의 이용하지 않으며 이론상
가습량을 나타낸다.
감습 :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절대습도와 상대습도가 감소한다.
냉각감습 :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감습도 이루어진다.
가열가습 : 가열기 온수분무사용, 가열기 증기분무사용하여 가열가습한다.
단열혼합 : 이종의 공기를 열의 출입이 없이 혼합할 때의 혼합공기상태를 말한다.
단열변화 : 입구공기의 습구온도와 같은 수온의 물을 단열 분무하면 습구 온도선을 따라 변화
한다.
그림 1-6 공기선도의 실제 변화
공기선도상의 실제 변화에서 1→2 가열, 1→3 냉각, 1→4 가습, 1→5 감습, 1→6 가열가습, 1→
7 가열감습, 1→8 냉각가습, 1→9 냉각감습, 1→10 증발냉각감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열량 및 가습량은 그림 1-6에 나타낸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50 -
3-3-3. 습공기 선도의 구성
그림 1-7 습공기 선도 구성
엔탈피변화량 현열비
열수분비 현열비
절대습도변화량 전열비
- 51 -
3-3-5. 습공기 선도의 기본 변화와 계산
(1) 가열
(2) 냉각
o 상태변화
1) 1‘- 2: 코일의 표면온도가 공기의 이슬점보다 높은 경우로서 절대습도 무변, 상대습도 증가
2) 1-2: 코일의 표면온도가 공기의 이슬점보다 낮은 경우, 제습냉각이며 절대습도 감소
3) P점 : 장치노점온도, 평균 표면온도(코일의 토출 온도 2는 1-P선상에 위치)
코일의 열수에 따라 각 열의 평균 표면온도가 변하므로 실용 계산에서는 전체적인 평
균 표면 온도를 사용하여 1-2로 직선의 연결선상의 상대습도 100% 점을 적용한다.
선분
4) Bypass Factor : 로 나타내며, 코일의 열수, 통고공기의 속도에 변화
선분
- 52 -
o 상태 변화
1) 1’-2‘: 코일의 표면온도가 공기의 이슬점보다 높은 경우로서 절대습도 무변, 상대습도 증가
2) 1 - 2 : 코일의 표면온도가 공기의 이슬점보다 낮은 경우, 제습 냉각이며 절대습도 감소
3) P 점 : 장치노점온도, 평균 표면온도(코일의 토출온도 2는 1-P 선상에 위치
코일의 열수에 따라 각 열의 평균온도가 변하므로 실용 계산에서는 전체적인 평균 표면
온ㄷ를 사용하여 1-2로 직선의 연결선상의 상대습도 100% 점을 적용한다.
4) Bypass Factor : 선분(2-P)거리/선분(1-P)로 나타내며, 코일의 열수, 통과 공기의 속도에 변화
- 53 -
물방울의 일부가 증발하여 공기의 온도는 하강하고 절대습도는 상승
o 열전달량 : × × 분무수량 입출구수온℃
o [문제] 냉각전 공기의 엔탈피 82.1[kJ/kg], 냉각 후 공기의 엔탈피 69.1[kJ/kg]때 냉각코일 용
량 안전율을 10%이면 이때 코일 냉각시 열량을 계산하시오.
× × ×
∗
×
(4) 가습일반
- 54 -
3) 냉각가습: 분무수의 온도가 공기의 건구온도 보다 낮고, 습구온도 보다 높으며 수온이 일정
한 경우(우측 그림, C와 같이 냉각 가습되는 상태)
4) 분무수의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
앞의 1),2),3)에서는 분무수의 온도가 분무 낙하 중 일정하여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하
였다. 그러나, 실제 에어와셔에서는 분무수량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낙하 중 수온이 변화한
다. 수온은 상부 그림의 점 B에서 D쪽으로 변화하고, 공기의 출구상태는 각각 C점에서 E점으
로 이동된다.
5) [문제] 조건: 건구온도 10℃, 절대습도 0.0038[kg/kg’], 공기량 1000[kg/h]일 때 건구온도
26℃, 절대습도 0.017[kg/kg’]fh 가열, 가습 할 때 필요한 열량 및 가습수량, SHF를 구하
시오.
현열비
- 55 -
o 화학감습 : 실리카겔 등의 고체흡착, 염화리튬 등의 액체흡수(좌측 그림)
o 상태변화 : 고체흡착 : 흡착열로 열수분비상 가열(1->2a)(좌측 그림)
액체흡수 : 습구온도 일정선상을 다라 변화(좌측 그림)
o 상태변화 : 점 1, 점 2를 연결한 선상에 점 3점은 혼합비에 따라서 결정(우측 그림)
선분
선분
o 단열혼합 : 외기를 2, 외풍량을 실내환기를 1, 실내풍량을 이라면 혼합공기 3의 온도,
습도 및 엔탈피는 다음과 같다.
[혼합식]
o [문제] 조건: 건구온도 27℃ , 절대습도 0.011(kg/kg), 공기량 700kg/h, 건구온도 35℃,
절대습도 0.024(kg/kg`), 공기량 300kg/h 를 혼합할 경우 t3, h3, Χ3를 구하라
- 56 -
(7) 장치노점온도 (apparatus dew point : ADP )
공기가 냉수를 분무하는 공기세정기 또는 냉각코일을 통과하는 경우 충분하게 물방울과 접촉
하여 100% 열교환을 하게 되면 어떤 포화상태가 된다. 이 온도를 코일의 장치노점온도
(apparatus dew point, ADP)라고 한다.
SHF가 일정한 경우 B의 상태인 실내공기를 A상태로 냉방을 하는 경우에는 B-A의 연장선상인
B-A=A-B'인 점B'상태로 송풍하면 된다. (SHF 선상에서 벗어나면 설계조건에 적합하지않은 상
태가 된다) 이 경우 B'공기보다 'C', 'C'보다는 D의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공기량이 적게 든
다. 더욱이 그 극한은 E의 상태이며, 이 공기를 송풍하는 경우는 최소공기량으로 될 수 있다.
점 E에서는 건구온도, 습구온도 및 노점온도가 같게 되며, 이 온도를 장치노점온도(ADP)라고
한다.
- 57 -
o 냉방시
공조기 내의 공기 냉각기에서 외기 2와 실내에서 환기 1과의 혼합 공기 3을 냉각 감습한 후 송
풍기와 덕트에서 현열취득 정도만큼 온도 상승(4-5)한 공기를 실내에 취출한다. 이때 상태점 5
는 냉방시의 SHF선상에 있어야 한다.
o 난방시
공조기내의 공기가 가열기로 외기 2와 실내에서 환기 1과의 혼합공기 3을 4까지 가열하고 가습
기에 의해 4“까지 가습(증기 가습)한 후 ㅅㄹ내에 송풍한다.
❋ 송풍기 동력에 의한 현열 취득과 덕트에서 현열 손실은 존재하지만 그림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o 재열 방식
현열비 SHF가 적어, SHF선이 포화공기선과 교차할 수 없는 경우에 공조기에서 일단 외기와 환
기와의 혼합 공ㄱ를 냉각 감습한 후 가열기로 재열(4-4”)할 필요가 있다.
크린룸 등 정밀 제어를 요하는 실의 취출구 전단, 또는 공조기에서 냉각 코일 후단에 설치하여
사용
o 가변풍량 방식
일반 공조 방식에는 송풍량을 일정하게, 온실에 대한 송풍온도가 변하고 있지만 냉방시에 실온
이 저하할 때 송풍량을 감소하고 조정할 수 있는 것이 가변풍량방식(VAV방식)이다.
- 58 -
o 수공기유인 유니트
중앙공조기에서 취입하는 외기를 처리한 후 그 공기(일차공기라 한다.)를 실내에 설치한 유인
유닛에 보내고 노즐에서 고속으로 취출해서 실내 공기를 유인, 혼합하여 실내에 취츨한다.
- 유인유닛 내 코일에 냉수(하계)혹은 온수(동계)를 통과하고 냉각 혹은 가열한 유인 공기(이
차 공기라 한다,)를 일차 공기와 혼합한 방식과
- 유인유닛내 코일에 보통 냉수를 통과시키고 일차 공기를 미리 냉각 감습(하기)혹은 가열가습
(동기)하여 보내는 방식 등이 있다.
o 바이패스 제어방식
공조기 주위에 바이패스 덕트를 설치하고 시내에서 환기의 일부를 공조기에 통과하여 바이패스
되고 공조기에서 처리한 공기와 혼합하여 실내에 송풍하는 방식
- 송풍량에 비하여 열부하가 작고 크린룸과 항온항습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 처리 공기와 바이패스 공ㄱ의 혼합한 상태 5는 바이패스 풍량의 변화에 따라서 4-1(냉방시)
혹은 4“-1(난방시)의 선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 59 -
4. 공기조화 실험장비 운전회로 구성과 운전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1. 릴레이 회로 구성하기
4
장비 및 공구 재료명 규격 수량
1. 제어 회로도
- 60 -
2. 릴레이
- 61 -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1. 릴레이 회로 구성하기
4
ㆍ요구 사항
1.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준비․점검한다.
2.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운전한다.
3. 릴레이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한다.
4. 회로의 동작 기능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PB1를 누르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PB1를 놓으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5. 회로에서“a”“b”접점을 설명할 수 있다.
6.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실배선하고 운전한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작품평가 실배선 회로 구성 동작 20
평 (70점) 실배선 및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작업 태도 및 안전 5
기 작업평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 정돈 5
준
작품 작업 시간
총점
시간평가 평가 평가 평가
ㆍ소요시간(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20점)
- 62 -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2. 전자접촉기 회로 구성하기
4
장비 및 공구 재료명 규격 수량
1. 제어 회로도
- 63 -
2. 전자접촉기(MC : Magnetic Contactor)
3. “a"접점회로와 ”b"접점회로
(1) N.F.B 스위치를 on상태로 하면 MC-b 접점이 닫혀있으므로 RL이 ON되고, MC-a접점이 열려있으므로
CFM과 부저는 OFF 한다. (PB1스위치는 열린상태)
(2) PB1스위치를 닫으면 이젠 반대로 전자코일 MC가 여자되고 MC-a접점이 닫히므로 CFM과 부저가 ON
되고 MC-b접점이 열려서 RL은 OFF 된다.
(3) arbeit contact는 『일하는 접점』이라는 뜻으로 머리글자를 따서 “a”로 표시한다.
(4) break contact는 『열리는 접점』이라는 뜻으로 머리글자를 따서 “b”로 표시한다.
- 64 -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2. 전자접촉기 회로 구성하기
4
ㆍ요구 사항
1.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준비․점검한다.
2.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운전한다.
3. MC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한다.
4. 회로의 동작 기능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PB1를 누르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PB1를 놓으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5. 냉동전기 회로에서“a”접점과“b”접점을 설명할 수 있다.
6.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실배선하고 운전한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작품평가 실배선 회로 구성 동작 20
평 (70점) 실배선 및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작업 태도 및 안전 5
기 작업평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 정돈 5
준
작품 작업 시간
총점
시간평가 평가 평가 평가
ㆍ소요시간(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20점)
- 65 -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3. 온도 스위치의 온도 설정 작업하기
8
장비 및 공구 재료명 규격 수량
1. 온도 설정 회로와 작동 원리
- 66 -
L1, L2 : Line Voltage CFM : Condenser fan motor
N.F.B : Molded circuit breaker SV1 : Solenoid valve 1
COMP : Compressor motor TC : Chamber inner Temp’ switch
MC-a : Magnetic contactor“a”contact
* 온도 제어 운전/정지 곡선
- 67 -
2. 온도 제어 회로도를 통해 냉방 시스템 운전하기
① NFB 전원을 인가하면 PL (전원램프)가 켜지는지 확인하다. PB1을 눌러 MC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한다.
② PB 1을 누르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Mc-a 가 작동되어 TC1 (챔버 내부 온도조절기)의 전원
이 인가되며, 설정된 온도 값에 따라 Comp, CFM, SV1 (전자밸브1)이 작동한다.
③ PB 1을 누를 시 Mc-a 에 의해 인가된 TC(온도조절기)에서 L접점이 닫혀있는 상태이다.
④ PB 1을 떼면, TC(온도 조절기)의 H 접점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H 접점과 연결된 Comp1,
CFM이 작동하며, SV1(전자밸브1)가 열린다.
⑤ TC(온도 조절기) L 접점에 전원이 인가되면 Comp와 CFM은 작동이 꺼지고, SV1(전자밸브1)는 닫
힌다.
⑥ TC(온도 조절기)는 챔버 내부 온도 제어를 말한다. 온도 설정 값은 외기 온도(Ambient or
Outsude) 이하 값으로 설정한다. 설정된 증발 온도 보다 현재 증발 온도가 높기 때문에 H접점이
작동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H접점이 작동하면 이와 연결된 Comp과 CFM이 작동하며
SV1(전자밸브1)이 열리면서 증발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H 접점 제어를 통해 증발 온도 값이
TC(온도조절기) 설정 온도 값 보다 낮아지면 L 접점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⑦ L 접점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H접점과 연결된 Comp과 CFM은 작동이 꺼지며 SV1은 닫히면서, 냉
매 순환이 멈추게 된다.
⑧ 제어 회로도처럼 연결을 한 후 위와 같은 작동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운전하는 지 확인한다.
3.온도조절기 세팅
① PV: 측정값 표시부 (적색)
감지되고 있는 현재 측정수치를 표시합니다.
설정모드시 설정항목을 표시합니다.
② SV: 설정값 표시부 (녹색)
조작하고자 하는 설정수치를 표시합니다.
설정모드시 설정값을 표시합니다.
③ SV2: SV2 동작 표시램프
④ AT: 오토튜닝 동작램프
⑤ OUT: 출력동작 표시램프
⑥ EV1,2: EVENT 출력 표시램프
⑦ MD key: 모드키
3초간 누르고 있으면 설정모드로 진입합니다.
⑧ AT key: 오토튜닝 실행 키
⑨ ⩓⩔⟪: 설정값 조작 키
- 68 -
* 설정값 변경 순서
* 편차값 변경 순서
- 69 -
③ ⩓⩔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편차값으로 조정 ④ 편차값 조정이 끝나면 MD키를 누릅니다. 설
합니다. 기본 2℃로 설정되어 있으며 1~100℃ 정값이 저장되고 운전상태로 복귀합니다.
범위에서 1℃간격으로 조정 가능합니다.
- 70 -
소요시간
작업과제명 4-3. 온도스위치의 온도 설정 작업하기
8
ㆍ요구 사항
1.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준비․점검한다.
2.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운전한다.
3. 온도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원리를 이해하고 저온 자동제어 설정값에 맞는 셋팅을 할 수
있고 설명한다.
4. 회로의 동작 기능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PB1을 누르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운전 중 온도 스위치가 열려서 냉동작용이 멈추는 과정을 설명한다.
(3) 운전 중 온도 스위치가 닫혀서 냉동작용이 진행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4) PB2를 누르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5. 온도분포 및 편차 테이블에 측정 및 조정한 자료를 기록․유지한다.
6. 실험장비,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실배선하고 운전한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작품평가 실배선 회로 구성 동작 20
평
(70점) 실배선 및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평가
작업 태도 및 안전 5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 정돈 5
준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71 -
소요시간
실험과제 4-4. 혼합 냉각 공기조화 시스템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공기조화 시스템 사양
(1) 냉각부
① Compressor
- Capacity : R-22, 3/4 HP, 중온용
- 전기 사양 : 단상 220V, 60 Hz, 16W
- Control Box 포함 : 릴레이, 컨덴서 내장
② Pressure guage
- High side : 1~35kg/cm2
- Low side : 30inHg~15kg/cm2
③ Condenser
- Model : IS-4425 YSB
- Surface Area : 47㎡ (12step× 4row× 345EL× 3/8")
- 응축열량 : 1175kcal/h
- 냉매 접속관 3/8″in/out)
- Fan & motor : 220V, 60Hz, 0.47A
④ Expansion valve
- Capacity Range : 0.5 ~ 1.5 tons
- Te : 0℉(-10℃)
- Press. Drop : 125psig
- Capacity : 1.48ton
⑤ Pre/Re Cooler
- Fin & Tube : 2.5M/M× 3/8"× 7Step× 3Row× 165EL
- Surface Area : 1.5m2
- 72 -
(2) 가열부
① Pre/Re heater
- Type : "M"
- Capacity : AC 220V× 1phase× 1kw
② Blower & Motor
- Type : Axial Fan (propeller type)
- Power : AC220V× 60hz× 1phase
- Fan & Motor : 12CMM× 225Ø × 1550RPM
(3) 가습부
① Pump for a humidity
- Type : 수중 펌프
- Head : 1000mm
- Max Head : 2500mm
- Max Capacity : 16ℓ/min
- Min Capacity : 13ℓ/min
- Power : Ac220V× 60hz× 30w× 1phase
② Heater for Humidify water
- Type : 전기식
- Capacity : AC220V× 1phase× 1.5kw
(4)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1 덕트 구성도
- 73 -
(5) 운전 조건
① 냉매 증발 압력 : 1.9kg/cm2G (Te : -15℃)
② 냉매 응축 압력 : 11kg/cm2G (Tc : 30℃)
③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 (△T) ; 5℃
④ 팽창 밸브 직전 냉매 온도 : 25℃
⑤ 공조실 온도설정 : 15℃, 편차 : 2℃
⑥ 취출 공기 온도 : 10℃ 설정 (Compressor 정지 기동)
⑦ 외기온도 : 31℃
(6) 운전 순서
①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② Dry bulb temp. controller의 설정온도를 15℃로 맞춘다.
③ 가습장치의 수조에는 물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④ 가열부의 전기히터 및 냉각부가 작동 시에는 반드시 Blower가 가동되어야 한다.
⑤ N.F.B를 on 한다.
⑥ T/S.W를 on 하여 Dx-coil 및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⑦ 각 상태점을 측정한다.
그림.3 혼합->냉각 운전
- 74 -
(7) 측정 및 운전 방법
① 가동 시 송풍기(Blower Fan)은 덕트 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작동시킨다.
② 송풍기(Blower Fan)는 다양한 부하 실험이 가능하도록 송풍팬의 속도 조절기를 부착하여
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③ 챔버는 공기조화 실험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④ 챔버 내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하여 혼합, 예냉, 혼합, 재냉의 작동을 수행한다.
⑤ 기동 전에 각 상태점의 온도를 기록하고 최초 기동 시 기동전류를 측정하고 운전 전류도
측정 기록한다.
⑥ 설정 온도까지 계속 운전하면서 매 1sec 마다 Program 온도 Sheet에 예시된 각 상태점의
온도를 측정 기록한다.
⑦ 증발 온도(압력) : 설정 온도(공조실)보다 15℃ 정도 낮게 설정한다.
⑧ 운전 회로 :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⑨ 응축팬 제어 : 응축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 75 -
⑤ 이 때 냉각장치는 냉동기가 작동하며 설정 온도제어로 운전을 제어한다.
⑥ 실내 온도, 압력, 습도 변화는 프로그램의 데이터 저장 파일에 실시간 저장 된다.
⑦ 데이터는 저장된 파일의 수치 변화를 실시간 비교 분석하여 공조장치의 실험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⑧ 예냉 및 냉각의 2중 냉각 시스템으로 빠른 냉각시간 내에 쳄버 내의 온도를 강하 시킬 수
있다.
그림. 4 혼합->2중 냉각 운전
[데이터 저장 파일 내용 : 예]
표 1 데이터 저장파일
℃ ℃ ℃ ℃ ℃ ℃ ℃ ℃ kPa kPa % %
2022-06- 26.8 16.7 12.3 13.9 15.9 12.5 13.9 20 3.6 1.5 54.5 88.4
22 14:47
2022-06-
22 14:51 26.9 19.9 20.2 20 19.7 18 19.1 18.4 3.6 2.3 54.5 89.6
2022-06- 27.7 15.5 9.6 10.2 13 2 4 9.5 3.8 1.2 53 44.6
22 14:55
2022-06-
22 15:00 27.9 13 6.7 6.8 10.2 -1 0.6 6.4 3.8 1 52 38.5
2022-06- 28 11.3 5.8 5.8 9 -4 -1 4.6 3.8 0.9 51.7 38.3
22 15:05
2022-06-
22 15:10 28 10.6 5 4.9 7.8 -6.1 -1.7 3.6 3.8 0.9 51.5 37.9
2022-06- 28.4 10.1 5 4.8 7.6 -6.6 -2.2 3.4 3.9 0.8 51.5 37.7
22 15:11
2022-06-
22 15:11 28.4 10.1 5 4.8 7.6 -6.6 -2.2 3.4 3.9 0.8 51.5 37.7
- 76 -
(8) 냉각 시스템
① 냉동장치 구성도
② 각 상태점 및 엔탈피
- 77 -
③ 측정 Table
표 2 측정 테이블
(9) 혼합 → 냉각
OA : 외기도입공기 RA : 실내리턴공기
CC : 냉각코일 PCC : 예냉코일
1 → 3 ← 2 냉각된 외부 도입 공기와 실내의 리턴 공기 혼합되는 과정이다.
3 → 4 혼합된 공기가 냉각하는 과정이다
그림.7 혼합 → 냉각 선도
- 78 -
표 3 혼합->냉각 운전시의 공기 상태 변화 Sheet
(10)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15℃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Dx-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풍량을 측정하여 공기 냉각부하와 Dx-Coil 시스템의 부하를 비교 검토 한
다.
<공조 시스템>
그림.7 혼합 → 냉각 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한다. 조건은 다음과같다.
현열 7,000[kg/h], 잠열3,000[kg/h], DB: 31[℃], 일 때, RH: 65[%],
′ DB: 15[℃], 일 때, RH: 55[%],
′ DB: 10[℃], 일 때, RH: 55[%],
′ 이다.
- 79 -
D. 3에서 5까지 냉각되는데 필요한 열량( ) : [kW]
여기서 공기량
= ( ) x ( ) = ( )[kW]
E.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수분량( ) : [kg/h]
= ( ) x ( )= ( )[kg/h]
F. 냉각 시 엔탈피 변화량은( ) : [kW],[kJ/kg]
= ( ) x ( )= ( )[kW],[kJ/kg]
H.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전열량
I. 열수분비 (U) ( )[kg/h]
∆ 절대습도
<냉동 시스템>
- 80 -
F. 건조도 (X) :
X = 후레쉬 가스량(F) / 증발잠열(LH)
= ( )kJ/kg / ( ) kJ/kg
= ( )
G. 냉매 순환량(G) : kg/h
G = 3320 kcal/h / 냉동효과( e ) kcal/kg q = ( )kg/h
3
H. 압축기 흡입가스(냉매증기)의 체적(V) : [m /h[
V = 냉매 순환량(G) kg/h × 압축기흡입증기의 비체적(υ) m3/kg
= G ․ υ = ( ) kg/h × ( ) m3/kg = ( ) m3/h
I. 압축비
= 토출 압력(절대압력) / 흡입 압력(절대압력)
= ( ) kg/cm2 / ( ) kg/cm2 = ( )
J. 압축기의 소요일의 열당량 : kJ/h
= 냉매 순환량G(kg/h) × 압축 일량AW(kJ/kg)
= ( )kg/h × ( )kJ/kg
= ( )kJ/h
K. 압축기의 소요동력(HP, Kw) : 1kw=860kcal/h , 1hp=632kcal/h
= 소요일의 열당량(kJ/h) / 860kcal/h = ( ) kw
= 소요일의 열당량(kJ/h) / 632kcal/h = ( ) hp
L. 이론적인 성적 계수 (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
= 압축 일량에 대한 냉동효과
냉동효과 ( qe )
=
압축일량 ( AW ) = =
( )
- 81 -
[해석] 표 3 혼합->냉각 운전시의 공기 상태 변화
[해석] (10)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15℃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Dx-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풍량을 측정하여 공기 냉각부하와 Dx-Coil 시스템의 부하를 비교 검토 한
다.
- 82 -
D. 3에서 5까지 냉각되는데 필요한 열량( ) : [kW]
여기서 공기량
= [( x (44.024 – 20.58) ]/3600= ( 78.46 )[kW]
E.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수분량( ) : [kg/h]
×
= ( ) x (0.009608 – 0.00417)= ( 65.51 )[kg/h]
F. 환기 시 엔탈피 변화량은( ) : [kW],[kJ/kg]
= [( ) x (29.79 – 20.58)]/3,600= ( 30.82 )[kW],[kJ/kg]
H.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전열량
I. 열수분비 (U) [kg/h]
∆ 절대습도
- 83 -
D. 증발잠열(LH) : kJ/kg
LH = 증발기 출구 가스 냉매 엔탈피(h6) - 증발온도선상의 포화액점의 엔탈피(h포액)
= ( 1619.98 ) kJ/kg - ( 200.93 ) kJ/kg
= ( 1419.05 ) kJ/kg
E. 후레쉬 가스 발생량(F) : kJ/kg
F = 증발기 입구 냉매의 엔탈피(h4,5) - 증발온도 선상의 포화액점의 엔탈피(h포액)
= ( 535.81 ) kJ/kg - ( 300.93 ) kJ/kg = ( 234.88 ) kJ/kg
F. 건조도 (X) :
X = 후레쉬 가스량(F) / 증발잠열(LH)
= ( 234.88 )kJ/kg / ( 1419.05 ) kJ/kg
= ( 0.1655 )
G. 냉매 순환량(G) : kg/h
q
G = 3320 kcal/h / 냉동효과( e :1126.03) kcal/kg = ( 2.95 )kg/h
3
H. 압축기 흡입가스(냉매증기)의 체적(V) : [m /h[
V = 냉매 순환량(G) kg/h × 압축기흡입증기의 비체적(υ) =0.0785 m3/kg
= G ․ υ = ( 2.95 ) kg/h × ( 0.0785 ) m3/kg = ( 0.232 ) m3/h
I. 압축비
= 토출 압력(절대압력) / 흡입 압력(절대압력)
= ( 1.175 ) MPa / ( 0.31 ) MPa = ( 3.79 )
J. 압축기의 소요일의 열당량 : kJ/h
= 냉매 순환량G(kg/h) × 압축 일량AW(kJ/kg)
= ( 2.95 )kg/h × ( 234.42 )kJ/kg
= ( 691.54 )kJ/h
K. 압축기의 소요동력(HP, Kw) : 1kw=860kcal/h , 1hp=632kcal/h
= 소요일의 열당량(kJ/h) / 860kcal/h = ( 0.27 ) kw
= 소요일의 열당량(kJ/h) / 632kcal/h = ( 0.37 ) hp
L. 이론적인 성적 계수 (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
= 압축 일량에 대한 냉동효과
냉동효과 ( qe )
=
압축일량 ( AW ) = =
( 4.8 )
- 84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85 -
소요시간
실험과제 4-5. 공기조화의 혼합 -> 냉각 -> 재열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시스템 사양
(1) 냉각부
① Compressor
- Capacity : R-404a, 3/4 HP, 중온용
- 전기 사양 : 단상 220V, 60 Hz, 16W
- Control Box 포함 : 릴레이, 컨덴서 내장
② Pressure guage
- High side : 1~35kg/cm2
- Low side : 30inHg~15kg/cm2
③ Condenser
- Model : IS-4425 YSB
- Surface Area : 47㎡ (12step× 4row× 345EL× 3/8")
- 응축열량 : 1175kcal/h
- 냉매 접속관 3/8″in/out)
- Fan & motor : 220V, 60Hz, 0.47A
④ Expansion valve
- Capacity Range : 0.5 ~ 1.5 tons
- Te : 0℉(-10℃)
- Press. Drop : 125psig
- Capacity : 1.48ton
⑤ Pre/Re Cooler
- Fin & Tube : 2.5M/M× 3/8"× 7Step× 3Row× 165EL
- Surface Area : 1.5m2
- 86 -
(2) 가열부
① Pre/Re heater
- Type : "M"
- Capacity : AC 220V× 1phase× 1kw
② Blower & Motor
- Type : Axial Fan (propeller type)
- Power : AC220V× 60hz× 1phase
- Fan & Motor : 12CMM× 225Ø × 1550RPM
(3) 가습부
① Pump for a humidity
- Type : 수중 펌프
- Head : 1000mm
- Max Head : 2500mm
- Max Capacity : 16ℓ/min
- Min Capacity : 13ℓ/min
- Power : Ac220V× 60hz× 30w× 1phase
② Heater for Humidify water
- Type : 전기식
- Capacity : AC220V× 1phase× 1.5kw
(4)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 1 덕트 구성도
- 87 -
(5) 운전 조건
① Ambient Condition
- Dry Temp : 31 ℃
- Wet Bulb Temp : 27.5 ℃
- Relative Humidity : 65%
② Air Conditioning Room
- Dry Temp : 26 ℃
- Relative Humidity : 55 %
③ 취출 공기 온도 ; 20 ℃
④ Return Air Temp : 28 ℃
⑤ Heating Coil Capacity : 1 kW
⑥ 표준 공기 밀도 : ,(1.2kg/m3)
×
⑦ 외기 도입량 : 송풍량의 25 %로 도입한다. (댐퍼 개도율 : 1/4)
⑧ 환기량 및 배기량 : 환기량이 송풍량의 75 %가 되게끔 배기 댐퍼를 조절한다.
표 1 Volume (CMM)
외 기 배 기 환 기 급 기
- 88 -
표 2 Free Area ( )(참고 사항 : 실험실습 현장측정 연습)
OA : 외기 도입 공기
RA : 실내 리턴 공기
SA : 쳄버 취출 공기
EW : 배출 공기
H : 재열 코일
- 89 -
그림. 3 혼합 -> 냉각 -> 재열 운전 회로도
- 90 -
5 → 6 재열코일로 가열과정이다.
3 → 5 냉각을 ㅎ면서 습도가 낮아지는 과정이다.
6 → 2 급기된 공기가 쳄버를 통하여 환기 하는 과정이다.
(10)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26℃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Dx-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풍량을 측정하여 공기 냉각부하와 Dx-Coil 시스템의 부하를 비교 검토 한다.
<공조 시스템>
그림.7 혼합 → 냉각 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한다.
- 91 -
= ( ) x ( ) = ( )[kW]
k.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 92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93 -
4-6. 혼합 가열 증발냉각(순환수)가습(Humidity) 공기조화 시스템 소요시간
실험과제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공기조화 시스템 사양
(1) 가열부
① Pre/Re heater
- Type : "M"
- Capacity : AC 220V× 1phase× 1kw
② Blower & Motor
- Type : Axial Fan (propeller type)
- Power : AC220V× 60hz× 1phase
- Fan & Motor : 12CMM× 225Ø × 1550RPM
(2) 가습부
① Pump for a humidity
- Type : 수중 펌프
- Head : 1000mm
- Max Head : 2500mm
- Max Capacity : 16ℓ/min
- Min Capacity : 13ℓ/min
- Power : Ac220V× 60hz× 30w× 1phase
② Heater for Humidify water
- Type : 전기식
- Capacity : AC220V× 1phase× 1.5kw
- 94 -
(3)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1 덕트 구성도
(4) 운전 순서
①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② Dry bulb temp. controller의 설정온도를 15℃로 맞춘다.
③ 가습장치의 수조에는 물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④ 가열부의 전기히터 및 냉각부가 작동 시에는 반드시 Blower가 가동되어야 한다.
⑤ N.F.B를 on 한다.
⑥ T/S.W를 on 하여 Heating coil 및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⑦ 각 상태점을 측정한다.
(5) 회로도 구성 방법
① “POWER M”GND OUT PUT 와 TERMINAL BASE M“BMF”“-”단자와 연결 한다.
② 계속“BFM” “-”단자, “HEATER 2” “-”단자에서 가습기 “POMP” “-” 단자와 연결하여
“-”단자쪽의 구성을 완료한다.
③ “POWER M”DC 24V OUT PUT 단자와 S.W MODULE“TOGGLE S.W”의 “C”접점과 연결하고
“a”접점으로부터 BFM“-”단자와 연결한다.
④ “Relative Humidify”“COM”단자로부터“Humidify water temp”“COM”단자로 연결하고
“H”단자로부터“Heater 2”“+”단자로 연결한다.
⑤ “BFM”“+”단자에서“THERMO METER M”의 “Relative Humidify”“COM”단자와 연결하고
“on”단자로부터 “Pump”“+”단자와 연결한다.
⑥ 디지털 온도․습도 스위치“Relative Humidify”“Humidify water temp”“Reheating”의
온도와 습도를 설정한 후에 토글스위치를 “on”하여 공기 혼합, 가열, 순환수 분무 가습 운전한다.
- 95 -
그림.2 혼합->가열->가습(순환수) 운전 회로도
(6) 측정 및 운전 방법
① 가동 시 송풍기(Blower Fan)은 덕트 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작동시킨다.
② 송풍기(Blower Fan)는 다양한 부하 실험이 가능하도록 송풍팬의 속도 조절기를 부착하여
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③ 챔버는 공기조화 실험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④ 챔버 내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하여 혼합, 가열, 가습의 작동을 수행한다.
⑤ 기동 전에 각 상태점의 온도를 기록하고 최초 기동 시 기동전류를 측정하고 운전 전류도
측정 기록한다.
⑥ 설정 온도까지 계속 운전하면서 매 1sec 마다 Program 온도 Sheet에 예시된 각 상태점의
온도를 측정 기록한다.
⑦ 쳄버 내의 온도 : 설정 온도 22℃ 정도로 설정한다.
⑧ 운전 회로 :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⑨ 가습기 펌프 제어 : 쳄버내의 설정 가습량(RH)에 따라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 96 -
그림.3 혼합->가열->가습(순환수) 운전
(7) 혼합 → 가열 → 가습(순환수)
OA : 외기도입공기
EA : 배기
RA : 실내리턴공기
SA : 급기
H2 : 가열코일
- 97 -
[해석] 표 2 혼합 → 가열 → 가습(순환수)상태의 습공기선도 변화
(10)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22℃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Heatinng 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가습기를 통과한 공기의 가습부하와 Heating Coil 시스템의 부하를 비
교 검토 한다.
<공조 시스템>
그림.4 혼합 → 가열 -> 가습 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한다.
- 98 -
A. 혼합공기 3의 엔탈피( ) : [kJ/kg]
여기서 공기량 공기량
=( ) = ( ) [kJ/kg]
G.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전열량
H. 열수분비 (U) = ( )[kg/h]
∆ 절대습도
- 99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 습도 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100 -
소요시간
실험과제 4-7. 예냉 혼합 냉각(Cooling) 공기조화 시스템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공기조화 시스템 사양
(1) 냉각부
① Compressor
- Capacity : R-22, 3/4 HP, 중온용
- 전기 사양 : 단상 220V, 60 Hz, 16W
- Control Box 포함 : 릴레이, 컨덴서 내장
② Pressure guage
- High side : 1~35kg/cm2
- Low side : 30inHg~15kg/cm2
③ Condenser
- Model : IS-4425 YSB
- Surface Area : 47㎡ (12step× 4row× 345EL× 3/8")
- 응축열량 : 1175kcal/h
- 냉매 접속관 3/8″in/out)
- Fan & motor : 220V, 60Hz, 0.47A
④ Expansion valve
- Capacity Range : 0.5 ~ 1.5 tons
- Te : 0℉(-10℃)
- Press. Drop : 125psig
- Capacity : 1.48ton
⑤ Pre/Re Cooler
- Fin & Tube : 2.5M/M× 3/8"× 7Step× 3Row× 165EL
- Surface Area : 1.5m2
- 101 -
(2)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1 덕트 구성도
(3) 운전 조건
① 냉매 증발 압력 : 1.9kg/cm2G (Te : -15℃)
② 냉매 응축 압력 : 11kg/cm2G (Tc : 30℃)
③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 (△T) ; 5℃
④ 팽창 밸브 직전 냉매 온도 : 25℃
⑤ 공조실 온도설정 : 15℃, 편차 : 2℃
⑥ 취출 공기 온도 : 10℃ 설정 (Compressor 정지 기동)
(4) 운전 순서
①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② Dry bulb temp. controller의 설정온도를 15℃로 맞춘다.
③ 가습장치의 수조에는 물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④ Heating Coil부의 전기히터 및 냉각부 Cooling Coildl 작동 시에는 반드시 Blower가
가동되어야 한다.
⑤ N.F.B를 on 한다.
⑥ T/S.W를 on 하여 Dx-coil 및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⑦ 예냉 Cooling Coil에서 예냉된 공기가 혼합되어 냉각 Cooling Coil에서 재냉 된다.
⑧ 각 상태점을 측정한다.
- 102 -
그림.2 예냉->혼합->냉각 운전 회로도
(5) 회로도 구성 방법
① “POWER M” GND OUT PUT 와 TERMINAL BASE M “BMF” “-”단자와 연결 한다.
② 계속 “BFM” “-”단자와 “COMP”“-”단자, “CFM”“-”단자, “SV1”“-” 단자,
“SV2” “-”단자, “SV3”“-”단자, “SV4”“-”단자와 연결한다.
③ “BFM” “+”단자와 “Precooling”“COM”단자와 연결하고 “L” 단자에서 “COMP”
“+”단자, “CFM”“+”단자, “SV1”“+” 단자, “SV2”“+”단자와 연결한다.
④ “Precooling”“COM”단자와 “Recooling”“COM” 단자와 연결하고 “L”단자에서
“SV3” “+” 단자, “SV4” “+” 단자로 연결한다.
⑤ 디지털 온도․습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토글스위치를 “on”하여 운전한다.
(6) 측정 및 운전 방법
① 가동 시 송풍기(Blower Fan)은 덕트 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작동시킨다.
② 송풍기(Blower Fan)는 다양한 부하 실험이 가능하도록 송풍팬의 속도 조절기를 부착하여
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③ 챔버는 공기조화 실험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④ 챔버 내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하여 혼합, 예냉, 혼합, 재냉의 작동을 수행한다.
⑤ 기동 전에 각 상태점의 온도를 기록하고 최초 기동 시 기동전류를 측정하고 운전 전류도
측정 기록한다.
⑥ 설정 온도까지 계속 운전하면서 매 1sec 마다 Program 온도 Sheet에 예시된 각 상태점의
온도를 측정 기록한다.
- 103 -
⑦ 증발 온도(압력) : 설정 온도(공조실)보다 15℃ 정도 낮게 설정한다.
⑧ 운전 회로 :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⑨ 응축팬 제어 : 응축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그림.3 예냉->혼합->냉각 운전
- 104 -
표 1 측정 테이블
(7) 외기 예냉 → 혼합 → 냉각
OA : 외기도입공기
RA : 실내리턴공기
CC : 냉각코일
PCC : 예냉코일
- 105 -
[해석] 표 3 예냉 → 혼합 → 냉각상태의 습공기선도 변화
(10)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15℃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Dx-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풍량을 측정하여 공기 냉각부하와 Dx-Coil 시스템의 부하를 비교 검토 한
다.
<공조 시스템>
그림.7 혼합 → 냉각 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한다.
- 106 -
B. 혼합공기 4의 절대습도( ) : [kg/kg’]
′
여기서 공기량 공기량
=( ) = ( ) [kg/kg’]
H.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 107 -
<냉동 시스템>
D. 증발잠열(LH) : kJ/kg
LH = 증발기 출구 가스 냉매 엔탈피(h6) - 증발온도선상의 포화액점의 엔탈피(h포액)
= ( ) kJ/kg - ( ) kJ/kg
= ( ) kJ/kg
F. 건조도 (X) :
X = 후레쉬 가스량(F) / 증발잠열(LH)
= ( )kJ/kg / ( ) kJ/kg
= ( )
G. 냉매 순환량(G) : kg/h
G = 3320 kcal/h / 냉동효과( e ) kcal/kg q = ( )kg/h
- 108 -
I. 압축비
= 토출 압력(절대압력) / 흡입 압력(절대압력)
= ( ) kg/cm2 / ( ) kg/cm2 = ( )
※ 단위환산
1kw=860kcal/h , 1hp=632kcal/h
1kcal/h = 4.186 kJ/h
1kW = 860 x 4.186 = 3,600 kJ
- 109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110 -
소요시간
실험과제 4-8. 혼합 냉각 바이패스(By-Pass) 공기조화 시스템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공기조화 시스템 사양
(1) 냉각부
① Compressor
- Capacity : R-22, 3/4 HP, 중온용
- 전기 사양 : 단상 220V, 60 Hz, 16W
- Control Box 포함 : 릴레이, 컨덴서 내장
② Pressure guage
- High side : 1~35kg/cm2
- Low side : 30inHg~15kg/cm2
③ Condenser
- Model : IS-4425 YSB
- Surface Area : 47㎡ (12step× 4row× 345EL× 3/8")
- 응축열량 : 1175kcal/h
- 냉매 접속관 3/8″in/out)
- Fan & motor : 220V, 60Hz, 0.47A
④ Expansion valve
- Capacity Range : 0.5 ~ 1.5 tons
- Te : 0℉(-10℃)
- Press. Drop : 125psig
- Capacity : 1.48ton
⑤ Pre/Re Cooler
- Fin & Tube : 2.5M/M× 3/8"× 7Step× 3Row× 165EL
- Surface Area : 1.5m2
- 111 -
(2)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1 덕트 구성도
(3) 운전 조건
① 냉매 증발 압력 : 1.9kg/cm2G (Te : -15℃)
② 냉매 응축 압력 : 11kg/cm2G (Tc : 30℃)
③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 (△T) ; 5℃
④ 팽창 밸브 직전 냉매 온도 : 25℃
⑤ 공조실 온도설정 : 26℃, 편차 : 2℃
⑥ 취출 공기 온도 : 19℃ 설정 (Compressor 정지 기동)
⑦ 외부온도 ; 32℃(하기)
(4) 운전 순서
①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② Dry bulb temp. controller의 설정온도를 15℃로 맞춘다.
③ 가습장치의 수조에는 물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④ 가열부의 전기히터 및 냉각부가 작동 시에는 반드시 Blower가 가동되어야 한다.
⑤ N.F.B를 on 한다.
⑥ T/S.W를 on 하여 Dx-coil 및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⑦ 공조장치의 덕트부 2Damper를 “Open(개도 30%)하여 운전한다.
⑧ 각 상태점을 측정한다.
- 112 -
(5) 측정 및 운전 방법
① 가동 시 송풍기(Blower Fan)은 덕트 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작동시킨다.
② 송풍기(Blower Fan)는 다양한 부하 실험이 가능하도록 송풍팬의 속도 조절기를 부착하여
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③ 챔버는 공기조화 실험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④ 챔버 내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하여 혼합, 예냉, 혼합, 재냉의 작동을 수행한다.
⑤ 기동 전에 각 상태점의 온도를 기록하고 최초 기동 시 기동전류를 측정하고 운전 전류도
측정 기록한다.
⑥ 설정 온도까지 계속 운전하면서 매 1sec 마다 Program 온도 Sheet에 예시된 각 상태점의
온도를 측정 기록한다.
⑦ 증발 온도(압력) : 설정 온도(공조실)보다 15℃ 정도 낮게 설정한다.
⑧ 운전 회로 :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⑨ 응축팬 제어 : 응축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 113 -
그림. 3 혼합->냉각->바이패스(By-Pass) 운전
[데이터 저장 파일 내용 : 예]
표 1 데이터 저장파일
℃ ℃ ℃ ℃ ℃ ℃ ℃ ℃ kPa kPa % %
2022-06-
22 14:47 32.8 16.7 12.3 13.9 15.9 12.5 13.9 20 3.6 1.5 54.5 88.4
2022-06- 32.9 19.9 20.2 20 19.7 18 19.1 18.4 3.6 2.3 54.5 89.6
22 14:51
2022-06-
22 14:55 32.7 15.5 9.6 10.2 13 2 4 9.5 3.8 1.2 53 44.6
2022-06- 32.9 13 6.7 6.8 10.2 -1 0.6 6.4 3.8 1 52 38.5
22 15:00
2022-06-
22 15:05 32 11.3 5.8 5.8 9 -4 -1 4.6 3.8 0.9 51.7 38.3
2022-06- 32 10.6 5 4.9 7.8 -6.1 -1.7 3.6 3.8 0.9 51.5 37.9
22 15:10
2022-06-
22 15:11 32.4 10.1 5 4.8 7.6 -6.6 -2.2 3.4 3.9 0.8 51.5 37.7
2022-06- 32.4 10.1 5 4.8 7.6 -6.6 -2.2 3.4 3.9 0.8 51.5 37.7
22 15:11
- 114 -
(6) 냉각 시스템
① 냉동장치 구성도
② 각 상태점 및 엔탈피
- 115 -
③ 측정 Table
표 2 측정 테이블
그림.6 혼합 → 냉각 ->바이패스(By-Pass) 선도
- 116 -
표 3 혼합->냉각->바이패스(By-Pass) 운전시의 공기 상태 변화
(8)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32℃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Dx-Coil 의 공기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By-Pass 풍량에 의한 온도를 측정하여 공기 냉각부하와 Dx-Coil 시스
템의 부하를 비교 검토 한다.
<공조 시스템>
그림.6 혼합 → 냉각 → By-Pass 공기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
한다.
- 117 -
D.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수분량( ) : [kg/h]
= ( ) x ( )= ( )[kg/h]
E. 냉각 시 엔탈피 변화량은( ) : [kW],[kJ/kg]
= ( ) x ( )= ( )[kW],[kJ/kg]
<냉동 시스템>
D. 증발잠열(LH) : kJ/kg
LH = 증발기 출구 가스 냉매 엔탈피(h6) - 증발온도선상의 포화액점의 엔탈피(h포액)
= ( ) kJ/kg - ( ) kJ/kg
= ( ) kJ/kg
F. 건조도 (X) :
X = 후레쉬 가스량(F) / 증발잠열(LH)
= ( )kJ/kg / ( ) kJ/kg
= ( )
- 118 -
G. 냉매 순환량(G) : kg/h
G = 3320 kcal/h / 냉동효과( e ) kcal/kg q = ( )kg/h
- 119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120 -
소요시간
실험과제 4-9. 예열 혼합 가습(순환수) 가열 공기조화 시스템 실험
사 용 장 비 공구 및 재료명 규 격 수량
제 어 회 로 도
1. 공기조화 시스템 사양
(1) 가열부
① Pre/Re heater
- Type : "M"
- Capacity : AC 220V× 1phase× 1kw
② Blower & Motor
- Type : Axial Fan (propeller type)
- Power : AC220V× 60hz× 1phase
- Fan & Motor : 12CMM× 225Ø × 1550RPM
(2) 가습부
① Pump for a humidity
- Type : 수중 펌프
- Head : 1000mm
- Max Head : 2500mm
- Max Capacity : 16ℓ/min
- Min Capacity : 13ℓ/min
- Power : Ac220V× 60hz× 30w× 1phase
② Heater for Humidify water
- Type : 전기식
- Capacity : AC220V× 1phase× 1.5kw
- 121 -
(3) 공기 조화 덕트 구성
그림.1 덕트 구성도
(5) 운전 조건
① 냉매 증발 압력 : 1.9kg/cm2G (Te : -15℃)
② 냉매 응축 압력 : 11kg/cm2G (Tc : 30℃)
③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 (△T) ; 5℃
④ 팽창 밸브 직전 냉매 온도 : 25℃
⑤ 공조쳄버실 온도설정 : 22℃, 편차 : 2℃
⑥ 취출 공기 온도 : 28℃ 설정 (Heater 정지 기동)
(6) 운전 순서
①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② Dry bulb temp. controller의 설정온도를 15℃로 맞춘다.
③ 가습장치의 수조에는 물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④ 가열부의 전기히터 및 냉각부가 작동 시에는 반드시 Blower가 가동되어야 한다.
⑤ N.F.B를 on 한다.
⑥ T/S.W를 on 하여 Dx-coil 및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⑦ 각 상태점을 측정한다.
- 122 -
그림.2 예열->혼합->가습->가열 운전 회로도
(7). 회로도 구성 방법
①“POWER M”GND OUT PUT 와 TERMINAL BASE M“BMF”“-”단자와 연결 한다.
② 계속“BFM”“-”단자에서“HEATER 1”“-”단자,“PUMP”“-”단자,“HEATER 2”“-”
단자와 연결하여“-”단자쪽의 구성을 완료한다.
③“POWER M”DC 24V OUT PUT 단자와 S.W MODULE“TOGGLE S.W”의“C”접점과 연결하고 “a”
접점으로부터 BFM“-”단자와 연결한다.
④“BFM”“+”단자에서“THERMO METER M”의“Preheating”“COM”단자와 연결하고“H”단자
로부터“HEATER 1”“+”단자로 연결한다.
⑤“Preheating”“COM”단자와“Relative Humidify”“COM”단자와 연결하고“H”단자로부터
“PUMP”“+”단자로 연결한다.
⑥“Relative Humidify”“COM”단자와“Reheating”“COM”단자를 연결하고“H”단자로부터
“Heater 2”“+”단자로 연결한다.
⑦ 디지털 온도․습도 스위치를 설정한 후에 토글스위치를“on”하여 공기 혼합, 예열, 순환수
분무, 가열 운전한다.
- 123 -
(7) 측정 및 운전 방법
① 가동 시 송풍기(Blower Fan)은 덕트 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작동시킨다.
② 송풍기(Blower Fan)는 다양한 부하 실험이 가능하도록 송풍팬의 속도 조절기를 부착하여
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③ 챔버는 공기조화 실험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④ 챔버 내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하여 예열 혼합, 가습, 가열의 작동을 수행한다.
⑤ 기동 전에 각 상태점의 온도를 기록하고 최초 기동 시 기동전류를 측정하고 운전 전류도
측정 기록한다.
⑥ 설정 온도까지 계속 운전하면서 매 1sec 마다 Program 온도 Sheet에 예시된 각 상태점의
온도를 측정 기록한다.
⑦ 운전 회로 :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⑧ 공조실 습도는 습도조절기의 자동제어 회로로 구성한다.
⑨ 예열히터는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⑩ 가열히터는 공조실 온도 자동 운전 회로로 구성한다.
그림.3 예열->혼합->가습->가열 운전
- 124 -
(8) 예열->혼합->가습->가열
OA : 외기도입공기 RA : 실내리턴공기
HC : 가열코일 PHC : 예열코일
표 3 예열->혼합->가습->가열된 공기 상태 변화(Sheet)
- 125 -
[해석] 표 3 예열->혼합->가습->가열된 공기 상태 변화(Sheet)
(9) 성능 검증 방법
공조실(Room)의 온도를 22℃로 설정하고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Preheating-Coil 의 공기 입구 측
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혼합된 공기를 가습한 후 재열부하인 Heating-Coil 시스템의 부
하를 비교 검토 한다.
<공조 시스템>
그림.7 예열->혼합->가습->가열 선도에서 각 상태별 위치의 값을 대입 성능을 확인한다.
- 126 -
E. 가습기에서 가습되는 수분량( ) : [kg/h]
= ( ) x ( )= ( )[kg/h]
G. SHF(현열비) (SHF) :
현열
=
현열 잠열
여기서 현열 잠열
- 127 -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
ㆍ요구사항
1. 공기조화 실험장치(KTE-1000AHU)를 준비하고 간단한 운전․점검 한다.
2. 실험장치, 공구, 재료를 사용하여 바나나 잭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운전한다.
3. 관련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1) 스위치(PB, TS)의 on, off할 때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2) 혼합공기를 만들기 위해 RA용 템퍼와 OA용 템퍼를 조정한다.
(3) RA와 OA의 풍량을 측정한다.
(4) 냉각 제어용 온도 스위치를 설정하고 셋팅한다.
4. 운전 중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전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5. 위 실험 데이터 값은 절대적인 실험 데이터 값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실습 및 실험을 수행
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평 가 항 목 배점 득점 비 고
공기 조화의 냉각 시스템 이해 20
바나나 잭 사용 회로 구성 동작 20
평 작품평가
(70점) 결선 상태 10
가
회로의 이해와 설명 20
기
작업 태도 및 안전 5
작업평가
준 (10점) 재료 공구 사용 및 정리․정돈 5
작품 작업 시간
시간평가 총점
ㆍ소요시간 ( )분 초과마다 ( )점 감점 평가 평가 평가
(20점)
- 128 -
◎ 장비 사용 시 주의사항
1. 전원 공급
2. 기계 장비
(1) 저압측과 고압측에 설치된 충전 니플이 잘못된 사용으로 냉매가 새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2) 팽창밸브가 수동인 경우, 작동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3) 장비 출하 시, 자체에서 과열도와 과냉도를 5±2℃로 맞추어 보내드리나 실제 장비 설치 환경
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증발기 부분의 덕트는 실험 또는 실습 시 내부 부품을 볼 수 있도록 아크릴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재질이 충격에 약하오니 사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5) 본 실험장비는 공장에서 용접된 상태로 출하되어 임의로 해체 후 재조립 시 성능 또는 장비
이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추후 A/S 요청 시 수리비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4. 전반적인 사항
- 129 -
Renewable Energy / Refrigeration & Air-conditioning & Welding
Automation controls(PLC) / Robot controls / Electric & Electronics(LED lighting)
Firefighting & safety / Big data & ICT / Automobile & ship / Nano chemical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TEL: 031-749-5373 | FAX: 031-749-5376
kcs@kteng.com | http://www.kteng.com
(12771)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문형산길 170
- 130 -
- 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