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1월) |
곰 | ||
---|---|---|
큰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아목: | 개아목 | |
과: | 곰과(Ursidae) | |
속 | ||
|
곰은 식육목 곰과에 속하는 포유동물이다.[1] 어린 개체는 능소니라 부른다.[2] 꼬리가 짧고 후각과 청각이 발달했으며, 발가락이 다섯 개이다. 길고 빽빽한 털로 덮여 있으며, 커다란 몸에 강한 팔다리를 갖고 있다.
곰은 식육목에 속해 있지만, 북극곰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은 식물성 물질을 먹는 초식 위주 잡식성이다. 대왕판다 같은 경우는 거의 대나무만 먹으므로 초식성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내장구조가 다른 육식동물들과 비슷하기 때문에 식물성 물질을 초식동물처럼 제대로 소화시키지는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곰은 특정한 시기에만 집중적으로 먹기도 하며, 한번에 먹는 양도 많다.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3]
식육목 |
| |||||||||||||||||||||||||||||||||||||||||||||||||||||||||||||||||||||||||||||||||||||||||||||||||||||||||||||||||||||||||||
다음은 곰과의 계통 분류이다.[4]
곰과 |
| ||||||||||||||||||||||||||||||||||||||||||||||||||||||
곰의 몸
[편집]곰의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나 최소종인 말레이곰은 몸길이가 1.1-1.4m이고, 최대종인 불곰은 1.9-2.8m에 달한다. 꼬리는 흔적적이며 매우 짧아서 털에 가려 안 보일 정도이다. 몸은 강하고 네 다리는 짧고 앞뒷발이 모두 넓으며, 발바닥은 사람과 같이 땅에 붙이고 걸어다닌다. 곰은 큰 발, 짧은 다리, 뒤꿈치를 먼저 대고 걷는 행동 때문에 느리게 보이지만, 민첩하고 빠르게 달릴 수도 있다. 한 예로 북극곰은 시속 약 50km로 달릴 수 있다. 앞뒷발 모두 발가락이 다섯 개이고 강한 갈고리 발톱이 있어 구멍을 파는 데 적당하다. 코끝이 길며 눈은 작고 잘 보지 못한다. 작고 둥근 귀는 곧게 서 있지만 겨우 들을 수 있는 정도이다. 대신 후각이 예민하다. 턱은 잘 발달되었고 송곳니는 비교적 크며 어금니는 짧고 편평하여 먹이를 씹는 데 편리하다. 털은 길고 거칠며, 빛깔은 갈색·흑색·황백색 등이다. 목 또는 앞가슴에 흰 띠가 있는 것이 많다.
곰의 생활
[편집]번식
[편집]번식기 이외에는 단독으로 지내며, 낮에는 동굴·바위그늘 등에 숨고 저녁 또는 오후 늦게 활동한다. 주로 혼자 생활하다가 여름철 번식기에는 암컷 한 마리와 수컷 한 마리가 약 한 달 동안 같이 지낸다. 그 후에 수컷은 떠나고 암컷은 새끼를 낳을 장소를 마련한다. 새끼는 보통 어미가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 태어나는데, 보통 한배에 두 마리를 낳는다. 새끼는 아주 작아서 태어날 때의 무게가 0.25-0.5kg밖에 안 되며, 눈이 감겨 있고, 털도 없다. 1개월이 지나면 눈을 뜨고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몸을 덮는다. 새끼는 어미와 굴 속에서 2개월 정도 지내며, 봄이 되면 기어나와서 장난치며 논다. 매우 빨리 자라 가을이면 몸무게가 18kg이나 된다. 새끼는 어미와 1-2년을 같이 지내며, 이 기간 동안 어미는 새끼에게 사냥하는 법을 가르친다.
사냥
[편집]곰은 주로 곤충, 물고기, 벌꿀, 가재, 게, 블루베리, 산딸기, 장과 등 어느 것이나 먹는 잡식성이며, 나무타기를 잘한다. 먹이를 찾아서 자주 멀리까지 나가는데, 회색곰 한 마리의 개별 사냥터는 25-30km2 정도이다. 또 북극곰은 수영을 잘해서, 육지에서 300 km 이상이나 떨어져 표류하는 빙산 위에서 생활하기도 한다. 곰은 온건한 성격의 짐승으로 충돌을 피하려고 하며, 위험할 때는 도망친다. 큰 몸집에도 불구하고 동작이 민첩하며, 앞발로 가격하는 힘은 소와 사슴 같은 큰 동물도 죽일 정도로 강력하다.(곰 성체의 몸무게는 종에 따라 매우 차이가 크며 큰 경우 400Kg이 넘기도 하며 어떤 북극곰은 그보다 더 무게가 나가기도 한다.) 또한 길고 두꺼운 발톱도 위험한 무기가 된다.
겨울
[편집]추운 지방에서는 완전한 동면은 아니지만 나무동굴 등에서 겨울을 지낸다. 늦여름에 많은 먹이를 먹어 몸 속에 지방으로 저장하여 겨울잠을 위한 에너지를 준비한다. 겨울 기후가 혹독한 지대에서 사는 불곰과 흑곰 등은 겨울 내내 잠을 자지만, 겨울이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 사는 종은 잠깐 동안만 굴 속에서 지낸다. 또한 열대지방에 사는 종은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북극곰은 추운 북극에 살지만 겨울에도 정상적으로 활동하며, 바다로 트인 북극의 얼음지대를 돌아다니면서 해안가로 오는 물개나 물범 등을 잡아먹는다. 수명은 15-30년이다.
곰과 사람
[편집]곰의 쓸개는 웅담이라 하여 위경련이 일어날 때 진통제로 사용되며, 고기는 식용하나 맛이 없다. 모피는 방석 등으로 사용된다. 또 기름은 동상이나 창상 등의 약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의 고기와 뼈가 특별한 약효가 있다. 하지만 그로인한 사냥을 많이 하여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곰은 사람이 어떤 동물인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사람의 집에 무단으로 들어가서 냉장고를 열어서 음식을 마구 먹고 그 집에서 이불을 덮고 잠을 잤다가 보안관에게 포획된 사례도 있다.
한국의 곰
[편집]- 구석기 시대 인간의 거주지였던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는 곰의 뼈가 발굴되었다.
- 단군 신화에는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된 웅녀의 이야기가 있다.
- '곰(熊)'의 명칭이 들어간 지역이 많다.
- 곰 세 마리라는 동요가 있다.
- 대한민국의 야구 팀에 두산베어스 (KBO 리그)가 있다.
- 단국대학교의 상징은 검은곰이다.
- 곰은 미련한 동물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똑똑한 동물이라는 인식도 있다.
- 곰과 여우라는 동화가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페인트 기업인 쌍곰의 상징이고, 마지막 글자인 "곰"은 그 회사의 상징 동물인 곰을 뜻한다. 즉, 쌍곰은 두마리 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심볼마크는 두 마리 곰처럼 'ㅅ'이 2개로 나눠지고 내리막 산봉 2봉처럼 만들어 쌍곰의 '곰'의 이미지가 강하다.
일본의 곰
[편집]- 규슈에 있는 구마모토현과 현청 소재지인 구마모토시도 '곰 웅 (熊)'자를 사용한다. 구마몬이라는 마스코트를 2010년 만들었다.
- 일본인의 성씨 중 '熊 (くま)' 자가 들어간 성씨도 있다.
미국의 곰
[편집]기타
[편집]- 베를린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 최고의 상 역시 황금곰상이다.
- 독일의 수도인 그 도시는 독일어로 곰돌이/아기 곰이라는 뜻이 있고, 스위스의 수도인 베른은 독일어로 곰이라는 뜻에서 왔다.
인류 문화와 곰
[편집]인류의 문화에는 테디베어로 대표되는 곰인형, 아기곰 푸우와 같은 동화 속의 친숙한 곰이 등장한다.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잘 보이는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가 있다.
곰과 관련된 것들
[편집]곰 캐릭터
[편집]- 1988년 서울 패럴림픽 - 곰두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반다비
- 정글박스 - 발로우
- 곰돌이 푸-푸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532–62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능소니”.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 ↑ Eizirik, E.; Murphy, W.J.; Koepfli, K.P.; Johnson, W.E.; Dragoo, J.W.; O'Brien, S.J. (2010).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49–63. doi:10.1016/j.ympev.2010.01.033. PMID 20138220.
- ↑ Johannes Krause et al.: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BMC Evolutionary Biology 2008, doi 10.1186/1471-2148-8-220